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도구 해양관광특구 지정 제안"
"청년 일자리 위해 기업 유치 필요"
[부산=뉴스핌] 남경문 기자 = "인생의 시작이자 종착지인 영도를 위해 헌신하겠습니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영도구청장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박 전 부산시의원은 제8대 부산시의회 도시안전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전문가적인 식견으로 날카로운 의정 활동을 펼친 시의원으로 알려져 있다.
![]() |
| [부산=뉴스핌] 남경문 기자 = 뉴스핌과 인터뷰를 하고 있는 박성윤 전 부산시의원 2025.11.05 |
<뉴스핌>은 5일 오전 부산 영도구 한 사무실에서 박 전 의원을 만났다. 넥타이를 매지 않은 간편한 복장으로 환한 얼굴로 기자를 맞이했다. 제2의 고향으로 영도를 택한 그는 영도발전과 관련해 이야기부터 털어 놓았다.
박 전 의원은 "경남 고성에서 태어나 8남매와 함께 영도에 터를 잡은 지 벌써 60년이 넘었다"며 "4대째 영도에서 살아온 만큼 지역이 안고 있는 문제를 누구보다 잘 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주민이 주인되는 실질적인 변화의 정치를 하겠다"고 덧붙였다.
UDU 첩보부대 출신인 박 전 의원은 "'불의에는 당당히 맞서야 한다'는 삶의 신념으로 정치를 해왔다"고 귀띔했다.
그는 젊은 시절 해군 UDU 첩보부대에서 복무하며 '정의로운 사회'를 꿈꿨다고 회상하며 "6년 가까이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며 '이제부터는 덤으로 사는 인생'으로, 지역을 위해 헌신하겠다"고 다짐했다.
2002년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한 박 전 시의원은 두 차례 구의원과 시의원을 지내며 지역 현안을 챙겼다. 박 전 의원은 "시민이 참여하는 정치라는 말에 공감해 정치에 뛰어들었다. 그동안 영도에서만 25년을 생활 정치에 바쳤다"고 강조했다.
그는 영도의 가장 큰 현안으로 청년 일자리와 기업 유치를 꼽으며 "상인과 어르신, 학부모들을 만나보면 일자리 이야기가 제일 먼저 나온다. 인구가 줄고 재개발이 지지부진한 이유도 결국 일자리 문제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해결책으로 해양관광특구 지정을 내세웠다.
박 전 의원은 "4면이 바다인 영도는 해양 산업과 관광을 묶은 발전 모델이 가능하다. 기업이 들어오고 일자리가 생기면 인구 감소 문제도 함께 풀린다"고 역설했다.
해양관광특구 추진에 따른 주거 대책과 관련해서는 "LH나 도시공사와 협력해 빈집을 청년 주택과 기숙사로 바꾸겠다. 청년층이 살 수 있는 환경부터 만들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영도에는 해수욕장이 없다. 중리 바닷가에 몽돌 해수욕장을 조성해 안전·주차시설을 갖춘 체류형 관광지로 만들겠다"며 "싱가포르 센토사처럼,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처럼 변모한 영도를 주민들과 함께 보고 싶다"고 자신 포부도 설명했다.
![]() |
| 지난 2017년 더불민주당 경선을 위해 부산 영도를 찾은 김혜경 여사와 함께 박성윤 전 부산시의원(맨 오른쪽)이 열린 마을공동체와의 간담회를 갖고 있다. [사진=박성윤 전 부산시의원] 2025.11.05 |
박 전 의원은 정치적 이력보다 주목받는 건 이재명 대통령과의 인연이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이 성남시장 시절 추진하던 정책을 보며 '진짜 일하는 정치'를 처음 봤다"며 "그때부터 이 대통령의 철학을 부산에서 실천해보겠다는 마음이 생겼다"고 전했다.
실제로 박 전 의원은 지난 세 번의 대선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적극 지원하며 부산권 선거조직을 책임졌다.
그는 "2017년, 2022년, 그리고 지난 2025년까지 세 번의 대선 캠프에서 현장을 맡았다. 정치적 선택의 순간마다 망설임이 없었다. 그만큼 철학이 통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재명 대통령이 그랬듯, 저 역시 현안을 보며 바로 행동하는 스타일이다. 영도 문제도 철저히 데이터 기반으로 접근해 변화의 결과를 보여주려 한다"고 강조했다.
박 전 의원은 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부산시의회 도시안전위원장, 조선의열단 기념사업회 부산지부장 등을 역임했다.
news234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