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속보

더보기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스마트관광 체험 행사 진행

기사입력 : 2016년08월22일 15:58

최종수정 : 2016년08월22일 15:58

비콘 관련 스타트업 육성

[뉴스핌=정광연 기자]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제주센터)가 제주도와 함께 추진중인 스마트관광 사업을 관광객에게 적극 알리고 비콘(Beacon) 관련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해 스마트관광 체험 행사를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제주센터는 오는 28일까지 제주국제공항 1층 홍보 부스와 중문관광단지 플레이 케이팝 뮤지엄 입구에서 한국공항공사 스마트공항, 디지털다임의 트립앤바이 앱, 비코닉스 플레이케이팝 앱, 제주패스 앱 등 현재 비콘 인프라 테스트를 진행하는 비콘 앱을 설치하고 시연하면 제주의 특색을 담은 소정의 기념품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제주센터가 구축한 비콘 인프라를 통해 현재 스마트공항 앱은 제주국제공항 내 길 찾기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스타트업인 디지털다임의 트립앤바이와 제주비앤에프의 제주패스는 제주지역 관광정보를 큐레이션 서비스를 테스트하고 있으며 플레이케이팝 앱도 비콘을 통해 플레이케이팝 뮤지엄 소식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준비중이다.

이들 비콘 앱을 설치 및 시연 한 후 페이스북에 개선 의견 등을 게시하면 모바일 기프티콘을 증정하는 이벤트도 함께 진행된다. 제주센터는 앱을 시연한 유저들이 개진한 개선 의견 등을 적극 반영해 비콘 인프라 점검 및 실증앱 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페이스북에 후기를 올릴 때는 해시태그(#)와 함께 ‘제주도스마트관광’을 키워드를 입력하면 된다.

전정환 제주센터장은 “비콘기반으로 창업을 희망하는 스타트업들이 제주센터 비콘 인프라를 활용해 창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겠다”며 “스마트관광 체험 프로모션을 지속적으로 진행해 많은 이용자들이 개선 의견을 취합, 안정적인 비콘 인프라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제주센터는 지난해 9월 스마트관광 플랫폼 구축을 시작한 데 이어, 비콘 기반 아이디어 경진대회와 제주국제공항 내 비콘 설치를 완료했다.

12월에는 전담 기업인 카카오와 함께 누구나 손쉽게 제주도내 비콘 인프라를 사용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용 오름 SDK 베타(Oreum SDK Beta)를 선보였다.

올해 상반기에는 샘플 앱과 비콘 지도 페이지를 오픈했으며 6월부터 중문관광단지와 제주센터, 제주국제공항, 동문시장에서 비콘 테스트를 시작했다.

[뉴스핌 Newspim] 정광연 기자(peterbreak2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