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별 특성 감안 않고 타이트한 규정 일률 적용 무리 지적에 결의는 무산
[뉴스핌=원정희 기자] 최근 부동산경기 위축등으로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는 부동산 PF와 관련해 은행들이 공동으로 리스크관리 등에 대한 모범규준을 만들어서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최종안 마련에 진통을 겪고 있다.
25일 은행권에 따르면 전일 은행연합회와 은행 여신담당 부장들은 정례 오찬을 갖고 이같은 모범규준 운영에 대해 논의했다.
테스크포스팀을 만들어 부동산 PF에 대한 사업성 및 신용조사, 신용평가모델, 현금흐름에 대한 관리 및 평가, 사후관리 등 부동산PF 취급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베스트 프렉티스를 모은 것이다.
부동산PF대출 취급 때 각 은행들이 갖고 있는 리스크관리 강점을 모으고, 취약점은 참고할 수 있도록 해 리스크관리를 강화하자는 취지다.
가령 다른 은행은 없지만 A은행이 부동산PF대출 한도를 설정하고 있다면 이 부문을 모범규준에 포함시켜 다른 은행들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은행연합회가 이같은 모범규준들을 정리해 이날 결의 형태로 의견을 모아 공동 적용하기로 했으나 결의는 불발된 것으로 전해졌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각 은행별로 나름대로 리스크관리를 하고 있고 또 각 은행 특성에 맞춰서 하고 있는데 일률적으로 똑같이 적용해서 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한편에선 중소기업에 대한 유동성 지원을 이야기하고 있는 등의 현 상황에서 너무 타이트한 리스크관리는 오히려 기업이나 은행에 부담이 된다든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부동산PF대출이 문제가 되고 있으니 앞으로 이런 대출을 취급할 때 리스크관리를 어떤 식으로 해야 할지 등에 대해 모범규준을 만들려는 것"이라며 "이날 결의가 안됐기 때문에 다시 작성해서 논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 한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리스크 잠재 요인을 점검하면서 부동산PF 부문에 문제의 소지가 있으니 향후 부동산PF취급할 때 리스크 요인들을 철저히 점검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지적을 했고 구체적인 사안은 금융회사들이 여신 취급 때 감안을 해야 하지 않겠냐"고 말했다.
[뉴스핌=원정희 기자] 최근 부동산경기 위축등으로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는 부동산 PF와 관련해 은행들이 공동으로 리스크관리 등에 대한 모범규준을 만들어서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최종안 마련에 진통을 겪고 있다.
25일 은행권에 따르면 전일 은행연합회와 은행 여신담당 부장들은 정례 오찬을 갖고 이같은 모범규준 운영에 대해 논의했다.
테스크포스팀을 만들어 부동산 PF에 대한 사업성 및 신용조사, 신용평가모델, 현금흐름에 대한 관리 및 평가, 사후관리 등 부동산PF 취급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베스트 프렉티스를 모은 것이다.
부동산PF대출 취급 때 각 은행들이 갖고 있는 리스크관리 강점을 모으고, 취약점은 참고할 수 있도록 해 리스크관리를 강화하자는 취지다.
가령 다른 은행은 없지만 A은행이 부동산PF대출 한도를 설정하고 있다면 이 부문을 모범규준에 포함시켜 다른 은행들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은행연합회가 이같은 모범규준들을 정리해 이날 결의 형태로 의견을 모아 공동 적용하기로 했으나 결의는 불발된 것으로 전해졌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각 은행별로 나름대로 리스크관리를 하고 있고 또 각 은행 특성에 맞춰서 하고 있는데 일률적으로 똑같이 적용해서 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한편에선 중소기업에 대한 유동성 지원을 이야기하고 있는 등의 현 상황에서 너무 타이트한 리스크관리는 오히려 기업이나 은행에 부담이 된다든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부동산PF대출이 문제가 되고 있으니 앞으로 이런 대출을 취급할 때 리스크관리를 어떤 식으로 해야 할지 등에 대해 모범규준을 만들려는 것"이라며 "이날 결의가 안됐기 때문에 다시 작성해서 논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원회 한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리스크 잠재 요인을 점검하면서 부동산PF 부문에 문제의 소지가 있으니 향후 부동산PF취급할 때 리스크 요인들을 철저히 점검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지적을 했고 구체적인 사안은 금융회사들이 여신 취급 때 감안을 해야 하지 않겠냐"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