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기관 매수의견∙자금 집중된 A주 분석
5곳 이상 기관 평가, 장기 투자금 집중 A주
A주를 둘러싼 기관의 최신 투자트렌드 진단
이 기사는 11월 12일 오후 4시06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중국 본토 A주의 최신 투자 동향과 관련해, 3분기 실적 보고서를 통해 윤곽이 드러난 우수 실적주로 기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기관들이 적극 매수에 나서고 있는 최신 A주 종목 리스트를 통해 엿볼 수 있다.
업계 경기 호조에 힘입어 안정적인 실적 성장을 이어가며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재평가) 여력을 키운 일부 섹터의 대표 종목들을 중심으로 기관의 매수형 투자평가와 장기 투자금 유입이 이뤄지고 있어 주목된다.
◆ 11월 기관 관심도 집중된 91개주
중국 관영 증권시보(證券時報) 산하의 데이터 산출 플랫폼 수쥐바오(數據寶)에 따르면 11월 10일 기준으로 11월 들어 59개 기관이 총 2150건의 '매수형 의견(매수, 비중확대, 추천, 강력추천, 강력매수 포함)' 평가를 냈으며, 여기에는 총 1031개 종목이 포함됐다.
개별 종목별로 살펴보면 11월 이후 5곳 이상 기관의 평가를 받은 종목은 91개로 압축됐다.
그 중 중국 최대 전기차 제조사 비야디(比亞迪∙BYD 002594.SZ/1211.HK), 중국 고량주(백주) 대장주 산서행화촌분주(山西汾酒 600809.SH), 중국 대표 백색가전 제조업체 칭다오하이얼(海爾智家∙HAIER 600690.SH/6690.HK), 자동차 시트 관련 제품을 주력 생산하는 계봉자동차부품(繼峰股份∙NB-JF 603997.SH)이 각각 13개, 12개, 11개, 10개 기관의 평가를 받아 상위권을 차지했다.
![]() |
| [사진 신화사 = 뉴스핌 특약] 2025년 4월 29일 개최된 '인도네시아 전기차 박람회'에 전시된 비야디 (BYD)전기차 제품. |
비야디의 올해 3개 분기(1~3분기)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233억33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5% 감소했으나, 3분기 단일 분기 순이익은 78억2300만 위안으로 전기 대비 23.08% 증가했다.
2025년 10월 말 기준 비야디의 신에너지차 동력 배터리 및 에너지 저장 배터리의 누적 장착 용량은 230 기가와트시(GWh)를 넘어서면서, 전년 동기 대비 55% 이상의 성장률을 달성했다.
![]()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11.12 pxx17@newspim.com |
◆ 업황 호조 '자동차∙식품음료 섹터' 주목
기관 관심도가 집중된 종목이 속한 섹터를 살펴보면 자동차 섹터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섹터에 속한 종목 중 5곳 이상 기관의 평가를 받은 종목은 11개에 달했다. 이어 식품음료, 방직의복, 전자, 가전 업종이 각각 9개, 7개, 6개, 6개 종목으로 뒤를 이었다.
올해 들어 중국 자동차 산업은 뚜렷한 우상향 곡선을 그리며 지속 성장하고 있다. 특히, 신에너지차의 침투율이 눈에 띄게 높아졌다.
11월 11일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가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10월 자동차 생산·판매량은 각각 2769만2000 대와 2768만7000 대로 전년 동기 대비 모두 10% 이상 증가했다. 그 중 신에너지차 생산·판매량은 각각 1301만5000 대와 1294만3000 대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3.1%와 32.7% 늘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10월 신에너지차의 월간 신차 판매 점유율이 처음으로 전체 자동차 신차 판매의 50%를 넘어 51.6%에 달했다는 것이다. 수출 측면에서도, 올해 1~10월 신에너지차 수출은 201만4000 대로 전년 대비 90.4% 증가했다.
중국승용차연합회(CPCA) 추이둥수(崔東樹) 사무총장은 4분기 전망에 대해 "정책적 지원과 강한 성장세가 이어지며 자동차 시장은 안정적 확장세를 유지할 것"이라면서 2025년 성장 전망을 상향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 천스화(陳士華) 부비서장은 최근 "현재 국내 자동차 산업 발전 추세를 감안할 때 2025년 연간 자동차 수출은 650만 대를 넘어서고, 신에너지차 누적 판매량은 1600만 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전체 자동차 시장 실적이 예상보다 양호할 것"으로 내다봤다.
CAAM은 내년에도 이구환신(以舊換新, 노후 소비재를 신제품으로 교체) 정책을 최적화하며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을 권고했다.
중신건투증권(中信建投證券)은 최근 발표한 '2026년 자동차 투자전략 전망 보고서'를 통해 자동차 산업의 투자 방향을 경기순환∙성장∙해외 진출의 세 가지로 구분했다.
그 중에서도 '해외 진출'과 '성장'이 핵심 투자 테마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2026년에는 지원책 기대치가 약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자동차 업종의 경기순환 속성이 다소 약화될 것으로 예상, 이에 따라 내수 총량 전망에 대한 의존을 낮추고 산업 구조와 트렌드 변화를 중심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다.
상용차는 저평가된 안정적 배당 자산으로서 매력이 있다는 평가와 함께, 성장 키워드의 주축은 자율주행(스마트 드라이빙)‧로보택시(Robotaxi) 및 로봇 관련 AI 세부 응용 분야에 집중될 것으로 내다봤다.
완성차 제조사의 기술 속성 강화에 따라 밸류에이션의 재평가가 기대되며, 자동차 부품 업체들은 로봇 등 공급망의 기술 돌파를 통해 새로운 성장 공간을 열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식품음료 섹터 역시 11월 들어 기관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11월 10일 식품음료 섹터 지수는 3.22% 상승했고 세부 섹터인 유제품, 고량주(백주), 식품가공 테마지수는 모두 3% 이상 올랐다.
중국은행국제증권(中銀證券)은 "식품음료 산업은 전형적인 시클리컬(경기민감주) 산업으로 소비 섹터의 경기 회복은 거시경제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면서 "재정 및 통화정책의 공조 하에 소비가 개선될 것이며 이에 따라 식품음료 관련 세부 업종들은 경기 저점을 벗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기관의 매수의견∙자금 동향으로 판단② A주 최신 투자트렌드>로 이어짐.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