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분기부터 엠비언트 에이전트 점진 적용 예정
통합 프레임 설계로 쇼핑·금융·검색·로컬 동시 동작 구현
광고, 오토 프라이싱 도입해 사용자·사업자 최적 구조 실험
신뢰성 높은 데이터 기반 POS 연동·클립 강화로 차별화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가 내년 상반기 'AI 탭'을 통해 사용자의 맥락을 이해하고 실행까지 돕는 '통합 에이전트'를 선보인다.
김범준 네이버 최고운영책임자(COO)는 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단25' 키노트 Q&A 기자간담회에서 "서비스 맥락의 적재적소에서 사용자를 직접 도와주는 '온-서비스 AI 에이전트'가 네이버의 차별점"이라며 "내년 봄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앱에서 쇼핑 에이전트를 공개하고, 내년 여름 론칭될 AI 탭에서는 단순 답변을 넘어 사용자가 원하는 테스크를 대신 실행해 주는 옵션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김 COO는 에이전트의 연동 전략에 대해 "결국 어떤 에이전트 서비스도 외부 서비스와의 연동이 필수"라며 "네이버는 이미 생태계를 갖고 있어 브랜드스토어·스마트플레이스·쇼핑·로컬은 물론 전문가 영역까지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검색 광고로 연결되던 외부 사이트와의 연동도 훨씬 더 쉽게 가능해질 것"이라며 "개인·사업자도 각자 에이전트를 만들어 고객을 상대할 수 있는 기반을 네이버가 제공하겠다"고 전했다.
추천·요약 중심의 '엠비언트(ambient) 에이전트'는 올해 4분기부터 관심 주제를 골라 점진 적용한다. 김 COO는 "사용자가 관심을 보인 주제는 아침 브리핑으로 먼저 요약 제시하고, 필요하면 신청·실행까지 연결하겠다"며 "모든 사용자에게 일괄 노출하기보다 관심이 뚜렷한 이용자부터 시범 적용해 점진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 |
| 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단25' 키노트 Q&A 기자간담회 현장. 김범준 네이버 최고운영책임자(COO)가 질문에 답을 하고 있다. [사진=양태훈 기자] |
광고 개편과 관련해서는 "키워드가 들어오면 검색이 먼저 수천 개 사이트를 평가해 후보를 추리고, 광고는 그 안에서 전환가치(CTR 확률 등)를 반영해 우선순위를 매긴다"며 "생성형 브리핑 등 에이전트 맥락에서는 광고주가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참여 비중을 자동 산정하는 '오토 프라이싱'으로 사용자를 괴롭게 하지 않는 광고를 지향하겠다. 돈을 더 벌기 위한 전환이 아니라 사용자와 사업자 모두에 최적인 구조를 점진적으로 실험하겠다"고 전했다.
또한, 데이터 전략의 핵심으로 '신뢰성' 확보에 집중한다는 계획도 공유했다. 김 COO는 "AI가 만든 정보가 인터넷의 과반을 넘는 시대에, 에이전트가 의존하는 데이터가 믿을 수 있느냐가 더 중요해졌다"며 "플레이스 리뷰는 실제 방문·예약·영수증 등으로 검증하고, 쇼핑은 주문·반품 데이터까지 본다. 포스(POS)와 실시간 연동해 혼잡도·인기 메뉴를 실제 주문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전략과 관련해서는 현지화에 집중하기로 했다. 김 COO는 "한국 네이버와 달리 미국·일본·유럽은 서비스의 존재감이 달라 에이전트의 '형상'도 모두 다를 것"이라며 "네이버웹툰·포시마크·왈라팝 등 각 서비스 위에서 맞춤형 에이전트를 전개, 태국 관광 에이전트처럼 정부·기관과 협업하는 테크 이네이블러 트랙으로 기술과 노하우를 수출하겠다"고 전했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