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계, 명분과 실리를 나눠 갖는 수준 해석
[뉴스핌=이강혁 기자] 대한통운의 강력한 인수 후보로 꼽혀왔던 포스코(POSCO)가 삼성SDS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기로 하면서 재계가 득실 따지기에 바빠졌다.
단독 참여만으로도 롯데그룹이나 CJ그룹보다 비교 우위라는 평가를 받아오던 포스코가 왜 삼성과 손을 맞잡았냐는 것이 궁금증을 자아내는 것.
재계에서는, 포스코는 명분을 삼성은 실리를 챙길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양사간 논의가 오갔을 이른바 옵션 부분도 명분과 실리를 나눠 갖는 수준이 됐을 것이란 게 재계의 시선이다.
재계 한 고위 인사는 23일, "포스코 입장에서는 안팎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강력한 히든카드이고, 삼성 입장에서는 크게 힘들이지 않고 얻을 수 있는 것을 챙기는 조커 아니겠냐"고 말했다.
포스코는 사실 이번 대한통운 인수전에 뛰어들면서 안팎의 우려에 시달려야 했다.
업종 특성상 물류사업에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고 신성장원도 반드시 필요하지만 '과연 리스크 없는 인수가 가능할까' 의문이 높았던 것이다.
포스코는 지난해 대우인터내셔널을 3조3000억원에 인수하면서 부채비율이 높아진 상태다. 여기에 철강산업 자체가 남아도는 생산량 부담과 이익 규모 축소로 불투명한 업황을 보이고 있어 고민이 깊다.
대한통운의 경우 대우인터보다 규모가 작긴 하지만 연이어 인수하기엔 실탄에 대한 부담이 높을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해외에서 추진중인 제철소 건설 프로젝트에 좀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았다. 지난해 인도네시아에 해외 첫 일관제철소를 착공을 한데 이어 현재 인도에서도 12조원(120억 달러) 규모의 대형 제철소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낮은 주가로 고심하고 있는 포스코 입장에선 대한통운 인수 참여에 따른 회사 신용등급 및 주가 하락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올 초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포스코의 신용등급 하향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대규모 투자와 인수합병(M&A)으로 부채가 늘어 재무 상태가 악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런 상황에서 삼성의 등장은 포스코에겐 안팎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좋은 명분이다.
삼성 브랜드만으로 프리미엄이 상당하고, 삼성의 중공업 분야 등에 따른 파트너십도 공공히 할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이 많다. 자연스럽게 주주들까지도 달랠 수 있는 명분찾기인 셈이다.
삼성 입장에서도 물류사업 진출에 대한 시너지 측면에서 대한통운 인수 후보 가운데 포스코만한 적임자가 없다는 분석이다.
지난 4월 이재용 삼성전자 사장이 포스코 포항공장을 방문해 정준양 포스코 회장을 만난 자리에서 향후 사업에 대해 지속 협력하기로 한데 따른 '첫 작품'이란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삼성 내부 역시, 삼성전자나 삼성중공업 등 철강제품을 사용하는 계열사에 이번 연합작전으로 나름의 실리가 상당할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한편, 삼성이 포스코를 선택한 것은 범삼성가인 CJ그룹과 파트너 관계를 맺기는 훗날 껄끄러운 상황이 연출될 수도 있고, 사업적으로도 시너지를 낼만한 분야가 없다는 점이 고려됐을 것으로 풀이된다.
재계 한 인사는 "포스코와 삼성은 대한통운 인수에 성공하면 장기적으로 독자 사업 영역을 구축할 가능성이 많다"면서 "양사간 컨소시엄 구성의 논의는 이런 측면을 주고 받아 성립됐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이강혁 기자 (ikh@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