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속보

더보기

[MWC+] LG G5 공개, 아름다운 메탈바디.."밀어서 배터리 교체"

기사입력 : 2016년02월21일 22:00

최종수정 : 2016년02월22일 06:11

광각 듀얼 카메라에 '올웨이즈 온' 디스플레이 장착

[스페인 바르셀로나=뉴스핌 심지혜 기자] 각종 루머로만 떠돌던 LG전자의 새 스마트폰 G5가 전격 공개됐다. 스마트폰 뒷면에 지문인식 기능을 유지힌 것 말고는 상당 부분이 바뀌거나 업그레이드 됐다.

세계 최초로 모듈 방식을 채용해 뒷면 케이스를 열 필요 없이 배터리 교체가 가능했다. '풀 메탈'로 고급스러움을 강조했고 카메라 성능도 강화됐다.

21일(현지시간) LG전자는 스페인 바르셀로나 산 호르디 클럽에서 ‘LG G5 Day’를 열고 올해 첫 전략 스마트폰 G5와 관련 액세서리 ‘LG 프렌즈’를 공개했다. 

G5는 플라스틱 재질이 아닌 풀 매탈 바디로, 밀어서 배터리 등의 기기를 갈아끼우는 ‘모듈 방식’과 언제나 꺼지지 않는 디스플레이 ‘올웨이즈온’ 기능, 1600만 화소의 후면 듀얼 카메라가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5.3인지 쿼드HD 디스플레이, 퀄컴 스냅드래곤 820 칩셋, 2800mAh 배터리, 4GB램이 장착됐으며 마이크로SD카드 슬롯이 지원된다. 전체적인 디자인은 G4에서 각졌던 모서리 부분이 둥글어 졌으며 뒷면은 구글과 LG전자의 합작 레퍼런스폰 '넥서스5X'와 흡사하다.

LG전자의 올해 첫 전략 스마트폰 G5 이미지. <사진=LG전자>

풀 메탈 바디에 ‘딸깍’ 갈아 끼는 모듈로 차별화

G5는 LG전자의 프리미엄 스파트폰 라인업 ‘G 시리즈’의 5번째 모델로 가장 큰 특징은 세계 최초 ‘모듈 방식’을 적용한 점이다. 모듈 방식은 독자적 기능을 가진 부품들을 바꿔가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LG전자는 다양한 ‘하드웨어간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했다.

이에 따라 그간 배터리 교체를 위해 후면 케이스를 뜯어야 하는 불편함 없이 ‘밀기만’ 하면 쉽게 교체가능하다. 

G5의 기본 모듈에는 배터리만 장착돼 있으며 사진 촬영 시 용이하도록 각종 단축 버튼을 추가한 ‘LG 캠 플러스’, '뱅앤올룹슨'의 오디오 기능이 적용된 ‘LG 하이파이 플러스’ 같은 확장 모듈을 물리적으로 결합해 사용할 수 있다. 기본으로 장착된 배터리 용량은 2800mAh로 전작 G4의 3000mAh보다 다소 줄었다. 

G5의 또 다른 혁신은 플라스틱 재질의 케이스를 버리고 ‘풀 메탈’을 채택했다는 점이다. 금속 표면을 처리하는 ‘마이크로 다이징(Micro-Dizing)’ 기법을 적용, 아주 작은 크기의 컬러 입자를 금속 표면에 부착해 메탈 고유의 느낌을 살리면서도 다양한 컬러를 구현했다. 색상은 실버, 티탄, 골드, 핑크 등 4가지다.

또한 G5에는 기존 메탈 재질의 스마트폰이 가지고 있는 단점이 보완됐다. 일반적인 메탈 스마트폰의 경우 수신률 저하, 전파간섭 등의 문제로 띠 형태의 안테나 선이 스마트폰 표면에 드러나 있는데 LG전자는 G5에 안테나 선이 보이지 않도록 깔끔하게 처리했다.

그리고 전면 상단 베젤 부분은 ‘3D 곡면 글래스(3D Arc Glass)’를 적용해 입체감을 높였고 후면은 양측면 가장자리가 부드럽게 휘어지도록 해 손에 잡는 그립감이 좋도록 디자인했다.

전체적인 디자인은 갤럭시S6나 애플의 아이폰 처럼 둥글어 졌다. 이에 전작 G4에서 다소 각졌던 모서리 부분들이 둥글게 다듬어 졌다. 뒷면 중앙 위쪽에 카메라가 위치해 있으며 바로 아래에는 동그란 지문인식 센서가 자리잡고 있다. 아쉬운 점은 카메라가 툭 튀어나와 '카툭튀'가 된다는 점이다. 뒷면의 전반적인 느낌은 마치 '넥서스5X'와 비슷하다. 

