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현모 KT 전 대표 "펨토셀 관리 부실, KT 내부문화 개선 필요"
김현 의원 "반복된 해킹에도 시간 끌기 답변…감사실과 경영진 책임 물을 것"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KT가 불법 소형기지국(펨토셀) 해킹 사태와 관련해 "조사 결과와 피해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후속 조치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김영섭 KT 대표는 21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전체 고객 대상 위약금 등 보상 문제는 조사 결과와 피해 내용을 종합적으로 본 뒤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김 의원은 "KT는 사태 수습 후 사퇴하겠다는 입장을 반복하면서도 조사 결과를 기다리겠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며 "국가기관 통신사로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질타했다.
![]() |
21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 현장. [사진=국회방송] |
이어 "KT의 해킹 사고는 한두 번이 아니며, 이번에도 시간 끌기로 상황을 모면하려는 듯한 태도"라며 "조사 결과 이전이라도 피해자 보상과 내부 책임 조치를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참고인으로 출석한 구현모 전 KT 대표는 "대표 재직 당시 펨토셀의 구조적 취약점을 발견하지 못하고 개선하지 못한 점을 죄송하게 생각한다"며 "해킹 경로와 접속 방식이 명확히 규명돼야 한다"고 밝혔다.
구 전 대표는 "만약 KT의 펨토셀 관리 부실이 원인이라면 빠르게 개선 가능하지만, 다른 방식의 침입이라면 국가적 차원에서 통신사 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KT는 기관통신사로서 사회적 책임이 막중하다"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내부의 자발적 책임 문화와 전문가 중심의 시스템 복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