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VT 지표 급락, 강세장 전조"…기관들 잇따라 낙관론
"AI 투자·스테이블코인·토큰화가 차기 사이클 이끈다"
XRP·SOL 옵션시장 '상승 반전'…"BTC는 아직 조심스러워"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암호화폐 가격이 20일 급반등했다. 일본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중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예상치를 웃돌면서 글로벌 위험자산을 둘러싼 투자심리가 살아났다.
한국시간으로 오후 6시 50분 기준 비트코인(BTC) 가격은 24시간 전에 비해 3.13% 오른 11만816달러를 기록했다. 지난주 10만3600달러선까지 밀렸던 것에서 빠르게 회복한 것이다.
이더리움(ETH·4041달러), XRP(XRP·2.46달러), 솔라나(SOL·192.87달러), 바이낸스코인(BNB·1119달러), 도지코인(DOGE·0.20달러) 등 주요 알트코인도 일제히 3~6% 상승했다.
![]() |
비트코인 가격 차트, 자료=야후 차이낸스, 2025.10.20 koinwon@newspim.com |
◆"RVT 지표 급락, 강세장 전조"…기관들 잇따라 낙관론
온체인(블록체인 내부 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데이터) 지표도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대표적인 온체인 지표로는 ▲활성 주소 수(거래에 참여한 지갑의 수) ▲거래소 유입·유출량(매도 압력 추정) ▲RVT 비율(실현가치 대비 거래가치) 등이 있는데, 이 중 RVT 비율이 뚜렷하게 하락하면서,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이 단순히 지갑 속에 묶여 있는 자산이 아니라 실제로 사용·이전되는 활발한 순환 국면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나왔다.
암호화폐 분석업체 알프랙탈은 "역사적으로 RVT가 급락한 구간은 대체로 대규모 강세장이 시작되기 직전이었다"며 "이는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단순 보유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결제나 자산 이전 등 실사용 단계로 옮겨가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세계 최대 상장 비트코인 보유 기업인 스트래티지(구: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마이클 세일러 회장이 주말 사이 "추가 매입을 검토 중"이라고 밝히며 투자심리를 한층 달궜다. 세일러는 과거 비트코인 강세장마다 대규모 매입을 주도해온 인물로, 그의 발언은 시장의 '신호탄' 역할을 해왔다.
◆ 日 닛케이 4만9000 돌파…'아베노믹스 복귀' 기대감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 완화에 따른 유동성 증가 기대 역시 투자 심리를 달궜다. 일본 닛케이225 지수는 이날 사상 처음으로 4만9000선을 돌파하며 연초 대비 25% 상승했다. 재정완화 성향의 자민당 다카이치 사나에 총재가 21일 총리로 선출될 것이 확실시 되면서 투자 심리가 개선됐다.
다카이치는 저금리·확장재정·구조개혁을 혼합한 '아베노믹스'의 대표적 신봉자로 알려져 있다. 시장에서는 "일본이 경기 부양 기조를 강화하는 시점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도 연내 두 차례 금리 인하가 예상된다"며 "위험자산 선호 회복에 맞바람이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중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도 전년 대비 4.8% 성장하며 시장 예상치(4.7%)를 상회했다. 전분기 대비 성장률도 기대를 웃돌았다. 누적 기준으로는 연간 목표치(5%)를 이미 달성했다.
◆ "AI 투자·스테이블코인·토큰화가 차기 사이클 이끈다"
갤럭시디지털의 리서치 책임자 알렉스 손은 "10월 10일 급락에도 암호화폐의 구조적 강세장은 여전하다"며 "AI 자본지출, 스테이블코인 확산, 자산 토큰화가 다음 상승장을 견인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단기적으로는 레버리지 청산과 유동성 위축으로 변동성이 남아 있지만, BTC·ETH·SOL의 중기 전망은 긍정적"이라며 "AI 투자 사이클은 닷컴 버블이 아니라, 하이퍼스케일러와 반도체기업이 주도하는 실물경제형 설비투자"라고 설명했다.
![]() |
비트코인.[사진=로이터 뉴스핌] 2021.05.19 mj72284@newspim.com |
◆ 코인베이스 "연말까지 상승 추세 유지"…"11월 유동성 주의보"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 인스티튜셔널은 2025년 4분기 보고서에서 "글로벌 M2(광의통화) 공급 증가세와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 완화 기조가 비트코인 강세를 지지한다"며 "연말까지 상승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M2는 시중에 풀린 현금과 예금 등 유동성을 의미하는 지표로, 이 지표가 확대될수록 투자자금이 위험자산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코인베이스는 특히 "온체인 결제와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의 성숙으로 기관 자금의 접근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구조적 강세 요인을 강조했다.
다만 보고서는 "11월 들어 글로벌 유동성 축소 조짐이 나타나고 있으며,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임시 업무정지) 사태로 인해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지연될 경우 투자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최근 주가 하락으로 디지털자산 운용사(DAT)들의 매수 여력이 감소하고 있는 점도 시장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꼽았다.
◆ XRP·SOL 옵션시장 '상승 반전'…"BTC는 아직 조심스러워"
옵션시장에서는 XRP와 솔라나(SOL)이 강세 전환 신호를 보였다. 세계 최대 암호화폐 옵션거래소 데리빗(Deribit)에 따르면 두 코인의 '25델타 리스크 리버설(25Δ RR)' 값이 10~12월 만기 전 구간에서 모두 플러스로 전환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25델타 리스크 리버설'이란 콜옵션(가격 상승에 베팅)과 풋옵션(가격 하락에 대비) 사이의 가격·변동성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다. 보통 리스크 리버설 값이 양(+)일 때는 트레이더들이 콜옵션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면서 상승 기대가 커졌다는 뜻이다. 반대로 음(‐)이면 하락 대비 풋옵션 수요가 더 많아 '조심스런 시장'이라는 의미다.
XRP와 SOL의 리버설 값이 연말 만기까지 플러스로 바뀌었다는 것은, 시장 참여자들이 이들 알트코인의 가격 반등을 어느 정도 예상하고 포지션을 바꾸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는 특히 지난 10월 10일 발생한 대형 조정 이후 약 200억 달러 규모의 레버리지 청산이 일어난 가운데 나타난 움직임이다.
반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풋옵션(하락 베팅)이 더 비싸 약세 심리가 여전하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 같은 차이를 두고 "현재 옵션시장에서 기관과 트레이더들이 비트코인·이더리움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반면 XRP·SOL 같은 알트코인에서는 선제적인 반등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움직이고 있다"고 평가한다.
다만 "옵션지표가 곧바로 현물 가격 반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특히 유동성이나 거래량이 적은 알트코인의 경우 왜곡이 생길 수 있다"라는 경계도 잊지 않았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