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자율성 커지면 인명피해 늘어..기업 비용감축 위해 로봇 활용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로봇은 이미 우리 생활 속에 깊숙하게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가장 많이, 그리고 보편적으로 쓰이는 곳은 산업 현장. 제조와 물류, 운송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인간이 생존의 위협을 받을 수 밖에 없는 재난 구조의 현장에도 로봇이 투입된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우리의 삶이 편리해지고 있다고 칭송하고만 있는 건 안이하다. 이미 로봇은 우리의 일자리를 빼앗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로봇도 기사를 쓰고 있다. 또한 로봇으로 인해 인명 피해가 나기도 한다.
◇ 로봇이 더 자율적으로 움직이면?..인명피해 우려
1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무거운 짐을 옮기거나 온라인으로 주문을 하고 자동차 부품을 조립하는 등의 일을 로봇이 많이 대체하고 있지만 인명 피해도 많이 일으키고 있다고 보도했다.
![]() |
로봇의 산업 현장 투입이 늘고 자율성이 더 주어질 수록 인명피해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출처=뉴욕타임스) |
NYT는 많은 듯 들리면서도 간과되고 있는 이러한 사례는 앞으로 더 많아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미래의 로봇은 지금처럼 고정돼 있거나 하지 않고 더 자동화될 것이며 자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HDT 로보틱스의 디렉터 켄트 메세이는 "로봇이 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게 하려면 갇혀있으면 안되고 사람과 함께 움직여야 한다"면서 "그러면서도 안전할 수 있으려면 로봇의 눈이나 감각, 지능 등은 더욱 사람같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다시 말해 지금까지의 로봇과 관련한 인명 피해는 사람이 조작을 잘 못해서 일어난 것일 수 있지만, 앞으로 더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로봇에 의한 피해는 어떻게 규제하고 방지할 수 있을 지를 고민해야 한다는 것.
구글의 무인차도 일종의 로봇. 브레이크도 페달도 없는 이 무인차가 사람을 치면 누구의 잘못이 될 것이냐에 대해선 이미 논의가 시작되고 있다. 스탠포드대 법학대학원 산하 인터넷 및 사회 연구소에서 무인차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펠로우 브라이언트 워커 스미스는 "기계 오작동이나 통제 불가능은 점점 더 위험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말했다.
구글 무인차의 경우 이런 사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앞부분에 패드를 장착하고 있다. 앞창의 유리닦개는 플라스틱 재질로 했고 차 앞부분을 아예 둥그렇게 만들었다.
그러나 앞으로는 이 정도로는 인간과 로봇의 충돌, 피해를 막기 어려워질 것이다. NYT는 앞으로 로봇과 인간이 더불어 살게 되면 로봇에게도 인간과 같은 '감정'이 필요하게 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 로봇은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을까..창의성은 남는다
물리적인 충돌 외에도 로봇과 인간은 앞으로 일자리를 두고 확실히 경쟁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지금도 그렇다.
디 애틀랜틱이 시카고대 부스 경영대학원의 루카스 카라바부니스, 브렌트 니먼 두 교수가 연구한 논문을 인용, 보도한데 따르면 소득 불평등이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전개되면서 전체 노동비용은 점점 줄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논문에서는 1980년대 이래 전 세계 56개국의 경우 경제 규모(GDP)에서 노동자들이 가져가는 비중, 즉 노동분배율은 5% 포인트 떨어졌다. 말하자면 노동자들이 가져갈 '파이' 자체가 줄어들고 있는 것.
![]() |
시카고대 부스 경영대학원의 두 교수는 신기술 발달과 함께 노동분배율이 줄어들고 있음을 수치로 확인했다.(출처=카라바보니스-니먼 공동 논문) |
이러한 결론은 이 연구자들만 내린 것이 아니다. 매사추세츠주 공과대학(MIT)의 에릭 브리뇰프슨, 앤드류 맥아피 등은 '기계와의 경쟁(Race Against The Machine)'이란 저서에서 이 같은 주장을 했고, 폴 크루그먼도 칼럼(http://www.nytimes.com/2013/06/14/opinion/krugman-sympathy-for-the-luddites.html?ref=paulkrugman)을 통해 신기술 도입이 빈부 격차를 더 늘어나게 하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 |
실리콘밸리의 저명 투자자 마크 안드레센은 로봇이 많은 일자리를 대체하고 있지만 모두 빼앗을 수는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그리고 인간의 창의성을 강조한다.(출처=마크 안드레센 블로그) |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