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캐나다 장애예술 작가 10인 참여
모두미술공간 '열린 균열,가능성의 틈'전
이원형어워드 수상작가전도 동시개최
[서울=뉴스핌]이영란 편집위원/미술전문기자=세상의 주류가 정한 기준에서 볼 때 장애는 분명히 '핸디캡'이다. 하지만 때로는 '챌린지'이자 또다른 '동력'일 수도 있다. 장애예술 작가인 고유선(b.1992)은 남들이 듣지 못하는 소리와 보이지 않는 형체를 듣고 본다. 그는 환시를 통해 마주한 뱀을 스스로와 연결시켜 강렬하고도 환상적인 회화를 탄생시켰다. 여러 빛깔의 뱀이 서로 얽히고, 똬리를 틀며 인간을 칭칭 감고 있는 그림은 섬찟하기 보다는 생생한 에너지를 뿜어낸다. 고유선은 말했다. "장애는 내게 고유한 '경험'이다. 남들에겐 보이지 않는 형상을 포착해 표현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우리 모두는 하나의 '원' 안에서 서로 연결되는 인격체임을 말하고 싶다".
![]() |
| [서울=뉴스핌]이영란 미술전문기자=한국캐나다 장애예술교류전 중 고유선의 회화 '뱀이 들리고 보인다'. 2023. 종이에 아크릴릭, 오일 파스텔. 환시를 통해 마주한 뱀을 인간 형상과 엮어 환상적이면서도 강렬하게 표현한 작품이다. 2025.11.07 art29@newspim.com |
한국과 캐나다의 장애예술인 10인이 참여한 미술전시회가 서울역 앞 서울스퀘어 내 모두미술공간에서 11월 5일 개막했다. 장애와 예술의 관계를 탐색하고, 감각과 경험의 경계를 확장하는 작업을 선보이는 전시의 타이틀은 '한국-캐나다 장애예술 교류전: 열린 균열, 가능성의 틈'이다.
이번 교류전은 '2024-2025 한국-캐나다 상호 문화교류의 해'를 맞아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사장 방귀희, 이하 장문원),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원장 박창식), 캐나다 전국장애인예술센터(NaAC)가 공동주관해 오는 12월 4일까지 모두미술공간 전시실에서 열린다.
![]() |
| [서울=뉴스핌] 캐나다의 작가이자 디자이너인 아타나스 보즈다로프의 출품작 '캘거리의 경사로'(위쪽), '나쁜 경사로'. 조각 사진 그래픽 디자인 등 여러 장르를 넘나들며 인간의 이동을 위한 접근성의 현황과 체계, 장애와 디자인의 교차점 등을 탐구해온 작가는 결함이 있는 디자인과 터무니없는 재료(심지어 종이 경사로, 뽁뽁이 경사로도 있다), 불안전한 구조를 거침없이 드러내는 방식을 통해 시스템의 문제점과 아이러니를 흥미롭게 드러내고 있다. 동시에 성찰의 가능성도 보여준다. [사진=이영란 미술전문기자] 2025.11.07 art29@newspim.com |
전시는 양국의 장애예술 교류를 기반으로 새로운 예술적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로 대담 프로그램 '접근가능한 여행'을 통해 상호 접근성과 포용의 의미도 함께 나눌 예정이다.
이번 전시에는 한국과 캐나다에서 선정된 장애예술 작가 10인(각국 5인)이 참여했다. 양국 간 지속적인 장애예술 교류를 목표로, 한국의 장문원과 캐나다 NaAC가 작가 선정에서부터 전시회 구성까지 공동으로 추진했다. 지난 9~10월에는 캐나다에서 전시와 교류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11월에는 캐나다 작가들이 한국을 방문해 협업과 문화예술 교류를 이어갈 예정이다.
![]() |
| [서울=뉴스핌]이영란 미술전문기자=데이비드 오퐁 '10가지 사실'. 2022. 탱크와 폭발로 아수자랑이 된 장면 앞에 러시아 대통령을 그려넣어 지구촌에 먹구름을 드리우는 전쟁의 양상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가나 아크라 출신으로 캐나다 앨버타에서 작가로 활동 중인 오퐁은 뉴스미디어로부터 영감을 얻어 사회 정치적 스토리텔링을 작품에 녹여내고 있다. 2025.11.07 art29@newspim.com |
지난 6월 실시된 공모를 통해 선정된 양국의 장애예술인 10명 중 한국작가는 고유선, 김은설, 김현우, 김치형, 유다영 등이다. 캐나다에서는 아타나스 보즈다로프, 데이비드 오퐁, 조니 테이, 로리 랜드리, 메이 챈-롱이 선정됐다.
