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은행(BOJ)이 30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정책금리를 0.5%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미국 정부의 관세 인상에 따른 미 경제의 향방에 신중한 시각이 있는 가운데, 일본 경제와 물가에 미칠 영향을 계속해서 점검해 나가기로 했다.
BOJ는 지난 1월 회의에서 금리를 0.5%로 인상한 이후, 6회 연속 동결했다. 이번 회의는 다카이치 사나에 정권 출범 이후 처음 열린 회의였다.
정책위원 9명 가운데 다카다 하지메 위원과 다무라 나오키 위원이 금리 동결에 반대했다. 두 사람은 9월 회의에 이어 이번에도 0.75%로의 추가 인상을 제안했지만, 다수 반대로 부결됐다.
다카다 위원은 "물가 안정 목표 달성이 대체로 이뤄졌다"고 주장했고, 다무라 위원은 "물가 상승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 |
| [사진=블룸버그] |
BOJ는 미국 경제에 대해, 관세의 영향이 아직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지는 않지만 향후 고용과 소비를 위축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세계 경제가 둔화될 경우 일본 기업의 수익이 감소하고, 내년 임금 인상 움직임이 약화될 우려도 있다.
또한 미국에서는 정부 기관 셧다운(업무 정지)으로 인해 경제 통계의 공표가 중단돼 있어, 실물 경제 상황을 확인하기 어려운 점도 BOJ 내에서 신중론이 유지되는 이유로 꼽힌다.
이번 회의에서는 3개월마다 갱신하는 '경제·물가 정세 전망(전망 보고서)'도 발표됐다. 2025~2027회계연도 각각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소비자물가 상승률(CPI) 전망이 새롭게 제시됐다.
정책위원들의 전망치(중앙값)는 실질 GDP 성장률은 2025년도와 2026년도 0.7%, 2027년도 1.0%, CPI 상승률은 2025년도 2.7%, 2026년도 1.8%, 2027년도 2.0%로 나타났다.
2025년도 실질 성장률 전망을 0.1%포인트 상향 조정하는 등 소폭의 수정에 그쳤다. 관세 영향으로 성장 속도가 일시적으로 둔화된 뒤 회복되는 시나리오는 유지됐으며, 2% 물가 안정 목표 달성 시기도 종전과 같은 2026년도 하반기~2027년도 사이로 전망됐다.
한편 시장에서는 12월 금리 인상을 유력하게 보고 있다. 토탄리서치와 토탄ICAP에 따르면, 30일 오전 시점에서 시장이 반영한 금리 인상 확률은 12월 회의 60%, 2026년 1월 22%, 3월 14%로 집계됐다.
![]() |
| 일본은행(BOJ) 본청 건물 [사진=블룸버그] |
goldendog@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