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로보뉴스 = KB증권에서 30일 우리금융지주(316140)에 대해 '대규모 염가매수차익 시현과 안정적 CET1 관리'라며 투자의견 'BUY'의 신규 리포트를 발행하였고, 목표가 35,000원을 내놓았다. 전일 종가 기준으로 볼 때, 이 종목의 주가는 목표가 대비 37.3%의 추가 상승여력이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 우리금융지주 리포트 주요내용
KB증권에서 우리금융지주(316140)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35,000원으로 6.1% 상향한다.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는 이유는 1) 보험사 편입에 따른 염가매수차익이 기대치를 상회하면서 2025년 이익 및 CET1 부담이 완화되었고, 2) 비은행자회사 이익 기여도 확대가 2026년 이후 본격화되며 주주환원율 제고 속도에 대한 기대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KB증권의 전망치 1,500억원을 상회하는 5,560억원 규모의 염가매수차익 인식을 반영하여 2025년 이익 전망치를 4.9% 상향하였다. 2025년 예상 주주환원율은 34.9% 수준이며 우리금융이 목표하는 CET1 13% 이상이 2026년 달성된다면 주주환원율 상승은 2028년 (50%)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경쟁사 대비 낮은 CET1과 주주환원율이 Valuation 할인요인으로 작용하며 26년말 BVPS 기준 0.55배에서 거래되고 있지만 CET1 13% 상회가 확인되는 시점부터는 경쟁사와의 갭 축소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분석했다.
또한 KB증권에서 '3Q25 연결기준 지배주주순이익은 1조 2,444억원으로 컨센서스를 27.5% 상회하였다. 예상보다 큰 규모의 생명 자회사 관련 염가매수차익이 5,560억원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보수적인 충당금 정책에 따라 약 1,800억원 규모의 추가 충당금 및 비용인식으로 순이익에 실질적으로 미친 영향은 약 3,600억원 규모이다.'라고 밝혔다.
◆ 우리금융지주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목표가 상향조정, 33,000원 -> 35,000원(+6.1%)
- KB증권, 최근 1년 목표가 상승
KB증권 강승건 애널리스트가 이 종목에 대하여 제시한 목표가 35,000원은 2025년 10월 14일 발행된 KB증권의 직전 목표가인 33,000원 대비 6.1% 증가한 가격이다. 최근 1년 동안 이 종목에 대해 KB증권이 제시한 목표가를 살펴보면, 25년 02월 10일 21,000원을 제시한 이후 상승하여 이번에 새로운 목표가인 35,000원을 제시하였다.
◆ 우리금융지주 목표가 컨센서스 비교
- 평균 목표가 30,700원, KB증권 긍정적 평가
- 지난 6개월 대비 전체 컨센서스 낙관적 변화
- 목표가 상향조정 증권사 3개
오늘 KB증권에서 제시한 목표가 35,000원은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 평균 목표가인 30,700원 대비 14.0% 높지만 전체 증권사 중 최고 목표가인 NH투자증권의 36,000원 보다는 -2.8% 낮다. 이는 KB증권이 타 증권사들보다 우리금융지주의 주가를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로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의 평균 목표가인 30,700원은 직전 6개월 평균 목표가였던 20,765원 대비 47.8%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금융지주의 향후 주가에 대한 증권사들의 전체적인 분석이 낙관적임을 알 수 있다.
이 기사는 뉴스핌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우리금융지주 리포트 주요내용
KB증권에서 우리금융지주(316140)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35,000원으로 6.1% 상향한다.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는 이유는 1) 보험사 편입에 따른 염가매수차익이 기대치를 상회하면서 2025년 이익 및 CET1 부담이 완화되었고, 2) 비은행자회사 이익 기여도 확대가 2026년 이후 본격화되며 주주환원율 제고 속도에 대한 기대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KB증권의 전망치 1,500억원을 상회하는 5,560억원 규모의 염가매수차익 인식을 반영하여 2025년 이익 전망치를 4.9% 상향하였다. 2025년 예상 주주환원율은 34.9% 수준이며 우리금융이 목표하는 CET1 13% 이상이 2026년 달성된다면 주주환원율 상승은 2028년 (50%)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경쟁사 대비 낮은 CET1과 주주환원율이 Valuation 할인요인으로 작용하며 26년말 BVPS 기준 0.55배에서 거래되고 있지만 CET1 13% 상회가 확인되는 시점부터는 경쟁사와의 갭 축소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분석했다.
또한 KB증권에서 '3Q25 연결기준 지배주주순이익은 1조 2,444억원으로 컨센서스를 27.5% 상회하였다. 예상보다 큰 규모의 생명 자회사 관련 염가매수차익이 5,560억원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보수적인 충당금 정책에 따라 약 1,800억원 규모의 추가 충당금 및 비용인식으로 순이익에 실질적으로 미친 영향은 약 3,600억원 규모이다.'라고 밝혔다.
◆ 우리금융지주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목표가 상향조정, 33,000원 -> 35,000원(+6.1%)
- KB증권, 최근 1년 목표가 상승
KB증권 강승건 애널리스트가 이 종목에 대하여 제시한 목표가 35,000원은 2025년 10월 14일 발행된 KB증권의 직전 목표가인 33,000원 대비 6.1% 증가한 가격이다. 최근 1년 동안 이 종목에 대해 KB증권이 제시한 목표가를 살펴보면, 25년 02월 10일 21,000원을 제시한 이후 상승하여 이번에 새로운 목표가인 35,000원을 제시하였다.
◆ 우리금융지주 목표가 컨센서스 비교
- 평균 목표가 30,700원, KB증권 긍정적 평가
- 지난 6개월 대비 전체 컨센서스 낙관적 변화
- 목표가 상향조정 증권사 3개
오늘 KB증권에서 제시한 목표가 35,000원은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 평균 목표가인 30,700원 대비 14.0% 높지만 전체 증권사 중 최고 목표가인 NH투자증권의 36,000원 보다는 -2.8% 낮다. 이는 KB증권이 타 증권사들보다 우리금융지주의 주가를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로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의 평균 목표가인 30,700원은 직전 6개월 평균 목표가였던 20,765원 대비 47.8%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금융지주의 향후 주가에 대한 증권사들의 전체적인 분석이 낙관적임을 알 수 있다.
이 기사는 뉴스핌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