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 채권 시가평가표
우리나라 채권시장은 2008년 10월말 기준, 발행잔액은 1,035조원, 채권 종목은 23,733개이다. 유가증권시장 종목이 895개, 코스닥 종목이 1,037개 인데 비하여, 채권 종목 수가 훨씬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채권 종목 수가 20,000개가 넘는 이유는 채권의 Fixed Income 특성 때문이다. 국민은행이 발행한 채권 중에서 이자 지급방법과 만기일이 다른 국민은행채는 모두 다른 종류의 채권이다. 이자금액이나 만기일이 다르면 Fixed Income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많은 종류의 채권이 있음에도 1개의 채권시가평가표를 가지고 모든 종류의 채권가격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채권은 발행 시에 원리금 지급 금액과 지급 시기가 확정되어 있으므로, 할인율만 있으면 채권가격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채권시가평가표는 할인율을 제공하는 표이다.
채권시가평가표는 채권가격 평가기관에서 작성, 제공하는데, 현재는 증권업협회, 민간평가3사(KIS채권평가, 한국채권평가, NICE채권평가)에서 채권시가평가표를 제공하고 있다. 실무에서는 민간평가3사의 평균가격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채권평가 민간3사는 채권가격 외에 매주 Weekly를 작성하여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는 일주일간 채권시장에서 발생한 주요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다. 특히 KIS채권평가의 Weekly에는 주식관련사채의 매매에 관한 분석이 포함되어 있어 독자들에게 추천할 만하다.
KIS채권평가(www.bond.co.kr)
한국채권평가(www.bpkorea.com)
NICE채권평가(www.npricing.co.kr)

채권시가평가표는 당일 채권시장에서 거래된 채권금리를 중심으로 채권 평가사에서 작성하는 것으로, 투자한 채권을 시가로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이 표를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표의 우측 3개월, 6개월, …, 10년은 채권의 잔존만기를 나타낸다. 아래쪽으로 국채, 통안증권, AAA은행채, AA-회사채, … BBB- 회사채는 채권의 신용위험군을 의미한다. 위쪽으로 갈수록 안전한 채권이고, 아래쪽으로 내려올수록 신용위험이 증가하는 채권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존만기가 1년 남은 우리은행 할인채 1,000만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자. 현재의 시장가격이 얼마인지 위의 표를 가지고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우리은행채는 AAA등급이므로 할인율을 6.59% 적용하면 된다. 잔존만기는 1년이므로, 보유채권의 현재가치는 9,381,743원이 된다.
10,000,000원/(1+0.0659)^1 = 9,381,743원이다.
잔존만기가 2년 남은 신한은행 3개월 이표채(표면금리 7%)를 액면금액으로 1,000만원 보유하고 있다면 가격은 얼마일까? 신한은행 역시 AAA등급이므로 할인율 6.81%로 가격을 계산하면 된다.
엑셀을 사용하여 신한은행채의 가격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년 남은 신한은행 3개월 이표채(표면금리7%) 액면 1,000만원 채권의 가격은 10,066,404원이다.
채권가격이 1,000만원을 넘는 이유는 연7%이자를 지급하는 채권을 연6.81%로 할인했기 때문이다. 2년 만기 신한은행채를 매수하려는 사람은 연 6.81%의 금리를 요구하는데, 동 채권은 연7%의 금리를 지급하는 조건이 확정되어 있어서 이자율을 낮출 수 없으니까, 채권가격을 올려서 6.81%의 금리로 맞추는 원리와 같다.
채권가격 계산에 필요한 두 가지를 다시 한 번 강조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이미 정해진 미래의 현금흐름(Cash Flow)을 파악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이들 현금흐름을 할인하는 할인율을 파악하는 것이다.
첫 번째의 현금흐름은 채권 발행 당시에 이미 확정되어 채권이 소멸될 때까지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할인율은 경제변수의 움직임에 영향 받아 시시각각으로 변한다. 따라서 채권가격도 계속 변화한다.
할인율이 변하지 않더라도 하루가 경과하면 채권가격이 달라진다. 채권의 잔존만기가 하루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할인에 필요한 요소는 잔존만기와 할인율인데, 잔존만기가 하루 줄어들었기 때문에 채권가격이 그만큼 상승하게 된다.
채권가격을 계산할 때 과거의 경과된 기간은 전혀 의미가 없다. 발행할 때는 10년 만기 채권이었지만, 9년이 경과하여 1년이 남았다면 1년 만기 채권이다. 새로 발행되는 1년 만기 채권과 동일한 할인율을 적용한다. 채권가격은 미래현금흐름을 잔존기간과 할인율을 사용해서 할인하는 방식으로 계산하기 때문이다.
채권시가평가표는 채권가격 계산 뿐만 아니라, 수익률곡선 생성에도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