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3차 양적완화(QE)가 1조 달러(1090조 원)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8% 안팎의 실업률을 비롯한 경기 부진을 지탱할 수 있는 정책 수단으로 사실상 QE3가 유일한 데다 단시일 안에 기대하는 효과를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정권 2기를 맞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세수를 늘리고 재정지출을 축소해야 하는 만큼 재정 측면의 경기부양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것이 전문가의 판단이다.
JP모간은 오바마 정부가 꺼낼 수 있는 경기부양 카드가 3차 QE 이외에는 없는 상황이며, 이 때문에 내년까지 QE3가 지속되는 가운데 규모가 1조달러를 넘어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IHS 글로벌 인사이트의 폴 에델스타인 디렉터도 “연준의 3차 QE가 유일한 경기부양책이며, 미국 경제 회복은 전적으로 여기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대선 결과가 확정된 7일 미국 국채 수익률이 폭락한 배경도 이 같은 맥락이라고 시장 전문가는 판단했다.
QE3는 매월 500억 달러 규모의 모기지 증권을 종료 시한 없이 매입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은 실업률이 충분히 떨어질 때까지 QE를 지속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지난달 실업률은 7.9%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시장 전문가와 일부 연준 정책자들은 실업률이 최소한 7%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연준이 QE를 멈추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모기지 증권 매입으로 실업률을 떨어뜨리는 데는 한계가 따를 수밖에 없고, 때문에 12월 열리는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이 새로운 QE를 발표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
JP모간의 마이클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QE3가 적어도 2014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이라며 “오바마 정부가 전반적인 수요와 경기신뢰를 실질적으로 끌어올릴 카드를 마련한다면 연준의 QE를 중단할 수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비현실적인 희망”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장 전문가들 사이에 효과가 제한적인 QE를 장기간 대규모로 지속할 경우 적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가 번지고 있다.
매크로이코노믹 어드바이저의 안툴리오 봄핌 전무이사는 “QE3가 시장 질서를 왜곡시키지 않고 경기부양 효과를 낸다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