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대중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변상문의 風流 여행기] 청학동 도인

기사입력 : 2013년11월04일 09:00

최종수정 : 2013년11월11일 07:54

 

도인촌에 들어서니 애저녁이었다. 태극기가 휘날리는 초가집 마을은 조용했다. 사람도 인기척도 없는 마을엔 강아지만이 컹컹 짖어댔다. 지리산 삼신봉 동쪽 기슭에 자리 잡은 이 마을의 행정구역은 경남 하동군 청암면 묵계리다.

1990년대 까지는 100여 명이 살았지만 지금은 4가구만 살고 있다. 도인촌에 거주하는 도인들의 종교는 일심교(一心敎)다. 정식명칭은 '시운기화유불선동서학합일대도대명다경대길유도갱정교화일심(時運氣和儒彿仙東西學合一大道大明多慶大吉儒道更定敎化一心)'이다.

댕기머리를 한 미소년이 어느 초가집에서 나왔다. 나는 그 집 마당으로 들어섰다. 집안에서 사람기척이 났다. “계세요? 계세요?” 소리쳤다. 60쯤 돼 보이는 점잖은 원광 서형탁 도인이 방문을 열고 나왔다. “저 방에 들어가 계세요. 저녁 밥 먹고 갈 테니.” 친절한 말씨에 웃음을 함박 띤 모습이었다.

도인이 안내해 준 방안에 들어서니 알 수 없는 한문으로 된 책들이 꽉 차 있었다. 외할머니 없는 외갓집에 온 것처럼 썰렁한 마음으로 한 참을 기다리니 그 도인이 방안으로 들어왔다. 서로 명함을 건네며 인사했다. 도인도 명함을 파고 있었다. 묘한 기분이 들었다. 도인이 따라준 차를 마시며 도인세계에 대해 이야기가 오갔다.

도의 세계에 대해 알지 못하는 나로서는 도인의 말을 듣는 입장이었다. 도인은 차분하고 조용조용하게 자신의 살아 온 삶의 과정과 도의 세계에 대해 설명해 나갔다.

“저는 15살에 도인이 되기로 결심했습니다. 한 때는 이 세계의 길을 걸어가는 것이 맞는 것인가? 하는 의문을 가지면서 함께 수학하던 도반들이 도인의 길을 포기할 때 저 역시 흔들렸습니다. 하지만 한 우물을 파면 결과가 나온다는 신념으로 지금까지 도의 세계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후회하지 않는 삶입니다.”

“도의 세계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아침에 피었다 시들은 버섯이나 꽃은 초하루 그믐을 알지 못하고, 여름 한 철 살다가는 매미는 봄가을을 모르듯이 많은 지식과 정보의 홍수 속에 매몰되어 무엇이 옳고 그르며, 어느 것이 진실이고 거짓인지 명확히 알지 못한 가운데 정확한 지식과 확실한 정보 부재 속에서 우리는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천기란 하늘의 비밀 즉, 우주 자연계의 시간을 말합니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기는 주야 24시간 중 밤이 아닌 낮 시간에 진입하였습니다. 밤은 가고 낮이 왔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신속히 밤잠에서 깨어나야 합니다. 야행성의 심리와 사고에서 빠르게 벗어나야 합니다. 벗어나지 않고 과거의 타성에 젖어 있어서는 안 됩니다. 살생, 폭력, 기만, 증오, 비리 등 소인배의 어두운 심리가 판을 치는 암흑의 시대가 가고, 상생, 자비, 진실, 양보, 겸손 등 대인군자의 투명한 심성을 가진 지혜로운 사람이 활보하는 광명의 새 시대가 왔기 때문입니다.

이 밤과 낮이 교차하는 시기를 정확히 밝히면 지금으로부터 30년 전인 1983년 12월 1일 23시, 단기 4316년 10월 28일 자시부터입니다. 이 날로써 어두운 시대는 종말을 고하고, 광명의 새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지금 우리 지구촌은 주야가 바뀐 시기에 살고 있기에 일대 변화를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의식개혁이요 정신혁명입니다.”

알쏭달쏭한 도인의 말을 뒤로 한 채 도인촌을 빠져 나왔다. ‘밤의 시대는 가고, 낮의 시대가 왔다? 범죄 없는 세상이 곧 될 것이다? 그럴까?’하는 의문이 화두처럼 머리 위에서 맴돌았다. 애저녁은 이미 깊은 밤을 향해 질주하고 있었다. 지리산의 어둠이 숯가루를 뿌린 듯 까맣게 내려앉고 있었다.

