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대외자산 증가, 대외 건전성에 긍정적이나 자본유출 위험"
"국내 증시 '밸류업' 등 투자여건 개선·연기금 국내 투자 확대해야"
[서울=뉴스핌] 온종훈 선임기자 =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 대비 순대외자산 비율이 균형 수준보다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학개미 등의 해외 투자가 빠르게 늘어난 것도 하나의 요인인데, 순대외자산 증가는 대외 건전성 측면에서 긍정적이지만 환율에서 원화 약세 압력이 그만큼 커질 우려도 제기됐다.
한국은행이 5일 공개한 '순대외자산 안정화 가능성 평가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순대외자산(NFA·대외금융자산-대외금융부채)은 2014년 3분기 플러스로 전환한 뒤 지난해 4분기 1조달러를 넘어섰다. 올해 6월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NFA 비율은 55.7%로 역대 두번째 수준이다.
한은이 국민소득, 인구구조 등 펀더멘털(기초) 지표를 바탕으로 산출한 우리나라의 균형 NFA 비율(GDP 대비)은 2015년 -3%에서 2023년 30%로 올랐다. 우리나라 실제 NFA 비율의 경우 2023년(47%)이나 현재(55%) 모두 2023년 기준 균형 비율보다는 높은 상태다.
이희은 한은 해외투자분석팀 과장은 "우리나라의 NFA 비율은 일본, 노르웨이 등 전통적 순대외채권국보다 낮지만 대표적 순대외채무국인 미국 등과 비교해 높은 편"이라며 "최근 한국 NFA 비율이 균형 수준을 넘어 빠르게 높아진 데는 인구 고령화 등에 따른 국내 자산 수익률 저하, 연기금 등의 대규모 해외 투자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글로벌 무역 불균형에 따른 경상수지 흑자, 연기금 해외 투자, 국내 투자 수익률 저하 등의 요인이 단기적으로 해소되기 어려운 만큼 우리나라 NFA가 당분간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과장은 "NFA 증가는 대외 건전성 강화라는 긍정적 측면이 있지만 자본의 해외 유출에 따른 국내 자본시장 투자 기반 약화, 달러 수요 증가에 따른 원화 약세 압력, 글로벌 위험 노출 확대, 무역 불균형에 따른 통상 압력 등 부정적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거주자의 해외투자 증가로 NFA 구성의 중심이 준비자산·은행 부문(기타투자)에서 민간 부문으로 이동하는 현상은 은행·공공부문 외화자산이 외환 수급 변동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유의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국내 주식 시장의 투자 여건을 개선하고, 연기금의 국내 투자 활성화 등을 통해 과도한 해외 투자 치우침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 |
| [자료=한국은행] 2025.11.05 ojh1111@newspim.com |
ojh111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