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 열었던 '마우스의 아버지' 타계

기사입력 : 2013년07월04일 14:20

최종수정 : 2013년07월04일 14:20

더글라스 엔젤바트 88세로 사망..1968년 첫 선 상용화엔 30년 걸려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인간과 컴퓨터를 연결해주는 일상적인, 가장 대중적인 인터페이스인 마우스. 컴퓨팅의 유아기랄 수 있는 1960년대, 개인용 컴퓨터(PC)가 보급되기도 전인 이 시대에 이미 마우스가 발명됐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걸 만든 사람은 특허를 통해 엄청난 부를 쌓았을 것 같지만 그렇지도 않다.

마우스를 만들어낸 예지력 넘친 발명가 더글라스 엔젤바트가 3일(현지시간) 8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엔젤바트는 스탠포드대 산하 스탠포드 리서치 인터내셔널(후에 SRI인터내셔널로 개명됨)에 근무하던 1968년 마우스를 선보였다. 공식적인 이름은 'X-Y 위치 조절장치(X-Y Position indicator)'였다.   

당시의 컴퓨터는 방 하나가 꽉 찰 정도의 크기였고 한 번에 한 사람만 작동시킬 수 있었다. 과학자들이나 편치 카드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었고 컴퓨터가 답을 내놓으려면 수 시간이 소요됐다.

88세를 일기로 타계한 더글라스 엔젤바트(출처=타임)
엔젤바트는 이런 불편을 없애고자 머리를 굴렸고 1963년 마우스에 대한 아이디어를 처음 떠올려 프로토타입을 만들었다. 손바닥만한 크기에 바퀴가 달린 모양이었다. 그리고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컴퓨터 컨퍼런스를 통해 대중 앞에 첫 선을 보인 게 1968년 12월9일이다.

나무상자 모양의 장치였고 전선이 달려 있었다. 이 장치는 밑에 달린 두 개의 바퀴 움직임을 통해 방향을 감지했고(이것이 현재 마우스의 롤러볼과 같은 개념), 이것을 통해 컴퓨터를 어떻게 다룰 수 있는 지를 시연해 보였다.

엔젤바트는 컴퓨터와 인간이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다양하게 선보였다. 이 자리는 당시 '모든 데모의 어머니(the Mother of all demos)'라고 불렸던 마우스, 그리고 NLS(oNLine System), 하이퍼텍스트, 동영상 회의 등도 선보인 컴퓨팅에 있어 혁명적인 자리였다. NLS는 이후 최초의 인터넷으로 알려진 아르파넷(ARPAnet)의 탄생으로 이어진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운영체제(OS) 윈도도 여기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것이다. 

엔젤바트는 당시 이런 명대사를 남긴다. "사람들이 왜 이걸 마우스라고 부르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건 컴퓨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바꾸기 시작했다. 우린 그동안 전혀 바꾸질 못했었다(I don't know why we call it a mouse. It started that way and we never changed it)."추후 한 인터뷰에서 이 상자 장치에 전선이 달려 마치 설치류(rodent)의 꼬리처럼 생겨서 그렇게 부르게 된 것 같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컴퓨터와 인간을 상호작용하게 해주는 이 장치가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안기긴 했지만 상업화, 대중화된 것은 그로부터 한참 뒤인 1980년대. 제록스 팔로알토 연구소에서 이걸 재정의했고 1981년 제록스 스타 컴퓨터의 일부로서 마우스가 데뷔한다. 그리고 1984년 애플, IBM이 컴퓨터에 마우스를 연결한 형태로 판매하기 시작했다. 로지테크 인터내셔널이 1985년 소매 시장에 처음으로 마우스를 내놓았고, 2003년까지 5억만개를 판매했다.

