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당 여론은 우호적…유럽 대륙 및 영국 재계 '반발'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영국은 '유럽의 섬' 같은 존재다. 지리학적으로도 대륙에 있지 않고 섬으로 동떨어져 있다. 유럽국가들이 연합을 결성할 때엔 들어갔지만 화폐는 달리 쓴다. 이렇게 '박쥐' 같은 면이 있어도 유럽이란 정체성은 유지해 왔다.
그런데 브렉시트(Brixit·영국의 EU 탈퇴)를 반대해 왔던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가 입장을 180도 바꾸며 승부수를 던졌다. 유럽 대륙은 성이 단단히 났다. 직설적인 표현까지 써가면서 맹비난하고 있다. 가뜩이나 유럽이 어려움에 빠져있는데 탈퇴를 국민들에게 묻겠다니 박쥐의 계략 정도로 치부하고 있는 것. 미국 역시 마찬가지 입장이다. 영국 내에서도 반대 입장이 없지 않은 상황이라 현실화하기엔 장애물이 많다.
◇ 영국 EU 탈퇴 국민투표 주장에 유럽 대륙 '맹비난'
사실 영국 내 EU 탈퇴 주장은 구문(舊聞)이다. 그래도 캐머런 총리는 이를 반대해 왔다. 하지만 23일(현지시간) 미뤄왔던 연설에 나섰다. 캐머런 총리는 "(2015년)총선에서 승리한다면 오는 2017년까지 영국이 EU 회원국으로 남아있을 것인지 아닌지를 국민투표에 붙이겠다"고 밝혔다.
유럽 각국의 비난이 곧바로 쏟아졌다.
로랑 파비우스 프랑스 외무장관은 "EU라는 축구팀에 참가한다고 해놓고선 자신(영국)은 럭비를 하겠다는 꼴"이라며 비판했다.
파비우스 장관은 캐머런 총리가 프랑스의 부유세 부과 때문에 프랑스를 떠날 사업가들에게 "레드카펫을 깔아주고 환영하겠다"고 조롱할 때 썼던 비유를 되쓰기도 했다. 그는 "영국이 EU를 떠나는 것은 국가적으로 매우 위험한 일이며 영국인 사업가를 만난 자리에서 '영국이 EU를 떠나겠다네요. 우리가 당신을 위해 레드카펫을 깔아줄게요'라고 말했다"고 비꼬았다.
귀도 베스터벨레 독일 외무장관은 "체리피킹(Cherry-picking; 좋은 것만 골라가는 행위)하는 건 선택사항이 아니다"라고 비난했다. 베스터벨레 장관은 "지금처럼 세계화가 도전을 받고 있을 때 우리는 갖은 목적을 공유해야 한다"면서 "우리 유럽인들은 한 배를 타고 있다"고 강조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한 톤 낮춰서 "영국과 이 문제에 대해 심도있게 얘기해 보겠다"고 했지만 엘리제 조약을 확인하며 독일과 프랑스는 한 배를 탔음을 확인한 직후에 영국 문제가 불거진 것이라 심기가 불편한 건 사실이다.
◇ 캐머런, 정치적 승부수 불가피..재계-야권 반발도 무시못해
그동안 EU 탈퇴 주장을 반대해 왔던 캐머런 총리가 이렇게 돌아선 것은 오는 2015년 총선 승리를 위해서다. 지난 2011년 13년 만에 보수당이 가까스로 정권을 쥐었는데 이를 내줄 수 없다는 절박감이 작용한 것이다.
![]() |
| 2017년까지 영국의 유럽연합(EU)탈퇴를 국민투표를 통해 묻겠다고 밝힌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출처=가디언) |
하지만 보수당 내부 여론은 달랠 수 있을 지 몰라도 자유민주당이나 노동당 등 야권은 반대하고 있어 브렉시트가 과연 현실화할 수 있을 지 의문이 들게 한다.
에드 밀리밴드 노동당 당수는 "국가적 이익을 위해서라고 말하고 있지만 캐머런 총리는 당내 세력에 휘둘린 것일 뿐"이라고 했고 닉 클레그 자유민주당 당수도 "캐머런 총리의 발언은 국가적 이해를 위한 게 아니다. 이미 수년째 EU 내 영국의 위상에 대한 지리한 협상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경제회복까지 불확실성 때문에 더 어려워지게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재계 반발의 목소리는 커지고 있다. 역내 무역이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기 때문. 외국으로부터의 투자 역시 줄어들 수 있다. 다만 시장 반응은 구문에는 거의 반응하지 않고 있다. 스탠다드 라이프 인베스트먼트 글로벌 전략부문의 앤드류 밀리건 수석은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이건 정치적인 이슈이지 경제적이거나 시장 이슈는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