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화 ‘오피스’에서 인턴 이미례를 연기한 고아성 <사진=리틀빅픽처스> |
영화 ‘오피스’는 알려진대로 제68회 칸국제영화제 미드나잇 스크리닝 부문에 공식 초청돼 호평받은 작품이다. 사무실이라는 한정된, 그리고 익숙한 공간을 활용해 긴장감을 극대화했다는 부분에 칭찬이 집중됐다. 당연히 동의한다. 다만 영화가 베일을 벗은 후 국내 관객의 마음마저 휘어잡는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이 말의 의미는 국내 관객을 사로잡을 수 있는 이유는 다른 데 있다는 거다. 바로 냉혹한 현실을 꼬집었다는 점. ‘오피스’는 끝이 없는 야근, 인턴부터 부장까지 이어지는 먹이사슬, 실적에 따른 과도한 질책, 직장 내 왕따, 스펙·외모를 우선시하는 풍토 등 한국인이라면 공감 수밖에 없는 직장인의 피곤한 삶을 적나라하게 까발렸다.
확실히 말하지만 드라마 ‘미생’처럼 훈훈한 장면은 한순간도 없다. 프레임 속에는 우리가 오늘도 뛰어다닌 그곳의 잔혹하고 냉혹한 흔적만 남아있을 뿐이다.
![]() |
영화 ‘오피스’에서 영업 2팀으로 호흡을 맞춘 고아성(왼쪽부터), 이채은, 류현경, 김의성, 오대환, 박정민 <사진=리틀빅픽처스> |
게다가 자업자득이라 했던가. 야만스러운 행동을 일삼는 상사들이 충분한(?) 대가를 치르는 장면을 보는 것, ‘을’들에게 이보다 더 큰 위로는 없지 않겠는가.
덧붙이자면 배우들의 호연은 최고의 보너스 트랙이다. 이야기의 중심에 있는 배성우와 고아성은 스릴러에 최적화된 연기로 몰입을 돕고 매번 섬뜩한 연기를 보여준 박성웅의 형사 연기는 꽤 신선하다. 영업 2팀 팀원 김의성, 류현경, 오대환, 이채은, 박정민, 손수현 등의 열연도 리얼리티를 높이는 데 큰 공을 세웠다. 15세 이상 관람가. 3일 개봉.
[뉴스핌 Newspim] 장주연 기자 (jjy333jj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