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데이터 분석 완료 후 피해 규모 확정…SMS 인증 피해는 PG사와 합동 조사 중"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김영섭 KT 대표가 불법 기지국(펨토셀)을 통한 소액결제 해킹 및 개인정보 유출 사태와 관련해 "사고 수습이 끝나는 대로 최고경영자로서 합당한 책임을 지겠다"고 밝혔다.
21일 김 대표는 이날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사고 수습이 최우선이며, 이후 마땅한 수준의 경영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주희 의원은 이날 "과기정통부가 KT가 정부 조사에 허위 자료를 제출하고 증거를 인멸한 정황이 있다며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며 "그런데도 사퇴 의사는 없느냐"고 질타했다.
![]() |
14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 현장. [사진=국회방송] |
김 대표는 이에 대해 "피해 규모가 계속 확대되는 이유는 일부 데이터만 분석했던 초기 발표와 달리, 현재는 전체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정확히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불안감이 커질 수 있지만 더 이상 혼선을 주지 않기 위해 충분히 검증된 결과만 발표하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조사에서 ARS 인증뿐 아니라 SNS(SMS) 인증 기반 소액결제 피해 63건이 새로 확인된 데 대해 김 대표는 "추가라기보다, 기존 브리핑에 포함됐던 항목을 PG사(결제대행사)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면서 최종 확정된 수치"라고 말했다.
그는 "PG사로부터 데이터를 추가로 받아 KT 데이터와 융합 분석한 결과 SMS 인증 방식 피해 63건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의원이 "SMS 인증 해킹은 통신망 암호화 부재나 인증키 유출로 인한 도청 가능성을 시사한다"며 전 고객 대상 유심(USIM) 교체 및 위약금 면제 결단을 요구하자, 김 대표는 "전 고객 대상 위약금 면제는 조사 결과와 피해 범위를 종합 검토한 뒤 숙고하겠다"고 답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