전시 참여작가들은 서로 다른 장애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저마다 독창적인 작업을 선보이고 있다. 캐나다의 조니 타이(Johnny Tai)는 시각·청각장애의 경험을 촉각 기반의 에칭(알루미늄)작업으로 풀어냈다. 로리 랜드리(Laurie Landry)는 청각장애인의 언어이자 문화인 수어와 농문화에서 비롯된 정체성을 회화로 시각화했다.
![]() |
| [서울=뉴스핌] 캐나다 작가 메이 챈-롱의 '꿋꿋이 서기'. 딱딱한 강철을 구부리고 비튼 뒤 재가공한 시멘트와 안료를 겹겹이 올려 완성한 작품이다. 제작에 걸린 고된 과정과 시간이 삶의 굴곡을 암시하고 있다. [사진=이영란 미술전문기자] 2025.11.07 art29@newspim.com |
한국에서는 촉각 사운드 실험을 통해 감각의 경계를 확장한 설치미술을 선보인 김은설과 정신장애의 경험을 상징적 이미지로 표현하는 고유선 등이 작품을 출품했다.
참여 작가들은 장애를 하나의 고정된 정체성으로 바라보지 않고, 다층적인 경험으로 확장하며 특색있는 작품들을 직조해냈다. 이번 전시는 작가들이 경험한 장애의 균열을 통해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며 개별 작가들의 장애와 예술 사이의 복합적이고 유연한 관계를 성찰하는 자리이기도 하다.
전시 연계프로그램으로 장애예술인들의 이동과 여행 경험을 주제로 한 '접근가능한 여행'이 진행된다. 대담에서는 한국과 캐나다 참여 작가들이 교류 경험을 공유하고,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를 넘는 접근성의 의미를 함께 짚어보게 된다.
방귀희 이사장은 "이번 전시는 한국과 캐나다의 장애예술인들이교류를 통해 경험한 문화적 차이와 양국의 장애예술 제도 그리고 장애예술인 스스로 느끼는 주체성을 나누는 자리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모두미술공간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이 운영하는 장애예술 전시 전문공간으로, 장애예술인들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예술의 다양성과 접근성을 확장하는 전시를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 |
| [서울=뉴스핌]이영란 미술전문기자= '이원형어워드' 수상작가인 양희성의 유화 '자갈의 노래'. 여행지에서 접한 장면을 바탕으로 다름과 개성이 공존하는 세상을 크고 작은 바위와 돌들을 화폭 가득 채워넣어 설득력있게 표현했다. 2018. 2025.11.07 art29@newspim.com |
◆'이원형어워드 수상작가전'도 동시개막
이번 '한국-캐나다 장애예술 교류전'과 함께 모두미술공간에서는 이원형 어워드를 수상한 한국 장애예술 작가 8명의 합동전도 동시에 열리고 있다. 이원형어워드는 한국 출신으로 캐나다로 이주해 창작활동을 한 조각가 이원형(1946~2021)이 제정한 상이다.
소아마비로 인한 신체적 제약 속에서도 청동과 같은 무거운 재료를 다루며 인간의 고통화 희망을 조각에 담아냈던 이원형은 2018년 자신의 이름을 딴 '이원형어워드'를 제정했다. 비록 캐나다에서 활동하지만 고국 장애미술인의 창작활동을 독려하기 위해 매년 장애예술인을 대상으로 작품을 공모해 심사를 거쳐 최종 1인을 시상해왔다. 수상작에게는 상패와 상금이 수여되고 전시기회도 제공한다. 이원형 작가 사후에도 유족들은 이 사업을 전개해 현재 총 8명의 작가가 상을 받았다.
![]() |
| [서울=뉴스핌]이영란 미술전문기자='이원형어워드 수상작가전' 중 김재호의 유화 작품 '심장에 비수를 꽂다'. 2016. 하트 모양의 심장에 크고 작은 칼과 도끼, 가위가 꽂혀 있고 주위로 오색의 물감이 둘러싸여 있다.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느끼는 복잡다단한 감정을 입체적으로 표현했다. 화려한 색감으로 캔버스를 채우는 과정은 자신의 상처를 마주하고 치유하며 스스로 마음을 돌보는 방법이라고 한다. 2025.11.07 art29@newspim.com |
이번 '이원형어워드 수상작가전'에는 강내균 김재호 문승현 문정연 백지은 양희성 최지현 한부열 등 8명의 작가가 수상작 또는 최근에 제작한 근작및 신작 등 다채로운 작업들을 선보이고 있다. 이 전시도 오는 12월 4일까지 열린다. 무료관람.
art2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