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흥동 건축물 D~E등급 판정, 새우등 터지는 주민
'누가 지휘해야 하나' 재난본부 설치 두고 평행선
[광주=뉴스핌] 박진형 기자 = 광주시와 북구가 도시철도 2호선 공사로 인한 중흥삼거리 일대 건축물 피해와 관련해 어느 기관에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설치할지를 두고 마찰을 빚고 있다.
양 기관의 이른바 '핑퐁 싸움'으로 인해 피해 주민에게 임시 거소를 제공하는 등 시급한 수습 단계부터 차질이 빚어지는 모양새다.
16일 뉴스핌 취재에 따르면 광주시와 북구는 전날 중흥1동행정복지센터 실무 회의를 가졌지만 서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채 맹탕으로 끝났다.
![]() |
지난 16일 열린 도시철도 2호선 6공구 공사 인근 주택에 대한 정밀안전점검 주민설명회. [사진=박진형 기자] |
이번 회의는 중흥동 일대 건축물 13곳에 대한 정밀안전 점검 결과, 즉시 사용 중단 및 긴급 보수·보강이 필요한 D~E등급이 나온 데 따른 후속 조치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광주시는 북구가 지난 2일 자체 판단으로 기초 단위에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꾸려 가동하고 있는 만큼 적극적으로 이주 안내를 위한 개별 면담 같은 상황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보고 있다.
즉 북구가 '현장 지휘봉'을 잡고 대피 명령에 따른 이주 안내 등 응급 조치를 맡고, 광주시는 측면 지원 역할을 해 주민의 피해 회복을 돕겠다는 것이다.
반면 북구는 도시철도 공사가 광주 전역에서 진행되고 있어, 피해가 중흥동 일대에만 머물지 않는다며 광주시를 중심으로 한 재난안전대책본부가 세워져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이 같은 업무 분장 갈등 속에 오치동·양산동·본촌동 등 임시 거소 아파트 26호에 대한 이주는 지연될 가능성이 커졌다.
더구나 주민들은 광주시가 보상 방안은 제시하지 않은 채 이주만 요구하고 있다며 붕괴 위험이 있는 집을 떠나지 않고 버티는 상황이다.
주민 일부는 "북구에는 물어보고 싶은 것도 따질 것도 없다"며 "원인 제공자인 광주시가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이다.
북구 관계자는 "우리가 지대본을 꾸린 건 맞지만 실질적인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은 지하철 공사이기 때문에 광주시가 자치구에 업무를 떠넘길 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나서줘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앞으로 지하철 공사를 진행하면서 중흥동뿐만 아니라 다른 구에서도 비슷한 민원이 예상된다"며 "특히 우리구의 재난기금 여력도 부족해 광역단체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기초단체에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설치하는 게 맞다. 금호타이어 화재 때도 광산구에서 꾸려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광역단체에서 대응을 할 수도 있지만, 이미 북구가 주민에게 긴급 대피 명령도 내리고 모텔 등 임시 거소도 확보하고 식비도 지원해주고 있지 않나. 이제와서 광주시 보고 하라고 하면 앞뒤가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
양 기관은 이날 중으로 다시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지만, 회의 일정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bless4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