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광명시흥지구 대책' 마련..보금자리사업 중단 기로
![]() |
광명시흥지구 조감도 |
국토교통부는 주민과 지방자치단체 의견을 수렴해 이같은 내용을 담은 '광명·시흥 공공주택지구 현안과제 처리 대책안'을 마련했다고 11일 밝혔다.
국토부는 지난해 광명·시흥 보금자리 지구와 관련해 두가지 대안을 마련했다. 첫 번째는 현재 광명·시흥 보금자리지구 대부분을 보금자리 주택으로 개발하되 사업 시기를 오는 2018년 이후로 조정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보금자리지구를 당초 17.4㎢에서 약 2.64㎢로 대폭 축소하는 내용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두가지 대안 모두 24개 집단취락지역을 사업 대상지에서 제외해야해 이번에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취락외 지역은 생업에 꼭 필요한 기존 건축물 재·개축을 할 수 있도록 제한을 완화할 방침이다. 다만 새로 짓지는 못한다.
국토부는 공공주택지구 개발 여부도 지구내 취락 정비사업 활성화 방안과 연계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취락 정리 및 건물 재·개축 완화방침, 공장·제조업소 이전을 포함한 과제별 대책을 마련해 최종 방침을 다음 달에 확정할 계획이다.
광명시흥지구는 지난 2010년 5월 제3차 보금자리지구로 지정됐다. 당초 계획에서는 분당신도시 규모와 비슷한 9만4000가구의 공공주택을 공급키로 했다. 하지만 사업이 지지부진하자 지난해 '4.1 주택거래활성화대책'에서 6만5000가구 규모로 지구를 축소했다.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dong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