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박영국 기자] 미국 소비자 잡지 컨슈머리포트가 LG전자의 시네마 3D TV에 대해 '최고'로 평가한 반면, 삼성전자 제품에는 하위권의 점수를 주면서 한동안 잠잠했던 양사간 3D TV 논란이 다시 한 번 불거질 전망이다.
컨슈머리포트는 LG전자, 삼성전자 소니, 샤프, 도시바, 비지오 등 6개사가 미국 시장에서 판매하는 3D TV 13개 제품을 비교 평가한 결과 LG전자의 시네마 3D TV(47LW5600)가 1위를 차지했다고 26일 밝혔다.
평가 결과에 따르면, LG 시네마 3D TV는 13개 제품 중 가장 높은 76점을 받았으며, 3D 효과(4점), HD 영상 화질(5점), SD 영상 화질(5점), 사운드(3점), 리모컨(5점), 메뉴(5점), 기능의 다양성(5점) 등 평가 항목별로도 각각 최고점을 받았다.
컨슈머리포트는 시네마 3D TV에 대해 '완벽한 1위'라며 '최고의 추천 제품'으로 꼽기도 했다.
특히, "더 밝고 화면 겹침 현상이 덜하고, 가벼운 3D 안경으로 더 나은 3D 영상을 구현하며, 고해상도와 일반해상도 모두에서 탁월한 화질을 구현한다"고 평했다.
또, 시야각이 상당히 넓어 중심에서 떨어져 시청하더라도 화면의 변화가 크지 않다는 점과 색 정확도가 탁월해 색이 매우 자연스럽고 실제와 같아 보인다는 점도 장점으로 언급했다.
다만 3D 모드에서 수직 시야각과 수직 해상도 저하는 아쉬운 점으로 평가했다.
반면 삼성전자가 올해 내놓은 셔터안경 방식 3D TV는 컨슈머리포트 평가에서 하위권에 머물렀다.
삼성의 신제품 중 고급형 3D TV(모델명 UN55D8000)는 종합평점 57점으로 최하위인 13위에 머물렀고, 보급형 TV(모델명 UN46D6400)는 평점 58점으로 12위를 기록했다.
오히려 신제품보다 사양이 낮은 지난해 구형 제품(UN46D6400)은 평점 61점으로 9위에 올라, 삼성의 제품 가운데 가장 높은 성적을 올렸다.
컨슈머리포트는 삼성전자의 3D TV에 대해 "화면이 어두운 장면에서 전체 화면의 밝기가 균일하지 않고, 상당수의 밝은 장면에서도 이 현상은 마찬가지"라며 "3D 모드에서 수직 이미지 손실이 상당해 풀 HD 해상도가 기대보다 못하다"고 지적했다.
또, 화면 가장자리가 계단처럼 층지는 현상이 나타나는 점과, 시야각이 좁아 비껴보면 색상, 명암비, 밝기 저하가 크다는 점도 언급했다.
그러나 삼성의 960Hz 유사 기술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잔상을 줄였다"고 호평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이같은 컨슈머리포트의 평가에 대해 당혹감을 표하면서 평가 방법과 조건에 대해 문의한 상태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올 초부터 각각 3D TV 기술로 SG(셔터글라스)방식과 FPR(필름패턴편광안경) 방식 기술을 놓고 논쟁을 벌여왔으며, 삼성전자 측에서 민감한 대응을 자제하면서 한동안 소강상태를 보였다.
하지만 이번 컨슈머리포트 평가 결과에 대해 삼성전자가 적극적인 반론에 나설 경우 양측의 3D TV 기술 우위 논쟁은 또다시 시장을 뜨겁게 달굴 전망이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박영국 기자 (24py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