홈 버튼 위아래에 있던 볼륨 조절 키는 오른손으로 G5를 쥐었을 때 검지 손가락이 닿는 측면으로 이동했다.

◆ '광각 카메라', 눈으로 보이지 않는 곳까지 '찰칵'

LG전자의 또 다른 혁신은 후면에 각각 135도와 78도의 화각을 지닌 2개의 카메라를 장착했다는 점이다.

‘G5’에 탑재된 135도 광각 카메라는 스마트폰 내장형 카메라로는 세계 최대 화각이며 일반 스마트폰 카메라보다 약 1.7배 넓게 촬영 할 수 있다.

사람의 눈길이 미치지 않는 곳까지 촬영할 수 있으며 특히 기존 스마트폰 카메라보다 같은 거리에서 더 넓은 배경을 담을 수 있어 광활하게 펼쳐진 자연 풍경 등을 찍을 때 유리하다.

LG전자는 ‘G4’부터 적용해온 ‘카메라 전문가 모드’도 ‘G5’에 탑재하고 카메라 관련 UX도 강화했다. ‘줌인앤아웃(Zoom in&out)’ 기능을 적용해 ‘줌아웃’ 시 78도의 일반 카메라 화각을 넘어서면 광각카메라 모드로 자동 전환돼 135도의 화각까지 볼 수 있다.

또한 2개의 후면 카메라로 동시에 촬영한 사진을 한 화면에 겹쳐 보여주는 ‘팝아웃 픽처(Pop-out Picture)’ 기능으로 사용자가 광각 카메라로 찍은 부분을 흐리거나 흑백으로 만들어, 일반각으로 찍은 장면이 마치 액자 안에 있는듯한 색다른 사진을 얻을 수도 있도록 했다.

‘오토 셀피(Auto Selfie)’ 기능으로 사용자가 별도의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움직임이 없으면 1초 뒤 자동으로 찍혀 셀피 촬영이 용이하도록 했다. 

◆ 언제나 대기...'올웨이즈 온' 디스플레이

G5의 디스플레이는 5.3인치 ‘IPS 퀀텀 QHD’에 ‘올웨이즈온(Always-on)’ 기능이 구현됐다.

‘올웨이즈온’은 화면이 꺼져 있어도 시간, 요일, 날짜, 배터리 상태 등 기본 정보는 물론 문자, SNS 등의 알림 정보를 24시간 디스플레이에 표시해 주는 기능이다. 단순히 시간, 날짜 등을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폰 화면을 켜는 횟수가 하루 150회가 넘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불필요하게 스마트폰 화면을 켜고 끄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올웨이즈온’ 화면은 가로 27.5mm, 세로 31.1mm의 직사각형 크기로 ‘V10’의 ‘세컨드 스크린’ 면적보다 2배 이상 크다.

LG전자는 '항상 켜져 있어야 하는' 기능으로 배터리 소모가 많아질 것을 대비, 독자적인 초 저전력 디스플레이 설계를 통해 거의 전력 소모 없이 ‘올웨이즈온’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올웨이즈온’의 소모 전력량은 시간당 총 배터리 사용량의 0.8%다.

LG전자는 ‘올웨이즈온’ 기능 구현 시 LCD 백라이트(Backlight) 일부만을 사용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작동을 줄여 소모 전류를 최소화했다.

LG전자는 ‘G5’에 야외 시인성을 높여 주는 ‘데이라이트 모드(Daylight Mode)’도 탑재했다. ‘데이라이트 모드’는 햇볕이 강한 야외에서 스마트폰을 볼 때 디스플레이 밝기를 최대 850니트(nit)까지 높여줘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는 기능이다. 1니트는 1평방미터에 촛불 하나가 비추는 밝기로,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최대 밝기는 500니트다.

