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10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81.44포인트(0.81%) 상승한 4만7368.54에 마쳤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03.65포인트(1.54%) 전진한 6832.45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522.64포인트(2.27%) 뛴 2만3527.17로 집계됐다.
역대 최장기간 이어졌던 미국 셧다운이 곧 종료될 것이란 기대감이 투자심리를 자극했다. 상원은 전날 단기지출법안(CR·임시예산안)에 대한 절차 표결을 실시해 찬성 60표, 반대 40표로 통과시켰다. 민주당 8명이 셧다운 기간 동안 해고·징계 유예, 연방 공무원 체불 임금 지급, '오바마케어(ACA)' 연장에 대한 공화당의 추후 표결 약속에 동의하면서다. 절차 표결은 법안에 대한 논의나 다음 단계 진행을 허용할 것인지를 묻는 사전 표결 성격으로 법안 자체에 대한 표결은 아니지만 일단 공화·민주 양당의 극한 대결이 종식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날 되살아난 위험 선호 심리가 가상자산과 반도체 업종 전반으로 확산되며 엔비디아는 5.79% 뛰었고, AMD는 4.47%, 로빈후드는 4.23% 상승 마감했다. AI 데이터 분석 기업 팔란티어는 8.81% 급등 마감했고, 테슬라는 3.66% 상승 마감했다.
반면, 헬스케어 보험·병원 관련주는 민주당의 핵심 요구였던 오바마케어 보조금 연장 없이 셧다운 종료안이 진전되면서 하락했다.
미국 국채금리는 올랐다. 뉴욕 채권시장에서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전장 대비 1.7bp(1bp=0.01%포인트) 오른 4.110%에 마감했다. 단기물인 2년물은 3.4bp 상승한 3.591%로, 30년물은 4.704%로 거의 변동이 없었다.
이날 국채금리는 투자자들이 셧다운 종료 기대감에 반응하며 상승(가격은 하락)했다. 시장에서는 "정부 재개 가능성이 커지면서 연준의 추가 완화 필요성이 낮아졌다"는 평가가 나왔다.
다만 금리 상승은 주로 단기물에 집중되며 수익률 곡선이 평탄화됐다. 2년물과 10년물 금리차는 53.3bp에서 51.5bp로 축소, 단기금리가 더 빠르게 오르는 '베어 플래트닝(bear flattening)' 흐름을 보였다. 이는 인플레이션 기대가 되살아나며 연준이 12월 금리 인하를 일시 중단할 가능성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시장에는 버라이즌과 캐터필러가 대규모 회사채를 여러 만기 구간(트랜치)으로 나누어 동시에 발행했다. 보통 월가 딜러들은 회사채 인수 과정에서 차입비용을 고정하기 위해 국채를 매도해 금리 변동을 헤지한다. 발행이 마무리되면 다시 국채를 사들이며 헤지를 해제하는데, 이를 '금리 잠금(rate lock) 해제'라고 부른다. 이 과정에서 단기적으로 국채 매도 압력이 커지며 수익률 상승을 부추겼다.
다만 이날 실시된 3년물 국채 입찰은 강한 수요를 보였다. 이날 실시된 580억달러 규모 3년물 국채의 발행 수익률은 3.579%로 시장 예상치보다 1bp 낮았고, 응찰률은 2.85배로 2023년 8월 이후 2년여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입찰 직후 3년물 금리는 3.597%로 소폭 상승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여전히 단기물 중심의 안전자산 수요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번 입찰은 11일 재향군인의 날(Veterans Day) 휴일을 앞두고 앞두고 평소보다 하루 앞당겨 실시됐다.
미 채권시장은 11일 휴장할 예정이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지수는 99.59로 보합권이었고, 유로/달러는 1.1561달러로 소폭 약세를 보였다. 달러/엔 환율은 전장대비 0.38% 오른 153.98엔, 호주달러/달러는 0.72% 상승한 0.6538달러를 기록했다.
미국에서 발표된 부진한 경제지표가 연준(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를 강화하면서 10일(현지시간) 금값이 2주래 최고치로 올랐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12월물은 온스당 2.8% 오른 4,122.00달러에 마감했다. 금 현물 장중에는 10월 24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미국 경제는 10월에 정부·소매업 부문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1월 초 미국 소비자심리지수는 경제 충격 가능성에 대한 가계 우려로 크게 하락했다.
