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영화 '플랜맨' 스틸컷 |
그는 도서관 사서다. 책을 정리 정돈하고 꼼꼼하게 일련 번호를 붙이고(손에 뭐라도 묻을까 목장갑에 비닐장갑까지 낀 채로 핀셋으로 일일이 일련번호를 붙이고 있는 정석의 모습) 그에게 이런 일들은 너무나 중요한 일이다.
영화속 정석은 완벽에 가까운 삶을 꿈꾸며, 그의 일처리도 완벽하다. 그리고 그런 그의 삶을 그는 만족하고 있는 듯하다. 그는 스스로 자신이 “부지런하다”고 생각하고 다른 사람들은 깔끔하지 못하고 게으르다고 생각한다. 그의 앞에서 재체기라고 할라치면 그는 기다렸다는 듯이 탈취제거제를 뿌리고 타인과 접촉이 있으면, 늘 주머니에서 소독제를 꺼내 소독을 한다.
그런 그를 사람들은 이상하게 여기지만, 그는 그런 사람들의 시선 따윈 전혀 신경쓰지 않는다. 마치 무균실에 존재하는 사람처럼, 그의 대인관계는 늘 피상적이고 경직되어 있다. 영화 제목에서도 암시하듯 ‘플랜 맨’은 늘 계획적이고 정리정돈에 집착하고 완벽주의와 융통성 없고 정서적, 대인관계 등의 통제 등에 매달리는 ‘강박성 성격장애’를 코믹하게 다루고 있다.
강박장애는 자아이질적, 강박성 인격장애는 자아동조적
강박장애와 강박성 인격장애는 다르다. 강박장애는 스스로의 강박사고가 불합리함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런 행동을 중화하고자 하는 강박행동 등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지만, 이런 행동을 멈출 수 없어 괴로워한다. 물론, 병식이 없는 경우도 있다. 영화<플랜 맨>에서 편의점 녀는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불편감을 호소하며 적극적으로 이를 해결하고자 치료를 받고 있는 중이다(강박장애). 그러나 정석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이상하다거나 불편하다고 느끼지 않는다.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하면서, 스스로를 “부지런하고 깔끔하며 일처리를 완벽하게 잘하는 사람”으로 생각하며 다른 사람과 자신이 다르다는 것에 분명한 선을 긋고 산다. 그가 불편해하는 것은 스스로의 계획이 어긋나거나 계획에 없던 일이 갑자기 생기는 것일 뿐이다. 그는 갑작스럽고 예상치 못한 행동 때문에 불안해한다. ‘이건 계획에 없었던 일이에요’를 속으로 반복하며 불안을 억제하기 위해 그만의 방식으로 같은 행동을 반복한다(빈칸을 연필로 줄을 맞춰 채우는 따위의 행동).
물론, 정석의 오염 등에 대한 강박사고로 인해 타인과 접촉을 꺼리고 심지어는 오줌까지 지리는 행동은 강박장애와 비슷하다는 인상을 준다. 강박성 성격장애에서 보이는 청결에 대한 집착은 늘 ‘사람은 청결을 유지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지 오염, 세균 등으로 인해 병이 걸릴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손씻기 등을 하는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그리고 강박성 인격장애는 병식이 없는 관계로 자신뿐 아니라, 타인에게도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을 강요하는 경우가 많다.
강박성 성격장애자들의 방어기제는 '반동형성'
부모로부터 엄격하고 통제적이고 억압적으로 양육을 받아왔다면, 부모의 인정을 받기 위해 아이들은 부모가 원하는 규칙에 따라 순응하는 법을 배워야 했을 것이고, 그 이면에 충족되지 못한 애정 욕구로 인한 분노가 숨겨져 있을 수 있다. 이를 억압하고 겉으로는 드러내도 좋은 것만을 드러냄으로써 지나치게 자신의 감정을 억압하고 통제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렇게 전혀 상반되는 감정, 양가감정 중에서 적개심이나 분노와 같은 감정은 억압하고 이와 반대되는 감정만 표출하는 것을 “반동형성‘이라고 한다. 그리고 부모의 이런 행동양상을 동일시함으로써 자신의 적개심과 분노를 표출하고자 했을 수 있다. 물론, 이런 성향을 경찰이나 검찰, 군인, 의사와 같은 직업을 가짐으로써 바람직한 형태로 ’승화‘시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완벽주의에서 벗어나기!
영화 <플랜맨>의 정석은 정리정돈, 규칙, 완벽함을 추구하는데, 이로 인한 대가는 생산성을 잃는다는 것과 무엇보다 행복하고 건강한 대인관계를 맺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는 친구도 없고 그의 주변 동료들과도 거의 교감이 없다. 연애도 해본 적이 없다. 좋아하는 여인이 생긴 이후로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해하며, 자신에 대해 묻지만, 사람들은 그냥 건성으로 대답할 뿐 그에게 어떠한 관심도 보여주지 않는다. 지금까지 일과 자신의 규칙에만 지나치게 몰두한 결과 그의 주변에 아무도 남아있지 않게 된 것이다.
‘아, 뭔가 잘 못되었구나!’라고 느끼고 그는 변화를 시도한다.
강박성 성격장애가 아니더라도, 주변에 이렇게 불필요하게 완벽주의에 빠져 사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그러나 그런 행동양상은 자신과 주변인들에게 과도한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다. “완벽주의”란 모든 일을 실수없이 완벽하게 처리해야 한다는 생각이나 행동양식을 말한다.
'완벽'은 인간으로써 추구해야할 가치임에는 분명하지만, 인간은 절대 '완벽'해질 수 없다. 실제로 완벽한 인간을 본적이 있는가? 완벽은 신의 경지임으로 완벽을 기대한다는 것이 불가능을 기대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다만 최선을 다하고 완벽해지고자 노력하는 것은 필요한 덕목이다. 이렇게 스스로의 한계와 불합리, 능력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단계가 한 단계 성숙하는 과정이며, 합리적이지 않은 완벽주의로부터 벗어남으로 인해 그만큼 행복해질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플랜 맨
-2013
-감독 성시흡/ 출연 정재영, 한지민, 장광, 김지영 등
- 모든 일에 계획을 세우고 알람을 맞추며 계획대로만 움직이는 “플랜 맨(정석-정재영)”이 떴다. 그런 그와는 완전히 반대인 소정(한지민)을 만나면서 그의 인생이 꼬이기 시작한다. 서로는 다르지만, 다르기 때문에 서로의 빈자리를 채워줄 수 있을지도 모른다. 둘은 그렇게 서로를 이해하며 간극을 좁혀간다.
박소진 한국인지행동심리학회장('영화 속 심리학'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