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오바마 2013 국정연설 원문 - 1

기사입력 : 2013년02월13일 11:39

최종수정 : 1970년01월01일 09:00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President Obama's State of the Union Address:

Mr. Speaker, Mr. Vice President, Members of Congress, fellow citizens:

Fifty-one years ago, John F. Kennedy declared to this Chamber that "the Constitution makes us not rivals for power but partners for progress…It is my task," he said, "to report the State of the Union – to improve it is the task of us all."

Tonight, thanks to the grit and determination of the American people, there is much progress to report. After a decade of grinding war, our brave men and women in uniform are coming home. After years of grueling recession, our businesses have created over six million new jobs. We buy more American cars than we have in five years, and less foreign oil than we have in twenty. Our housing market is healing, our stock market is rebounding, and consumers, patients, and homeowners enjoy stronger protections than ever before.

Together, we have cleared away the rubble of crisis, and can say with renewed confidence that the state of our union is stronger.

But we gather here knowing that there are millions of Americans whose hard work and dedication have not yet been rewarded. Our economy is adding jobs – but too many people still can't find full-time employment. Corporate profits have rocketed to all-time highs – but for more than a decade, wages and incomes have barely budged.

It is our generation's task, then, to reignite the true engine of America's economic growth – a rising, thriving middle class.

It is our unfinished task to restore the basic bargain that built this country – the idea that if you work hard and meet your responsibilities, you can get ahead, no matter where you come from, what you look like, or who you love.

It is our unfinished task to make sure that this government works on behalf of the many, and not just the few; that it encourages free enterprise, rewards individual initiative, and opens the doors of opportunity to every child across this great nation.

The American people don't expect government to solve every problem. They don't expect those of us in this chamber to agree on every issue. But they do expect us to put the nation's interests before party. They do expect us to forge reasonable compromise where we can. For they know that America moves forward only when we do so together; and that the responsibility of improving this union remains the task of us all.

Our work must begin by making some basic decisions about our budget – decisions that will have a huge impact on the strength of our recovery.

Over the last few years, both parties have worked together to reduce the deficit by more than $2.5 trillion – mostly through spending cuts, but also by raising tax rates on the wealthiest 1 percent of Americans. As a result, we are more than halfway towards the goal of $4 trillion in deficit reduction that economists say we need to stabilize our finances.

Now we need to finish the job. And the question is, how?

In 2011, Congress passed a law saying that if both parties couldn't agree on a plan to reach our deficit goal, about a trillion dollars' worth of budget cuts would automatically go into effect this year. These sudden, harsh, arbitrary cuts would jeopardize our military readiness. They'd devastate priorities like education, energy, and medical research. They would certainly slow our recovery, and cost us hundreds of thousands of jobs. That's why Democrats, Republicans, business leaders, and economists have already said that these cuts, known here in Washington as "the sequester," are a really bad idea.

Now, some in this Congress have proposed preventing only the defense cuts by making even bigger cuts to things like education and job training; Medicare and Social Security benefits.

That idea is even worse. Yes, the biggest driver of our long-term debt is the rising cost of health care for an aging population. And those of us who care deeply about programs like Medicare must embrace the need for modest reforms – otherwise, our retirement programs will crowd out the investments we need for our children, and jeopardize the promise of a secure retirement for future generations.

But we can't ask senior citizens and working families to shoulder the entire burden of deficit reduction while asking nothing more from the wealthiest and most powerful. We won't grow the middle class simply by shifting the cost of health care or college onto families that are already struggling, or by forcing communities to lay off more teachers, cops, and firefighters. Most Americans – Democrats, Republicans, and Independents – understand that we can't just cut our way to prosperity. They know that broad-based economic growth requires a balanced approach to deficit reduction, with spending cuts and revenue, and with everybody doing their fair share. And that's the approach I offer tonight.

On Medicare, I'm prepared to enact reforms that will achieve the same amount of health care savings by the beginning of the next decade as the reforms proposed by the bipartisan Simpson-Bowles commission. Already, the Affordable Care Act is helping to slow the growth of health care costs. The reforms I'm proposing go even further. We'll reduce taxpayer subsidies to prescription drug companies and ask more from the wealthiest seniors. We'll bring down costs by changing the way our government pays for Medicare, because our medical bills shouldn't be based on the number of tests ordered or days spent in the hospital – they should be based on the quality of care that our seniors receive. And I am open to additional reforms from both parties, so long as they don't violate the guarantee of a secure retirement. Our government shouldn't make promises we cannot keep – but we must keep the promises we've already made.

