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관련 금품 수수 여부 집중 조사…'뇌물죄' 적용 검토
기소시 지방선거 후폭풍 거셀 듯...지역 정치 파장 예상
[청주=뉴스핌] 백운학 기자 =지역 체육계 관계자로부터 돈 봉투를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는 김영환 충북지사에 대한 경찰의 구속영장 청구 여부가 지역에서 최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충북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지난 19일 오전 김 지사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약 12시간 동안 조사했다.
![]() |
김영환 충북지사 [사진=뉴스핌DB] |
김 지사는 체육계 관계자로부터 1100여만 원의 금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단순한 청탁금지법 위반을 넘어 충북체육회가 도 예산 지원을 받는 피감기관이라는 점에서 김 지사의 직무와 금품 제공 간 대가 관계 성립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청탁금지법 위반보다 중형인 뇌물죄(5년 이하 징역)로 처벌될 수 있다.
금품 제공자 중 한 명으로 지목된 체육회 관계자는 스마트팜 사업 참여 농업회사법인 대표라는 점도 경찰이 집중 조명하는 부분이다.
경찰은 김 지사가 스마트팜 사업 과정에서 특정 기업에 특혜를 줬는지 확인하기 위해 관련 문서와 선정 절차를 면밀히 검토 중이다.
현재 경찰은 회계 자료, 휴대전화 포렌식 결과, 관계자 진술 등을 종합해 혐의 사실을 최종적으로 검증하고 있다.
증거 확보 정도와 추가 정황 파악 여부에 따라 뇌물 수수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지사의 돈 봉투 수수 의혹은 지역 정치권뿐만 아니라 차기 선거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사실 여부를 떠나 충북도 수장의 이같은 논란은 지역 유권자의 신뢰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야당 및 시민단체 등에서는 강력한 책임론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내년 실시 예정인 전국 지방선거에서 주요 쟁점으로 부각될 개연성이 크다.
김 지사의 금품 수수 의혹은 단순 개인의 비리 문제를 넘어 공직자의 도덕성과 지역 행정 시스템 전체에 대한 신뢰 문제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한편 김 지사는 지난 6월 26일 오전 충북도청 집무실에서 체육계 관계자 2명로 부터 500만 원이 든 돈 봉투를 수수한 혐의를 받는다.
지난 4월엔 미국 출장을 앞두고 청주의 한 카페에서 역시 체육계 관계자 3명에게 현금 600만 원을 건네받은 혐의도 있다.
김영환 지사는 이같은 혐의에 대해 전면 부인하고 있다.
baek341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