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지역위원장 워크숍서 보고 예정
지방 비례 의원 100% 권리당원 투표
광역 비례 의원 2번에 '청년' 배정 검토
공천 신문고 '경선공정센터' 도입 전망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더불어민주당 지방선거기획단이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확정을 앞두고 막바지 조율에 들어갔다. 당원 권한 강화를 핵심으로, 지방 비례대표 의원은 100% 권리당원 투표로 선출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청년·여성 등 정치 신인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가점도 확대된다.
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지선기획단은 경선룰과 시행세칙안을 마련했으며, 관련 권고안은 내달 구성될 공천관리심사위원회에서 최종 확정된다.
![]() |
|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지방선거기획단 3차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10.22 pangbin@newspim.com |
이번 경선룰의 가장 큰 변화는 지방 비례대표 의원 후보를 100% 권리당원 투표로 선출하는 것이다. 정청래 당대표가 강조해온 '당원 주권 강화' 기조가 반영된 결과다. 기존에는 지역위원장이 임명한 상무위원회가 비례 후보를 결정해 사실상 시·도당위원장이 공천권을 행사해왔다.
지선기획단 관계자는 "공천권을 당원에게 돌리자는 흐름은 오래전부터 있었다"며 "이제는 중앙이나 지역위원장이 권한을 독점하는 시대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단체장 경선의 경우 기존 방식인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병행 방식을 유지하기로 했다. 일각에서 제기된 당원 투표 비중 확대는 최종적으로 반영되지 않았다.
광역의원 경선은 당원 100% 투표제를 유지하되, 기존 ARS(자동응답) 방식 대신 온라인 투표 방식을 도입하는 안이 검토되고 있다. 한 관계자는 "ARS보다 온라인 방식이 비용 효율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지선기획단은 '컷오프 최소화' 기조 아래 후보 검증 절차를 강화하고, 여러 차례 경선을 치르는 방식도 구상 중이다. 청년·여성·신인 후보에게는 가점을 기존보다 상향 적용할 전망이다.
특히 청년 정치 참여 확대 차원에서 광역 비례대표 의원의 2번 순번을 청년에게 배정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논의되고 있다. 현행 공직선거법이 여성의 비례대표 1번을 의무화한 것처럼, 청년에게도 기회 보장을 제도화하겠다는 취지다. 당 관계자는 "광역 전체가 아닌 일부 지역부터 권고 형태로 시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경선공정센터(가칭)' 설치도 검토되고 있다. 공천 과정에서 불복 또는 이의 제기를 처리할 별도 기구로, 기존 재심위원회를 보완하는 역할을 맡는다. 조승래 사무총장은 "억울한 공천 배제를 방지하기 위해 중앙당에 공천신문고 설치를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지선기획단은 오는 10일 지역위원장 워크숍에서 공천룰 초안을 보고하고, 11월 중순 최종안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기획단 관계자는 "지역위원장 워크숍에서도 의견 수렴이 있을 것"이라며 "최고위 의결, 당무위 인준 절차가 남아 현재 최종 확정안은 아닌 단계"라고 말했다.
chaexoung@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