엔젤바트가 마우스 발명으로 돈방석에 오르진 않았다. 뒤늦게 혁신성을 인정받아 1997년 최고의 발명가에게 주는 '레멀슨-MIT 상'을 수상해 50만달러를 받았고, 2000년엔 빌 클린턴 당시 대통령으로부터 국가 기술혁신 훈장(National Medal of Technology and Innovation)을 받는 영예는 안았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사진
신네르, 생애 첫 윔블던 단식 우승 [서울=뉴스핌] 박상욱 기자 = 세계 1위 얀니크 신네르(이탈리아)가 생애 첫 윔블던 남자 단식 정상에 올랐다. 신네르는 13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올잉글랜드클럽 센터코트에서 열린 2025 윔블던 테니스 대회 남자 단식 결승에서 카를로스 알카라스(스페인·2위)를 3시간 4분 만에 3-1(4-6 6-4 6-4 6-4)로 꺾었다. 올해 1월 호주오픈에 이은 시즌 두 번째 메이저 타이틀을 품에 안고 상금은 300만 파운드(약 55억8000만원)를 거머쥐었다. 이탈리아 선수가 윔블던 단식 정상을 밟은 것은 남녀를 통틀어 이번이 처음이다. 2021년 남자 단식 마테오 베레티니, 2024년 여자 단식 자스민 파올리니가 결승에 진출했지만 모두 준우승에 그쳤다. [런던 로이터 =뉴스핌] 박상욱 기자 = 신네르가 13일(현지시간) 열린 윔블던 남자 단식 결승에서 알카라스를 꺾고 우승한 뒤 기뻐하고 있다. 2025.7.13 psoq1337@newspim.com 이번 결승은 지난 프랑스오픈 결승에 이은 두 선수의 메이저 결승 리턴 매치. 당시 신네르는 알카라스에게 2-3(6-4 7-6<7-4> 4-6 6-7<3-7> 6-7<2-10>)으로 패해 우승을 놓쳤다. 당시 트리플 매치 포인트를 날린 신네르는 경기 후 '삶에서 가장 고통스러운 경기'라며 절치부심했고 한 달 만에 완벽하게 되갚았다. 신네르는 알카라스에게 당하던 5연패 사슬을 끊었다. 둘의 상대 전적은 여전히 알카라스가 8승 5패로 앞선다. 신네르는 이날 알카라스 특유의 드롭샷과 로브, 변칙 플레이에 흔들리지 않았다. 특히 3세트 게임스코어 4-4에서 브레이크에 성공하며 분위기를 완전히 가져왔다. 4세트에서도 다시 한 번 브레이크로 균형을 깼다. 게임스코어 5-4, 자신의 마지막 서브 게임에서 신네르는 평균 200km/h에 가까운 강서브로 트리플 챔피언십 포인트를 만들었고 두 번째 기회를 놓치지 않으며 우승을 확정 지었다. [런던 로이터 =뉴스핌] 박상욱 기자 = 신네르가 13일(현지시간) 열린 윔블던 남자 단식 결승에서 알카라스를 꺾고 우승한 뒤 케이트 미들턴 영국 왕세자빈의 축하를 받고 있다. 2025.7.13 psoq1337@newspim.com 경기 후 신네르는 "파리에서 정말 힘든 패배를 겪었기 때문에 감정이 북받친다"며 "결국 중요한 건 결과가 아니라 그 안에서 무엇을 배웠는지다. 우리는 패배를 받아들이고 계속 노력했고, 그 결과 이렇게 트로피를 들게 됐다"고 말했다. 하드 코트 메이저에서만 세 차례(2023 US오픈, 2024 호주오픈 포함) 우승했던 그는 이번 잔디 코트에서 처음 정상에 올라 메이저 전천후 강자임을 입증했다. 유일하게 우승이 없는 클레이코트 메이저 프랑스오픈까지 제패할 경우 커리어 그랜드슬램을 달성한다. 지난해 도핑 양성 반응이 나왔던 신네르는 도핑 사실이 알려진 뒤로는 올해 호주오픈에 이어 두 번째 메이저 트로피를 따냈고 도핑으로 인한 3개월 출전 정지 징계를 마친 올해 5월 초 이후로는 이번이 첫 메이저 우승이다. 반면 알카라스는 윔블던 3연패 도전에 실패했다. 통산 6번째 메이저 결승전에서 처음으로 패배를 당했고 커리어 그랜드슬램 달성을 위해선 여전히 호주오픈 우승이 필요하다. [런던 로이터 =뉴스핌] 박상욱 기자 = 신네르(왼쪽)와 알카라스가 13일(현지시간) 열린 윔블던 남자 단식 결승을 마치고 축하와 위로의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5.7.13 psoq1337@newspim.com 그는 "결승에서 지는 건 언제나 힘든 일이다"라면서도 "하지만 오늘은 야닉의 날이다. 훌륭한 테니스를 한 그에게 축하를 전하고 싶다"고 소감을 밝혔다. 신네르와 알카라스는 지난해 호주오픈부터 치러진 7번의 메이저 대회에서 타이틀을 전부 나눠 가졌다. 2023년엔 알카라스가 프랑스오픈과 윔블던을, 신네르가 호주오픈과 US오픈을 차지했고, 올해는 다시 신네르가 호주오픈과 윔블던을, 알카라스가 프랑스오픈을 가져갔다. 이제 두 선수는 메이저를 양분하는 확실한 '빅2'로 자리매김했다. psoq1337@newspim.com 2025-07-14 06:4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