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30일 '8월 산업활동동향' 발표
소비 2.4%↓·투자 1.1%↓·생산 제자리
7월 기저효과로 소비쿠폰 영향 부진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지난달 소비·투자가 모두 전월 대비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생산 역시 제자리걸음하면서 전월 대비 보합을 기록했다.
최근 이재명 정부의 경기 부양책인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효과를 발휘하면서 소비가 살아나는 모습을 보였지만, 지난달 들어 다시 흐름이 꺾였다. 이는 7월의 기저효과와 물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8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지난달 전(全)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4.5(2020=100)로 전월과 보합 수준을 보였다.
![]() |
전산업 생산은 광공업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서비스업과 건설업, 공공행정에서 모두 줄면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앞서 전산업 생산은 올해 3월(1.1%) 이후 4월(-0.7%)과 5월(-1.2%)에는 마이너스를 기록한 바 있다. 이후 6월(1.6%)과 7월(0.3%)까지 두 달 연속 플러스를 이어갔지만, 지난달에는 제자리 걸음 수준에 머물렀다.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3.1%) 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자동차(21.2%)와 의약품(11.0%) 등에서 늘면서 전월 대비 2.4%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전문·과학·기술(1.5%) 등에서 생산이 늘었지만, 도소매(-1.7%)와 협회·수리·개인(-6.0%) 등에서 줄면서 전월 대비 0.7%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은 전년 동월 기준으로는 -0.3%를 기록했다. 광공업 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0.9%, 서비스업 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1.0% 각각 증가했다.
![]() |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식품업계가 잇달아 가격 인상에 나서는 가운데 라면부터 맥주, 우유, 버거 등의 가격이 1일부터 동시에 인상된다. 올해 들어 가격을 올리거나 올리기로 한 식품·외식 업체는 40곳을 훌쩍 넘겼다. 업계는 원재료 가격 상승과 인건비 인상 등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라는 입장이지만,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물가에는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1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2025.04.01 yooksa@newspim.com |
재화 소비의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도 전월 대비 2.4% 감소하면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의복 등 준내구재(1.0%)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3.9%)와 가전제품 등 내구재(-1.6%)에서 판매가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줄었다.
소매판매는 5월에 보합 수준을 보인 이후 6월(0.6%)과 7월(2.7%)까지 두 달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지만, 지난달 들어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특히 7월의 증가율은 지난 2023년 2월 이후 2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로 집계됐다. 정부가 7월 21일부터 지급하기 시작한 소비쿠폰이 고물가·고금리에 억눌렸던 소비심리를 일부 회복시킨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지난달에는 이 같은 소비쿠폰을 기저로 한 플러스 흐름이 나타나지 않았다. 가장 크게 감소한 분야는 음식료품과 가전제품, 통신기기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7월에 이미 소비가 진행된 데 따른 기저효과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가전제품 소비는 7월에 선착순으로 진행된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과 아파트 입주 물량 감소 등으로 인해 전월 대비 감소했다"며 "7월에 갤럭시 등 신제품이 출시되면서 통신기기·컴퓨터 소비도 줄었고, 음식료품은 8월 이상 기후로 농축수산물 물가가 상승하면서 소비가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로도 0.5% 감소했다. 승용차 등 내구재(4.9%)와 의복 등 준내구재(2.2%)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3.5%)에서는 줄어든 영향을 받았다.
다만 소비쿠폰의 효과는 여전히 발휘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두원 심의관은 "최근 소비 심리 개선 추이와 9월에 이뤄진 추가적인 소비쿠폰 지급 등을 고려했을 때 소매판매와 서비스업 등은 다시 상승하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 |
수출용 자동차 선적.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음. [사진=현대차] |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1.1% 감소했다. 앞서 7월에는 7.6% 증가하면서 2월(21.3%) 이후 5개월 만에 플러스를 기록했지만, 한 달 만에 하락 전환했다.
정밀기기 등 기계류(1.0%)에서 투자가 늘었지만,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6.0%)에서 줄면서 전체적으로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전년 동월 대비로도 -0.4%를 나타냈다.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1.9%)에서 투자가 늘었지만,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4.7%)에서 줄었다.
건설기성은 전월 대비 6.1% 감소했다. 건축(-6.8%)과 토목(-4.0%)에서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든 데 영향을 받았다.
전년 동월 기준으로는 -17.9%로 감소폭이 더욱 늘어난다. 건축(-19.6%)과 토목(-12.8%)에서 공사실적이 모두 줄어든 탓이다. 건설기성은 전년 동월 기준으로 16개월 연속 감소 중이다.
다만 건설 수주는 전년 동월 대비 44.8% 증가했다. 주택 등 건축(46.9%)과 철도·궤도 등 토목(38.4%)에서 수주가 모두 늘어나면서 증가폭을 견인했다. 하지만 건설업 업황 부진으로 인해 이런 상승세가 향후 건설기성으로 이어질지는 아직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에 관해 이두원 심의관은 "통상적으로 건설 수주는 일정 부분 시차를 두고 건설기성으로 이어지지만, 지난달 수주한 아파트 신축 공사나 신공항 접근 철도 공사 등은 수주에서 착공까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건설 업황 자체가 좋지 않다 보니 환경적 요인 등을 고려해 시간을 들여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7월에는 생산 0.3%, 소비 2.7%, 투자 7.6% 등 모든 부문이 증가하면서 지난 2월 이후 5개월 만에 '트리플 증가'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달에는 모든 부문이 부진한 수치를 나타내며 한 달만에 플러스 흐름이 꺾였다.
![]() |
8월 산업활동동향 [자료=통계청] 2025.09.30 rang@newspim.com |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2으로 전월보다 0.2포인트(p) 상승했다. 향후 경기 흐름을 나타내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2.0으로 전월보다 0.5p 증가했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23년 4월 이후 줄곧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22년 9월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했으나, 올해 들어 매달 상승·하락을 반복 중이다.
이두원 심의관은 "최근 반도체·조선업 중심의 수출 회복이나 글로벌 금리 인상 종료에 따른 투자 심리 개선 등으로 경기 회복 기대감이 나타난 것으로 본다"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혼조세를 보이면서도 지난달에는 반등했지만, 계속 이런 추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풀이했다.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