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10월 노동시장 동향 발표
가입자 1568만7000명…전년비 1.3% 증가
서비스업만 증가…건설업·제조업 감소
구직급여 지급액 1조492억…전년비 4.9%↑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고용보험 상시가입자 증가 폭이 2개월 연속 19만명대를 넘어섰다.
가입자 증가세는 내수 개선의 효과를 입은 서비스업이 견인했다. 제조업·건설업 가입자는 업황 부진에 따라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29세 이하는 인구감소 영향에 따라 제조업과 정보통신 등에서 9만명가량 줄었다. 40대는 건설업 중심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 고용보험 상시가입자 1568만7000명…내수 개선에 서비스업 종사자 증가
10일 고용노동부가 공개한 '2025년 10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고용보험 상시가입자 수는 1568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가입자 수는 지난해 10월보다 19만7000명(1.3%) 증가했다. 지난 9월(19만1000명)에 이어 2달 연속 19만명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 |
| 2025년 10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자료=고용노동부] 2025.11.09 sheep@newspim.com |
증가한 가입자 가운데 내국인은 18만1000명, 외국인은 1만6000명으로 확인됐다. 이들 1만6000명은 E-9, H-2 비자로 입국한 고용허가제 인력에 해당했다.
서비스업 가입자 수는 1094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2만7000명 증가했다. 보건복지업 중심으로 대부분 산업에서 늘어났는데, 숙박음식업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숙박음식점업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77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7만1000명(3.6%) 증가했다. 대부분 음식·음료업(25만9000명) 종사자로, 여성(19만5000명)이 많았고 연령대는 60세 이상(11만9000명)과 30대(10만1000명)가 주축이었다.
노동부 관계자는 "내수 관련 업종인 숙박음식점업 가입자 증가 폭이 확대됐고, 도·소매 감소폭은 완화하면서 전체 서비스업 증가 폭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9월 숙박음식점업 카드승인액은 12조8500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3.6% 증가했다.
제조업 가입자는 지난해 10월보다 1만4000명 줄어든 384만4000명을 기록했다. 제조업의 경우 5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감소 폭도 확대됐는데, 자동차 증가 폭은 둔화했으나 금속가공 및 기계장비 감소 폭이 늘어났다.
![]() |
| 서울 시내 카페 모습 2022.01.06 kimkim@newspim.com |
고용허가제 외국인 가입자는 지난달 기준 26만2000명으로, 89.8%가 제조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은 종합 건설업 중심 감소세가 이어졌으나 감소폭은 소폭 완화했다. 가입자 수는 74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7000명 줄었다.
남성 가입자는 860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4만7000명(0.5%) 증가했다. 여성은 708만2000명으로 15만1000명(2.2%) 늘었다.
연령대별 가입자 증감을 보면 29세 이하와 40대를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에서 모두 증가했다. 29세 이하는 인구감소 영향에 따라 9만명(-3.8%) 줄었는데, 제조업(-2만6000명)과 정보통신(-1만7000명) 중심이었다.
40대는 1년 전보다 2만2000명(-0.6%) 감소했고 주로 건설업(-1만3000명), 제조업(-8000명) 가입자였다.
60세 이상 가입자는 전체 285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8만6000명(7.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구직자 100명당 일자리 42개…1인당 구직급여액 182만3000원
지난달 고용24를 활용한 신규 구인인원은 14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3만4000명(-19.2%) 감소했다. 신규 구직자 수도 33만5000명으로 2만4000명(-6.6%) 줄었다.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를 보여주는 구인배수는 0.42로 전년 동월(0.49)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구직자 100명이 있다면 42개의 일자리만 있다는 의미다.
![]() |
| 2025년 10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자료=고용노동부] 2025.11.09 sheep@newspim.com |
구직급여 총지급액은 1조492억원으로 1년 전보다 486억원(4.9%) 증가했다. 지급자 수는 57만6000명으로 1만2000명(-2.0%) 감소했다.
1인당 지급액은 182만3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11만9000원(7.0%) 증가했다.
산업별 지급자 증감을 보면 제조업(2만8000명)과 교육서비스업(1만1000명) 등에서 늘어난 반면 건설업(-2만5000명), 도소매(-2만2000명), 숙박음식(-2만2000명)에서 감소했다.
새로운 구직급여 신청자 수는 7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5000명(-16.2%) 감소했다. 건설업(-2만7000명), 도소매업(-2만5000명), 제조업(-1만4000명) 등 모든 산업에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 관계자는 "추석 명절 영향으로 고용센터 근무일수가 2일 줄면서 신청자와 지급자 수가 줄었다"며 "지급액은 당월 실업인정 건수가 늘면서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sheep@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