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 대한민국 유통·물류정책 분야의 대표 학술단체인 한국유통물류정책학회가 주관하는 '2025 프랜차이즈 미래혁신 포럼'이 22일 오전 10시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개최됐다.
![]() |
[사진=프랜차이즈산업협회] |
이번 포럼은 프랜차이즈 산업이 직면한 도전 속에서 지속가능한 혁신을 이루기 위해 과거의 성과를 재조명하고 현재의 변화 양상을 진단하며 미래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논의의 장으로 마련됐다.
학회장인 박진용 건국대학교 교수는 "이번 포럼은 프랜차이즈 산업이 직면한 구조적 변화 속에서 혁신과 상생의 균형점을 찾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번 포럼을 "학문적 연구와 산업 현장의 경험이 함께 어우러지는 뜻깊은 자리"라고 밝혔다.
한국유통학회 학회장 박경도 서강대학교 교수와 한국중소기업학회 학회장 진병채 카이스트 교수의 축사를 시작으로 오세조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의 '신뢰를 기반한 한국의 프랜차이즈'와 장명균 호서대학교 교수의 '새로운 프런티어: K-프랜차이즈 혁신'이라는 주제의 발제가 진행됐다.
오세조 교수는 "한국 프랜차이즈 산업은 본사와 가맹점 간의 불균형 구조가 자리잡고 있어 가맹점 보호에 주요 정책이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지속적인 성장 정책과의 조화도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해 산업 기반을 갑을 관계가 아닌 지속적 파트너십 관계로 전환해야 하며, AI 및 디지털 기반으로 역량을 강화하고 글로벌 확장을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명균 교수는 "미국 프랜차이즈 산업은 세금, 물류, 교육 등 지식 및 비즈니스 지원 서비스가 상위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외식업도 신속함과 차별화된 메뉴 및 기술 기반 편의성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우리도 본사, 가맹점, 고객, 공급망이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함께 혁신하는 공진화형 프랜차이즈를 확립해 프랜차이즈 산업 4.0 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를 위해 가맹본부가 IP·콘텐츠 개발, 경험·팬덤 중심의 운영 전략에 주력하고, 가맹점도 단순 음식판매를 넘어 현장에서 경험과 스토리를 제공하는 역할로 진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이날 종합토론은 박진용 학회장이 좌장을 맡아 ▲강지영 로보아르테 대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술 인프라 혁신' ▲김상덕 경남대 교수 '인공지능 프랜차이즈 시대' ▲박규태 내일사장 대표 '데이터 기반 지속가능한 혁신' ▲이경희 리더스비전 대표 '프랜차이즈의 상생 구조', 이성호 리앤승 법률사무소 변호사 '법적 이슈 및 상생 제도 개선 방향', 임재원 고피자 대표 '글로벌 확장을 위한 국내 산업 중요성' 등 학계, 전문가, 업계에서 프랜차이즈 발전을 위한 토론을 진행했다.
yuni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