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백현지 기자] 서울시가 산업뉴타운을 민간주도방식으로 전면 수정한다.
시는 10일 민간 기업이 주축이 되고 시·자치구가 행정·재정적 지원을 하는 내용의 '산업 및 특정개발진흥지구(특화산업지구) 활성화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오세훈 시장 시절인 지난 2009년 시는 1차 특화산업지구로 지정된 곳은 △성수 정보기술(IT) △마포 디자인 △종로 귀금속 △여의도·중구 금융 △양재 연구개발(R&D) 등 6곳을 선정했으며, 2010년에는 2차로 △중구 디자인·패션 △동대문 한방 △강남 디자인 △중구 인쇄 △중랑 패션 △아현 웨딩타운 등 6곳이다.
하지만 당초 특화산업지구에 부여했던 용적률 완화, 취득·재산세 감면 등의 혜택도 임대 입주 중인 영세사업자들에게는 혜택이 돌아가지 않는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연면적 50%이상 권장업종을 유치하면 용적률 120%를 일괄적으로 인센티브로 제공키로 했지만 다음해부터 유치 비율에 따라 105~120%로 차등 적용한다.
건물신축 또는 매입 시 검토됐던 취득세 및 재산세 감면 인센티브 역시 잠정 보류한다.
아울러 기존의 전면 철거방식에서 벗어나 수복형 도시정비 기법을 적용하겠다는 게 시의 계획이다.
자치구별로 전담부서 산업클러스터팀을 구성하고 사업추진이 불투명한 지구는 자치구 및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거쳐 '계속추진', '자치구 자체추진', '사업철회' 등을 연말까지 결정할 예정이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백현지 기자 (kyunji@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