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뉴욕증시 '급브레이크'…낙폭 큰 대형주 종목은?

기사입력 : 2014년08월01일 08:45

최종수정 : 2014년08월01일 08:48

엑손모빌·L-3커뮤니케이션·크래프트 등 급락

[뉴스핌=권지언 기자] 31일(현지시각) 뉴욕증시가 수 개월래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개별종목 중에서는 엑손모빌과 L-3커뮤니케이션, 크래프트 등이 눈에 띄는 급락세를 연출하며 지수 하락을 주도한 모습이다.

(사진:AP/뉴시스)
해당 기업들 모두 실적과 향후 전망이 투자자들을 실망시키면서 주가가 곤두박질쳤다.

엑손모빌(종목코드:XOM) 실적에서 문제가 된 것은 생산 부분이었다. 엑손모빌의 2분기 석유 및 천연가스 생산량은 일일평균 384만배럴로 지난해의 415만배럴보다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이 예상한 일일평균 396만배럴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아부다비 유전 조광권 계약 만료와 천연유전 감소 등 악재가 겹친데다, 엑손모빌이 협업을 추진 중인 러시아에 대해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신규 제재에 나선 점도 투자자들이 불안을 자극했다. 전문가들은 러시아에 8조달러 어치의 원유가 매장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향후 생산에 적신호가 켜지면서 이날 엑손모빌 주가는 4.2% 밀린 98.94달러를 기록했다.

미국 거물급 방산업체인 L-3커뮤니케이션(LLL)은 회계부정과 관련한 논란이 일면서 문제가 됐다. L-3커뮤니케이션은 회계부정 조사를 진행 중이며 관련 비용이 8400만달러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고, 이어 올 하반기 실적 전망 역시 낮춰 잡았다.

어두워진 실적 전망에 L-3커뮤니케이션 주가는 이날 하루 12.27% 급락한 104.96달러에 마감됐다.

식품업체 크래프트(KRFT)는 2분기 매출이 업계 전망치인 48억3000만달러에 못 미치는 47억5000만달러를 기록했다는 소식에 6.39% 떨어진 53.59달러에 마감됐다.

미국 외식업체 염브랜즈(YUM)의 경우 불량 육류 파동을 일으킨 미국 식품회사 OSI 그룹 거래를 끊겠다고 밝히면서 가파른 하락세가 연출됐다. 염브랜즈 주가는 4.93% 밀린 69.40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이 밖에 아디다스(ADDYY)가 15.80%, 홀푸드마켓(WFM)이 2.25% 빠지는 등 다수의 종목들이 실적과 관련한 우려감에 급락세를 연출했다.




[뉴스핌 Newspim] 권지언 기자 (kwonji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