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철도역사 생활안전사고 저감대책' 마련
[뉴스핌=김승현 기자] 철도역사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승강장과 열차 사이 간격이 10cm를 넘으면 안전발판이 만들어진다. 광역철도 승강장에도 스크린도어가 확대 설치된다.
에스컬레이터 운행속도가 늦어지며 휠체어와 유모차가 탈 수 없도록 진입방지봉이 설치된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철도역사 생활안전사고 저감대책’을 마련했다고 31일 밝혔다.
승강장 발빠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승강장과 열차 사이 간격이 10cm를 넘으면 안전발판을 설치한다. 직선선로 1403곳은 올해 안에 발판 설치를 모두 완료한다. 곡선선로도 접이식 안전발판 200여개를 시범 설치한 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광역철도 승강장에 추락·자살사고를 예방하는 스크린도어를 오는 2017년까지 지속적으로 확대설치한다.
경로이용 비율이 높은 역사에 대해서 에스컬레이터 운행속도를 하향조정(30m/분→25m/분)한다. 휠체어·유모차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2017년까지 진입 방지봉을 전면 설치한다.
계단 미끄럼 방지를 위해 논슬립(nonslip) 설치를 확대하고 마감재 성능기준을 강화한다. 계단의 처음과 끝이 잘 보이게 하도록 안전규제를 정비한다.
일반・광역철도 20개 역에 역사 출입구부터 승강장까지 ‘1역사 1동선’을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한다. 신설 역사에 대해서는 경사로 기울기, 주출입구 유효폭 등 39개 항목에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 우수 등급 수준 이상을 받도록 시설기준을 강화한다.
인터넷에 각 역의 이동편의시설 유무, 위치 정보 및 이동경로 등도 제공할 예정이다.
![]() |
| <자료=국토교통부> |
올해 안에 에스컬레이터 등의 이용 안전수칙이 눈에 잘 띄도록 홍보 디자인을 개선하는 시범사업(2곳)을 실시한다. 역내 모니터를 이용해 역사 사고 발생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동영상 교육자료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철도 역사 안전사고는 최근 5년간 연평균 430여건이 발생했다. 75%가 승강장, 에스컬레이터, 계단 등에서 일어난다. 특히 노약자,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사고비중이 높다.
구본환 국토부 철도안전정책관은 “이번 안전대책으로 국민이 체감하는 철도안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철도 운영자들과 공동 협의체를 구성해 핵심과제별로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향후에는 이용객이 참여하는 공동포럼을 개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김승현 기자 (kimsh@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