G5 스펙. <자료= LG전자>

 

 

[뉴스핌 Newspim] 심지혜 기자 (sj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국힘 대선후보 김문수 56.53% 득표 [서울=뉴스핌] 국회사진취재단 =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3일 오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에서 당직자들과 손을 들며 인사하고 있다. 2025.05.03 photo@newspim.com   2025-05-03 17:28
사진
李 파기환송심 서울고법 재판장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서울고법에 돌려보낸 지 하루 만에 이 후보의 파기환송심을 맡을 재판부와 첫 공판기일이 정해졌다. 서울고법은 2일 오후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심을 형사7부(재판장 이재권)에 배당했다. 또 이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과 관련해 소환장 및 기일통지 발송에 이어, 집행관 송달을 촉탁했다. 집행관 송달은 우편송달이 되지 않을 때 진행하는 특별송달이다.  서울고법의 선거사건 전담 재판부는 형사2부, 6부, 7부 3곳인데 이 후보의 기존 항소심 재판부인 형사6부는 배당 대상에서 제외됐고 6부의 대리 재판부인 형사7부에 배당됐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이재권 재판장, '민주당 돈봉투' 등 사건 맡아 해당 재판부는 '민주당 돈봉투' 사건으로 기소된 이성만 전 의원과 송영길 소나무당 대표의 전 보좌관 박용수 씨 사건을 심리하고 있다. 이밖에 폐수 불법 배출 혐의를 받는 HD현대오일뱅크 사건,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사건 관련 허위 면담보고서 작성 혐의를 받는 이규원 조국혁신당 전략위원장(전 부부장 검사) 사건도 맡고 있다. 해당 재판부는 이재권(사법연수원 23기) 부장판사와 박주영(33기)·송미경(35기) 고법판사로 구성됐다. 재판장은 이 부장판사가, 주심은 송 고법판사가 맡는다. 이 부장판사는 제주 서귀포 출신으로 제주제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했다. 1997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로 임관한 뒤 서울행정법원 판사, 제주지법 부장판사, 수원고법 부장판사 등을 거쳐 지난해 2월부터 서울고법 부장판사로 근무하고 있다. 특히 이 부장판사는 2005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연구심의관, 2006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실 판사, 2021~2024년 사법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 등을 역임했다. 이용훈·양승태 전 대법원장 재임 당시인 2010년~2012년에는 대법원장 비서실 판사로도 근무했다. 박 고법판사는 서울과학고등학교와 서울대 산업공학과를 졸업했다. 2004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를 시작으로 서울서부지법 판사, 수원지법 판사, 부산지법 부장판사, 의정부지법 부장판사를 역임했고 올해 2월 서울고법에 부임했다. 송 고법판사는 부산서여자고등학교와 이화여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대학원 법학과 석사과정을 거쳐 2006년 서울중앙지법에서 판사 생활을 시작했다. 서울남부지법 판사, 부산지법 판사, 인천지법 판사 등을 거쳐 2022년 2월부터 서울고법에서 근무하고 있다. 김명수 대법원장 시절인 2019년~2022년에는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지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첫 파기환송심 15일...李 불복 뒤 재상고 가능성 커 파기환송심 첫 공판기일은 오는 15일 오후 2시로 지정됐다. 이날 사건이 배당된 지 약 한 시간 만에 재판부가 기일을 지정하면서 이 후보 사건은 신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파기환송심 선고 결과가 나오더라도 이 후보가 이에 불복해 대법원에 재상고할 것으로 보여 오는 6월 3일 대선 전 최종 판결이 나오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대법 전합은 전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 상고심 선고기일을 열고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파기환송했다. 재판부는 이 후보가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과 골프를 쳤다는 의혹과 관련해 '사진이 조작됐다'는 취지로 한 발언, 백현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의 압박 내지는 협박이 있었다고 한 발언이 선거인의 정확한 판단을 그르칠 정도에 해당해 허위사실공표라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김씨를 하위직이라서 몰랐다는 발언과 함께 골프 발언을 듣는 일반 선거인으로서는 출장은 같이 갔지만 함께 간 해외줄장 기간에 골프를 치지는 않았다는 의미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다"며 "그런데 피고인은 김씨 등과 함께 간 출장 기간에 골프를 친 것이 사실이므로 이 발언은교유행위에 관한 허위사실 공표에 해당한다"고 판시했다. 또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을 들어 용도지역 변경을 압박했다'는 취지의 발언과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에 따르지 않으면 직무유기를 문제 삼겠다고 협박했다'는 취지의 발언은 사실의 공표이지 단순히 과장된 표현이거나 추상적인 의견 표명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대법원 판결은 기속력이 있기 때문에 파기환송심은 이를 뒤집을 만한 중대한 증거가 새롭게 제시되지 않는 이상 대법원 판결 취지에 따라 이 후보에 대한 추가 양형 심리를 거쳐 유죄를 선고하게 된다. 이 후보의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1심은 의원직 상실형인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바 있다.  shl22@newspim.com 2025-05-02 18:5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