변상문 전통문화연구소장 (02-794-8838,  sm2909@hanmail.net)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UAE,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체결…원유·무기류 관세 철폐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한국과 아랍에미리트(UAE)가 29일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을 체결했다. UAE는 중동 지역뿐만 아니라 아프리카와 남아시아를 잇는 물류 허브로, 우리 기업들이 세계 각국으로 진출을 확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양국 정상이 지켜보는 가운데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타니 빈 아흐메드 알제유디 UAE 대외무역 특임장관이 한-UAE CEPA에 정식 서명했다고 밝혔다. ◆ 무기류 수입 관세 즉시 철폐…원유 수입 관세 3%→0% 양국 CEPA는 지난해 1월 윤석열 대통령의 UAE 국빈 방문을 계기로 본격 추진되기 시작했다. 이후 양국 정부 간 집중적인 협상을 거쳐 같은 해 10월 타결됐다. 정부는 협정문에 대한 법률 검토와 국문본 마련, 법제처 심사 등 정식 서명에 필요한 국내 절차를 진행해 왔다. UAE는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14위 교역 상대국으로 손꼽힌다. 교역 규모는 2021년 113억달러에서 2022년 195억달러, 지난해 209억달러 등으로 매해 상승하고 있다. 우리는 주로 자동차·전자기기·합성수지 등 공산품을 수출하고, UAE로부터 원유·석유제품·천연가스 등 국내 산업에 필수적인 에너지와 원료를 주로 수입한다. [서울=뉴스핌]윤석열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연합국(UAE)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빈 방한 공식 환영식에서 양국 국기를 든 삼광초등학교 어린이환영단의 환호에 인사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2024.05.29 photo@newspim.com CEPA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양국은 높은 수준으로 상품 시장을 개방하기로 했다. 시장 개방 수준은 품목수를 기준으로 한국 92.5%, UAE 91.2%다. 우리 중동 주력 수출품인 무기류는 대부분 품목이 협정문 발효 즉시 UAE 시장 내 관세가 철폐돼 수출 증대가 기대된다. 압연기·금속 주조기 등 기계류 상당수는 5년 내, 자동차·부품·가전제품 등은 발효 후 최장 10년 이내에 관세가 철폐된다. 특히 향후 성장 잠재력이 큰 전기차·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에 대한 관세도 발효 후 최장 10년 내 철폐된다. 화물·특수차 중에서는 덤프차·적재차량 등에서 상당수 즉시 철폐를 확보해 중동의 건설시장 붐에 힘입은 수출 상승이 전망된다. 이 외 의료기기·화장품 등 공산품뿐만 아니라 우리 주요 농수산물도 관세 철폐 혜택을 받게 된다. 이에 대해 산업부는 "이로써 UAE와 아직 CEPA를 체결하지 않은 미국과 일본, 중국 등 주요 경쟁국과 비교해 우리 기업의 수출 여건을 대폭 개선하게 됐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CEPA를 통해 원유 수입 관세도 철폐된다. 양국은 UAE산 원유 수입 관세를 발효 후 10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석유화학 제품의 주 원료인 나프타 수입 관세는 5년에 걸쳐 절반으로 감축하기로 했다. 원유 수입 관세는 3%에서 0%로, 나프타 수입 관세는 0.5%에서 0.25%로 줄어든다. 이를 통해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가격 경쟁력 제고와 국내 물가 안정 효과가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 온라인 게임 서비스 '최초 개방'…처음으로 국경 간 정보 이전 허용 UAE는 다른 나라와의 자유무역협정(FTA)에서는 개방하지 않았던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한국과의 CEPA에서 최초로 개방했다. 이를 통해 중동 지역으로 게임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공급하거나 관련 업체가 직접 현지에 진출할 때 우리 기업 활동의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됐다. 또 우리 의료 기관의 현지 개원과 원격 진료를 허용하고, 산후조리·물리치료 서비스도 개방하기로 했다. 아울러 양국은 이번 CEPA에서 ▲에너지·자원 ▲첨단산업 ▲순환경제 ▲시청각 서비스·공동제작 ▲스마트팜 ▲보건산업 ▲관광 ▲수송 ▲해상운송 ▲디지털경제·무역 ▲귀금속 ▲공급망 ▲경쟁 ▲바이오경제 등 신통상 의제를 포함한 14개 협력 분야를 명시했다. 