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현장 '안전삐삐' 도입… CCTV 실시간 관제도
근로자 참여형 인센티브 강화로 자율 안전문화 확산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DL이앤씨가 건설 현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전사적 역량을 집중한다.
![]() |
| DL이앤씨 마곡 신사옥에 설치된 종합안전관제상황실 [사진=DL이앤씨] |
4일 DL이앤씨는 지난 9월 마곡 사옥에 오픈형 스마트 종합안전관제상황실을 새롭게 구축했다.
이곳에서는 전국 현장의 근로자 출역 현황과 작업 정보, 위험 작업 구역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총 32개의 55인치 대형 모니터를 설치해 CCTV 영상과 안전 데이터가 한눈에 보이도록 했다.
근로자 위치와 작업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스마트 IoT(사물인터넷) 안전삐삐'를 전 현장에 도입했다.
근로자가 승인받지 않은 위험 구역에 접근하면 경고 알림이 발생하고, 일정 시간 움직임이 없거나 SOS 신호를 보내면 즉각 대응이 가능하다.
관제상황실 외에도 안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세이프티 패트롤(Safety Patrol)' 제도를 도입했다. 올해 8월부터 100여명의 본사 정규직 인력을 선발해 현장에 투입했으며, 작업 환경과 시설 안전 상태를 점검하고 근로자 안전수칙 준수를 지도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장애인고용공단과 협력해 약 50명의 CCTV 관제요원을 채용, 자택에서 실시간으로 현장을 모니터링하도록 했다. 현장 내에서는 신호수·관리자 바디캠 착용을 의무화해 작업 기록을 남기고, 사고 발생 시 원인 규명 및 재발 방지에 활용한다.
DL이앤씨는 근로자의 '작업 중지권'을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안전신문고'를 통해 누구나 위험요소를 신고할 수 있도록 했다. 신고나 개선 제안을 한 근로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는 'D-세이프코인(D-Safe Coin)'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해 자율적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현재 연말까지 무재해 목표 달성을 위한 '코인 두 배 지급' 캠페인도 진행 중이다.
외국인 근로자 비율이 높아진 점을 고려해 AI 자동번역 시스템과 다국어 안전 교육 애니메이션도 도입했다. 중국어·베트남어·러시아어 등 8개 언어로 제작된 영상은 신규 근로자 교육과 정기 안전조회 시간에 상영된다.
전종필 DL이앤씨 최고안전책임자(CSO)는 "안전은 회사의 생존 문제라는 인식 아래 전 구성원이 책임감을 가지고 임하고 있다"며 "스마트 기술과 인적 역량을 결합해 산업재해 '제로화'를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