To hit the rest of our deficit reduction target, we should do what leaders in both parties have already suggested, and save hundreds of billions of dollars by getting rid of tax loopholes and deductions for the well-off and well-connected. After all, why would we choose to make deeper cuts to education and Medicare just to protect special interest tax breaks? How is that fair? How does that promote growth?

Now is our best chance for bipartisan, comprehensive tax reform that encourages job creation and helps bring down the deficit. The American people deserve a tax code that helps small businesses spend less time filling out complicated forms, and more time expanding and hiring; a tax code that ensures billionaires with high-powered accountants can't pay a lower rate than their hard-working secretaries; a tax code that lowers incentives to move jobs overseas, and lowers tax rates for businesses and manufacturers that create jobs right here in America. That's what tax reform can deliver. That's what we can do together.

I realize that tax reform and entitlement reform won't be easy. The politics will be hard for both sides. None of us will get 100 percent of what we want. But the alternative will cost us jobs, hurt our economy, and visit hardship on millions of hardworking Americans. So let's set party interests aside, and work to pass a budget that replaces reckless cuts with smart savings and wise investments in our future. And let's do it without the brinksmanship that stresses consumers and scares off investors. The greatest nation on Earth cannot keep conducting its business by drifting from one manufactured crisis to the next. Let's agree, right here, right now, to keep the people's government open, pay our bills on time, and always uphold the full faith and credi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American people have worked too hard, for too long, rebuilding from one crisis to see their elected officials cause another.

Now, most of us agree that a plan to reduce the deficit must be part of our agenda. But let's be clear: deficit reduction alone is not an economic plan. A growing economy that creates good, middle-class jobs – that must be the North Star that guides our efforts. Every day, we should ask ourselves three questions as a nation: How do we attract more jobs to our shores? How do we equip our people with the skills needed to do those jobs? And how do we make sure that hard work leads to a decent living?

(계속)