특히 UAE는 다른 국가들과 기존에 체결한 CEPA와 달리 대체·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에너지·자원에 관한 협력을 포함했다. [서울=뉴스핌]윤석열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연합국(UAE)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빈 방한 공식 환영식에서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2024.05.29 photo@newspim.com 이에 대해 산업부는 "14개 협력 분야를 명시함으로써 양국 간 미래지향적 경제 협력을 가속화하기 위한 포괄적인 경제 협력 체계를 마련했다"고 풀이했다. 또 양국은 CEPA를 통해 통관과 정부 조달, 디지털 무역, 지식재산권 등 양국 간 무역 과정에서 적용되는 무역 규범을 개선했다. 이를 기반으로 양국은 물품 통관에 대한 사전심사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수출기업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됐다. 또 세계무역기구(WTO) 정부 조달 협정 비가입국인 UAE와 주요 중앙정부기관의 조달 시장을 개방하고, 투명성·비차별성 원칙이 반영되도록 했다. 디지털 무역과 관련해 UAE는 자국 최초로 국경 간 정보 이전을 허용했다. 이 규정을 통해 UAE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은 현지에서 수집한 정보를 국내로 이전할 수 있게 됐다. 아울러 높은 수준의 지재권 보호 규범을 도입해 우리 기업의 저작권·상표 침해에 대해 효과적인 대응 조치가 가능하도록 했다. 앞으로 정부는 이날 서명된 CEPA의 후속조치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 이른 시일 안에 비준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양국은 CEPA 비준과 발효를 위한 자국 내 법적 절차를 완료한 후, 이를 증명하는 서면 통보를 교환하게 된다. 이후 한-UAE CEPA는 서면 통보 접수일 후 두 번째 달의 첫 번째 날에 발효된다. rang@newspim.com 2024-05-29 14:04
사진
삼성전자 노조 '창사 첫 파업' 선언...다음달 7일 '단체 연차 사용'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이 1969년 삼성전자 창사 이래 첫 파업에 나선다. 전삼노는 29일 오전 11시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측의 일방적인 사측의 교섭 결렬을 이유로 즉각 파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전국삼성전자노조 조합원들이 29일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파업을 선언하고 있다. [사진=김정인 기자] 손우목 전삼노 위원장은 "노조가 여러 차례 문화행사를 진행했음에도 사측은 지난 28일 아무런 안건도 없이 교섭에 나왔다"며 "이 모든 책임은 노동자를 무시한 사측에 있다. 이 순간부터 즉각 파업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전삼노는 '일한 만큼 공정하게 지급하는 것'이 가장 큰 요구사항이라는 입장이다. 손 위원장은 "우리가 원하는 것은 임금 1~2% 인상이 아니다. 일한 만큼 공정하게 지급하라는 것"이라며 "성과금을 많이 달라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제도 개선을 통해 투명하게 지급해 달라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는 삼성전자만의 처우개선이 아닌 삼성그룹 계열사와 협력사, 한국의 노동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삼노는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버스를 이용해 24시간 농성을 이어간다. [사진=김정인 기자] 전삼노는 총파업까지 단계를 밟아나가겠다며 다음달 7일, 조합원 2만8400명의 단체 연차 사용을 통해 첫 파업을 시작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24시간 농성을 이어갈 방침이다.  삼성전자와 전삼노는 지난 1월부터 임금협상을 위한 교섭을 이어왔지만 입장차는 좁혀지지 않았다. 노조는 결국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 중기 결정과 조합원 찬반 투표 등을 거쳐 지난달 합법적 쟁의권을 확보했다. 이후 지난 28일 임금협상을 위한 8차 본교섭을 진행했으나 사측 인사 2명의 교섭 참여를 두고 입장차가 발생했다.  업계에서는 메모리 업턴을 기대하는 중요한 시점에서 노사 갈등 장기화로 '노조 리스크' 우려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노조 측은 "사측은 최근 10년 내내 위기라고 외치고 있다"며 "위기라는 이유만으로 노동자가 핍박받아서는 안 된다"고 했다.  kji01@newspim.com 2024-05-29 13:2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