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국회 'AI헬스케어 미래전략' 포럼
"2030년까지 인공일반지능 구축해야"
"디지털 치료 기기 수가 신설→산업 발전"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우리나라의 방대한 의료 데이터를 활용, AI(인공지능) 기반으로 기존 의료 인프라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해 AI 기기를 활용한 의료 수가 체계도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K-의료데이터 기반 AI헬스케어 미래전략' 포럼이 열린 가운데, 윤사중 존스홉킨스대학교 생명정보학부 교수(프리딕티브AI 대표이사)가 "헬스케어 분야에 2030년까지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인공일반지능)를 만들고, 2035년까지는 이를 고도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 |
|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25일 오전 윤사중 존스홉킨스대학교 생명정보학부 교수가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K-의료데이터 기반 AI헬스케어 미래전략' 토론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2025.11.25 calebcao@newspim.com |
윤 교수는 이를 위해 ▲한국형(Sovereign) 의료 데이터 확보 ▲한국형 의료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및 AGI 개발 ▲전국 의료 인프라에 AGI기반 서비스 도입의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윤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한국형 의료데이터는 전 국민의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영상 기록(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라이프로그(디지털기기로 확보한 일상의 신체 데이터)를 표준화해 결합시키는 형태로 확보해야 한다.
또 유전체 데이터의 경우 100세까지 건강하게 생존한 '한국 백세인 레퍼런스 지놈'을 확장 구축해 한국인들이 걸리는 유전병에 대한 정보를 고도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형 의료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및 AGI개발'을 위해선 우리나라의 의료 데이터와 임상 지식으로 훈련된 'K-의료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구체적으로는 진단 보조(영상 판독, 병리 분석), 신약 개발(후보 물질 발굴), 맞춤형 치료법 추천 등 각 의료 영역에 특화된 모델로 개발해야 한다. 단순 언어만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차트·영상·생체신호 등 복합적인 정보를 함께 이해하는 '멀티 모달(Multi-modal, 데이터 형태를 동시에 처리하고 통합해서 분석하거나 예측하는 인공지능 기술) AGI' 개발이 관건이다.
개발된 모델은 국민건강보험, 급여·비급여 수가 제도, 의약 분업 등 한국 의료 환경에 적용할 수 있다.
'전국 의료 인프라에 AGI기반 서비스 도입'은 개발된 AGI를 실제 임상 현장(병의원, 보건소)에서 활용하게 되는 단계다. 의사의 진료를 실시간으로 보조하는 'AI 진료 비서', 'AI 기반 임상결정지원시스템' 보급으로 기존의 의료 시스템에 큰 변혁을 가지고 올 것으로 전망된다.
환자 역시 그러한 인프라를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I 기반 문진, 만성질환 관리, 퇴원 후 케어 등 개인화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윤 교수는 "결론적으로 K-의료 AGI의 기대 효과는 의료비 절감, 의사 1인당 진료량 증가를 통한 생산성 향상, 일자리 창출, 의료 격차 해소, 예방 의학 강화, 만성 질환 조기 방비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25일 오전 윤찬 에버엑스 대표이사가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K-의료데이터 기반 AI헬스케어 미래전략' 토론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2025.11.25 calebcao@newspim.com |
AI 의료의 발전을 위해선 건강보험 적용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정형외과 전문의 출신의 윤찬 대표이사(에버엑스)는 독일 등 해외 사례를 언급하며 우리나라에서도 디지털 치료기기에 대해 신속하고 파격적인 수가 신설 및 보험 적용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에버엑스는 AI 기반의 맞춤형 디지털 재활운동치료 솔루션을 개발·제공하는 헬스테크 기업이다. 주로 근골격계 질환 환자를 위해 정밀 동작분석, 개인별 치료 방안, 디지털 치료기기 등의 플랫폼을 선보이고 있다.
윤 대표이사는 "아직 우리나라는 처방형 디지털 치료 기기에 대한 보험에서의 수가 제도가 제대로 완성돼 있지 않은 상황"이라며 "수가 부분이 선행돼서 해결되지 않으면 산업이 발전할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윤 대표이사의 설명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디지털 치료 기기를 인허가하고 국가 의료보험에서 환급해주는 국가들은 일본, 프랑스, 독일, 벨기에 등이 있다. 한국은 2020년부터 인허가가 되고 있지만 보험 환급이 이뤄지진 않고 있다.
윤 대표이사는 "독일 같은 경우에는 가장 앞서서 디지털 치료 기기를 적용하고 또 국가 보험 제도에서 상당히 파격적으로 환급을 해줬다"면서 "그 결과 독일에서는 지금까지 약 87만 건의 디지털 치료 기기 처방이 일어났고, 매년 가파르게 증가 추세"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아쉽지만 의료 보험 제도 밖에서 먼저 사업성을 입증하고 나중에 의료보험 제도로 들어오는 방식"이라며 "보다 파격적인 수가 구조 안에서 사업이 확장될 수 있는 그런 백그라운드를 만들어주는 게 국가에서 가져야 될 방향성"이라고 덧붙였다.
calebcao@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