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케일파워'·'엑스에너지' 등 글로벌 선도 SMR 개발사와 후속 논의 진행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원전 설비 전문기업 비에이치아이는 미국 내 주요 원자력 기관 및 기업들과 만나 대형 및 소형모듈원전(SMR) 사업 협력 논의를 진행했다고 18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논의는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가 개최한 '한-미 원자력 공급자 포럼'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비에이치아이는 국내 주요 원전 설비 공급사 자격으로 행사에 참가했으며, 이번 포럼은 미국 내 원전 및 에너지 인프라 확대 기조에 대응해 양국 기업 간 중장기 공급망 협력 확대 및 시너지 창출을 목표로 마련됐다.
특히 행사에는 비에이치아이를 포함해 국내 에너지 관련 정부 기관 및 '팀코리아'를 중심으로 한 주요 원전 밸류체인 기업들이 참여했다. 미국 측에서는 각 주정부와 운영사, 발전사, EPC(설계·조달·시공) 기업, 원전사업자, 엔지니어링사 및 SMR 개발사 등 현지 원전 생태계 주요 기관 및 기업이 대거 참석했다.
![]() |
| 비에이치아이 한-미 원자력 공급자 포럼 현장. [사진=비에이치아이] |
또한 행사 기간 동안 양국 기관 및 기업들은 원자력 공급망 협력에 대한 발표 및 정보 교류를 진행했으며, 참여 기업 간 B2B 파트너십 미팅이 다수 이뤄졌다. 페르미 아메리카, 컨스텔레이션 에너지, 도미니언 에너지 등 주요 발전사 및 원전사업자가 참여한 가운데, 비에이치아이는 운영사 및 EPC사, SMR 개발사를 중심으로 개별 미팅을 진행했다.
이미 비에이치아이는 뉴스케일파워, 엑스에너지, 앳킨스레얼리스 등 글로벌 SMR 선도 기업들과 심도 있는 협력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앞서 지난해 10월 이들 글로벌 주요 SMR 기업들은 경남 함안 비에이치아이 본사를 방문해 사업적 협력 관련 미팅을 진행한 바 있으며, 이후 지속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비에이치아이는 미국의 대표 원전 설계사인 '웨스팅하우스'에 원전 설비를 공급한 이력을 보유하고 있다. 당시 비에이치아이가 납품한 복수기는 미국 보글 3·4호기, 썸머 2·3호기 원전에 적용돼 있어 현지 대형 원전 협력에서 강점을 부각하고 있다.
최근 미국은 인공지능(AI) 확산과 데이터센터 수요 급증으로 대규모 전력 인프라 확충에 나서고 있다. 트럼프 정부는 2050년까지 원전 발전용량을 400GW로 확대하기 위해 대형 원전 10기 건설을 추진 중이다. 다만 미국 내 원전 제조 역량이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이어지면서 한국과의 협력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상황이다.
비에이치아이 관계자는 "이번 행사에서 미국 내 주요 정부 관계자, 디벨로퍼, EPC 기업, 대형 및 SMR 기업들과 다양한 협력 논의를 진행했다"며 "당사가 국내외에서 확보해온 다양한 원전 설비 레퍼런스를 적극 소개하며 협력 가능성을 한층 확대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논의를 기점으로 현지 업계와의 소통을 지속하고, 유의미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미국 원전 시장에서도 국내 대표 K-전력 인프라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비에이치아이는 최근 원전을 포함해 액화천연가스(LNG) 복합화력발전 등 미국 에너지 인프라 시장 공략을 위해 현지 법인 'BHI-FW'를 중심으로 북미 영업을 강화하고 있다.
nylee5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