[뉴스핌 Newspi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추경호 체포동의안 본회의 통과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12.3 비상계엄 당시 국민의힘 의원들의 계엄해제 표결을 방해한 의혹을 받는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27일 여당 주도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를 열고 '국회의원(추경호) 체포동의안'을 상정해 표결을 진행했다. 투표 결과 재석 180인 가운데 찬성 172표, 반대 4표, 기권 2표, 무 2표로 가결됐다. 불체포특권이 있는 현역 국회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은 재적 의원 과반 출석에 출석 의원 과반 찬성이 가결 조건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본인의 체포동의안에 대한 신상발언을 마치고 나서며 동료 의원들의 격려를 받고 있다. 2025.11.27 pangbin@newspim.com 국민의힘 의원들은 표결에 반발하며 표결에 참여하지 않고 본회의장에서 퇴장했다. 이들은 로텐더홀에서 정부여당 및 특검 규탄대회를 벌였다. 신동욱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규탄대회에서 "우리가 추경호"라며 "반드시 싸워서 심판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 의원은 지난해 12월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을 당시 국민의힘 원내대표로서 의원총회 장소를 국회와 당사 등으로 여러 차례 바꿔 국민의힘 의원들의 계엄해제 표결 참여를 방해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내란 특별검사(조은석 특검팀)은 지난 3일 추 의원에 대해 내란중요임무종사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법무부는 이틀 뒤인 5일 국회에 체포동의요청서를 제출했으며, 13일 국회 본회의에 보고됐다. 국회가 동의함에 따라 법원은 조만간 추 의원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실시한다. 결과에 따라 추 의원의 구속 여부가 결정된다. 추 의원은 투표 전 신상발언 기회를 얻어 특검 수사는 정치탄압이라고 주장했다. 추 의원은 "특검은 제가 언제 누구와 계엄에 공모, 가담했는지 어떠한 증거도 제시하지 못하면서 영장을 창작했다"며 "특검은 계엄 공모를 입증하지도, 표결을 방해받았다는 의원을 특정하지도 못했다"고 강조했다. right@newspim.com 2025-11-27 15:41
사진
영국계 단타, 11월에만 5조 팔았다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연중 고점을 기록한 코스피가 11월 들어 조정을 받는 가운데, 외국인 매도세를 주도한 주체는 영국계 자금으로 나타났다. 9~10월 단기 매수세로 코스피를 4000선 위로 끌어올렸던 영국계 투자자들은 이달 들어 약 5조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도하며 수급 전환의 중심에 섰다.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 자료를 종합하면, 영국계 자금은 상반기까지는 관망세를 보이다가 9월부터 순매수로 전환해 지수 급등을 견인했다. 그러나 11월 들어 매도세로 돌아서며 단기간에 코스피를 다시 4000선 아래로 밀어냈다. 전문가들은 이를 투자 이탈보다는 업종 재배치·수익 실현·헤지 전략 등 다층적 조정 흐름으로 해석하고 있다. ◆ 영국계, 활발한 거래에도 낮은 보유 비중…'단타 성향' 뚜렷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영국계 투자자는 이달 1일부터 24일까지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총 4조9900억원을 순매도했다. 같은 기간 외국인 전체 순매도 금액은 13조5328억원으로, 영국계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36.9%에 달한다. 이는 지난 10월 영국계가 2조4000억원을 순매수하며 전체 외국인 순매수(4조2050억원)의 절반 이상을 견인했던 흐름과는 대조적이다. 영국계 자금은 올해 외국인 매매에서 가장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지난 1~8월 유가증권시장에서 영국계 투자자는 총 557조원 규모(매수 273조9270억원, 매도 283조730억원)를 거래하며 외국인 전체 거래액의 44.7%를 차지했다. 국적별 기준으로는 거래 비중 1위였지만, 보유 비중은 10%대 초반에 머무는 등 높은 회전율이 특징적이다. 이는 중·단기 차익 실현에 집중하는 유동적 자금 특성을 드러낸다는 분석이다. 실제 영국계 자금은 9월 2조2000억원, 10월 2조4000억원 등 두 달간 총 4조6000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국내 증시 랠리를 이끌었다. 이 기간 외국인 전체 순매수의 상당 부분을 담당했고, 코스피는 9월 말 3424포인트에서 10월 말 4107포인트까지 약 20% 급등했다. 이후 이달 3일에는 장중 사상 최고치인 4221.87포인트를 기록했다. 당시 외국인의 현·선물 동반 매수가 지수 상승을 뒷받침했고, 거래 비중에서도 영국계 영향력은 두드러졌다. 하지만 11월 들어 매도세로 돌아서면서 코스피는 한 달 새 300포인트 넘게 밀리며, 전날(26일) 기준 3960.87로 마감했다. ◆ 수익 실현 흐름 속 업종·자산군 재배치 뚜렷…"ETF 투자도 변화 감지" 코스피 4000선을 끌어올렸던 외국인 수급이 11월 들어 주춤하면서, 이번 수급 전환의 배경에는 반도체 중심의 차익 실현과 업종 간 포트폴리오 조정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외국인 자금은 특정 업종에서 수익을 실현한 뒤, 해외 자산이나 새로운 산업군으로 비중을 재조정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 같은 변화는 상장지수펀드(ETF) 매매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코스콤 ETF체크에 따르면 최근 일주일간 외국인이 가장 많이 순매수한 상품은 'KODEX 레버리지'(93억8000만원)였고, 이어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64억2000만원), 'TIGER 차이나항셍테크'(64억원), 'TIGER 차이나전기차SOLACTIVE'(55억20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순매수 상위 10개 ETF 중 절반이 중국 테크 및 미국 증시 관련 상품으로 구성돼 외국인 자금의 관심이 해외 주요 지수로 이동한 모습이다. 반면 외국인은 국내 주식형 ETF를 중심으로 대규모 매도에 나섰다. 같은 기간, 'TIGER 2차전지TOP10'(-79억원), 'TIGER200선물레버리지'(-68억원), 'KODEX AI반도체'(-56억9000만원) 등이 외국인 순매도 상위에 올랐으며, 상위 10개 가운데 9개가 국내 ETF였다. 개별 종목에서도 자금 재배치 흐름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달 1~25일 외국인 순매도 상위 종목에는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두산에너빌리티, KB금융, NAVER, 한화오션 등이 포함됐다. 반면 셀트리온, 이수페타시스, LG 씨엔에스, SK바이오팜 등이 외국인 순매수 상위권을 차지했다. 전통 반도체주에서 인프라, 바이오, AI 관련 종목으로 수급이 분산되는 모습이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움직임을 외국인 자금의 '이탈'이라기보다는 전략적 '재편'으로 해석하고 있다. 현물 매도를 통해 일부 비중을 축소하는 동시에, 선물·옵션을 활용한 헤지 전략이나 국채 등 대체 자산으로의 분산 투자가 병행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이 외국인 자금의 유출보다는 포트폴리오 조정 과정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업종의 내년 이익 전망치가 빠르게 상향되고 있어 외국인 수급이 재개될 여지가 충분하다"며 "외국인 유입에 기반한 증시 상승 기대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분석했다. 이상현 메리츠증권 센터장은 "코스피 4000 돌파는 단기 유동성이 아니라 기업 실적이 만들어낸 구조적 상승이었다"며 "현재 조정은 큰 흐름이 끝났다는 신호가 아니라 다음 단계 상승을 위한 숨 고르기 성격이 강하다"고 강조했다.    nylee54@newspim.com 2025-11-27 08:2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