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PS 배당·고금리 이자 부담 정리되면 현금흐름 정상화"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홈플러스가 회생절차 완료 시 금융비용과 임대료 부담이 대폭 줄어들어 단기간 내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16일 홈플러스는 입장문을 통해 최근 일부 언론 보도에서 제기된 "7000억 원 손실로 인가 전 M&A 후에도 운영이 어렵다"는 전망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강조하며 회생을 거친 기업은 구조조정 효과로 체질이 개선된다는 점을 거듭 설명했다.
![]() |
| 홈플러스 영등포점의 모습. [사진=뉴스핌DB] |
홈플러스는 차입금 구조 조정과 임대료 조정, 부실 점포 정리 등을 통해 손익 개선 여력이 크다고 밝혔다. 2024년 약 5,500억 원이던 금융비용은 회생절차 후 약 3,300억 원 수준으로 감소할 수 있으며 과도한 임대료도 약 1,400억 원 절감되었다고 홈플러스 측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미지급배당금 1,200억 원, 고금리 차입 과정에서 발생한 1회성 수수료·이자 비용 등도 대부분 해소돼 재무구조가 대폭 개선된다는 설명이다. 임대료 조정이 불가능한 적자 점포 폐점 시 약 700억 원의 손실 개선도 기대된다.
또 홈플러스 측은 대형마트업 특성상 매년 약 1,700억 원의 비현금성 감가상각비가 발생해 영업현금흐름 개선 속도도 더 빨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2024년 통상임금 확대 판례에 따라 일회성 비용으로 증가한 퇴직급여 600억 원 등 약 1,100억 원의 비용은 향후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아 당기순손실 상당 부분이 자연적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영업 측면에서도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대형 식품 전문매장 '메가 푸드 마켓'의 호조로 최근 3년 매출은 △2022년 6.6조 원 △2023년 6.93조 원 △2024년 6.99조 원으로 증가했다. 온라인 부문도 최근 3년간 연평균 20% 성장하며 2024년 기준 매출 1조 5천억 원을 기록해 전체의 22%를 차지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회생절차 종료 후 홈플러스는 안정적인 재무 기반과 성장 동력을 갖춘 유통기업으로 다시 태어날 것"이라며 "123개 점포와 연 1.5조 원 규모 온라인 사업을 기반으로 전략적 가치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mkyo@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