유가는 공급 증가 전망에 등락을 거듭하다가 장 후반 미국의 대러 제재 및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정유시설 공격 소식에 상승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1월물은 43센트(0.7%) 상승한 배럴당 64.06달러에 마감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2월물은 38센트(0.6%) 오른 60.13달러에 마감했다.
러시아 소식통 3명에 따르면 석유기업 루코일(Lukoil)의 볼고그라드 정유시설은 지난 목요일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을 받고 가동을 중단했다.
루코일은 미국이 11월 21일까지 러시아 기업과의 거래 중단을 요구하는 데드라인이 다가오고, 스위스 트레이더 군보르(Gunvor)와의 매각 협상이 결렬되면서 운영 차질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전해졌다.
유럽 주요국 증시도 미국 정부 셧다운 종료 기대감에 크게 올랐다.
범유럽 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전장에 비해 8.03포인트(1.42%) 오른 572.82로 장을 마쳤다. 이 지수는 지난 5월 2일(+8.83포인트) 이후 6개월여 만에 최대 일일 상승폭을 기록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390.03포인트(1.65%) 뛴 2만3959.99에,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104.58포인트(1.08%) 전진한 9787.15로 마감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105.33포인트(1.32%) 오른 8055.51로 장을 마쳤다. 이탈리아 밀라노 증시의 FTSE-MIB 지수는 978.00포인트(2.28%) 급등한 4만3895.67에, 스페인 마드리드 증시의 IBEX 35 지수는 281.10포인트(1.77%) 상승한 1만6182.50으로 마감했다.
주요 섹터 중에서는 은행주가 2.9%, 기술주가 1.6% 상승하며 오름세를 주도했다.
데이터센터 장비 제조사 지멘스 에너지는 제프리스가 이 회사 주식에 대한 평가를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하자 4.6% 올랐다.
코메르츠방크도 도이체방크가 이 회사 주식 평가를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한 데 힘입어 6.6% 급등했다.
주류 제조사 디아지오는 테스코의 전 최고경영자(CEO) 데이브 루이스를 신임 CEO로 영입한다고 발표하면서 5.2% 상승했다.
독일 철강업체 잘츠기터는 올 들어 9월까지 세전 영업이익이 2억2400만 유로를 기록해 애널리스트들의 예상치 2억1900만 유로를 상회했다는 경영 성적표를 공개하며 5.4% 뛰었다.
인공지능(AI) 클라우드기업인 노던데이터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을 운영하는 럼블이 이 회사 전체 주식을 7억6700만 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하면서 31.5% 폭등했다.
10일 인도 증시는 상승했다. 미국 정부의 셧다운 해제 기대감 고조로 주요 증시가 상승하는 등 글로벌 투자 심리가 개선됐고, 국내 기업들의 3분기 이후 실적 회복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주가 상승을 뒷받침하면서 직전 3거래일 동안 이어진 하락세에서 전환했다.
센섹스30 지수는 0.38% 오른 8만 3535.35포인트, 니프티50 지수는 0.32% 상승한 2만 5574.35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10월 인도 시장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던 골드만삭스는 1년 만에 '오버웨이트'로 상향 조정했다. 기관은 2026년 말까지 니프티 지수가 14%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며, 수익 모멘텀 강화와 성장을 뒷받침하는 정책적 뒷받침을 언급했다.
이날 16개 세부 지수 중 13개 지수가 상승했다. 미국에서 상당한 매출을 올리는 대형 정보기술(IT) 기업을 추적하는 니프티 IT지수가 1.6% 상승하며 업종별 상승세를 주도했다.
특징주로는 인도 최대 뷰티·퍼스널케어 전문 유통 플랫폼 나이카(Nykaa)가 견고한 수요를 바탕으로 7~9월 분기 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3배 이상 늘리면서 5.8% 급등했다.
국영 전투기 제조업체인 힌두스탄 에어로노틱스(Hindustan Aeronautics)는 국내에서 생산한 경전투기 테자스(Tejas)의 첨단 변형 모델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제네럴 일렉트릭(General Electric)으로부터 엔진 113개를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한 후 3.5% 상승했다.
반면, 의류 소매업체 트렌트(Trent)는 2021년 이후 가장 낮은 7~9월 분기 매출 성장률을 기록한 후 7.4% 급락했다.
wonjc6@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