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협업 통해 무상 귀속 합의
공업용수 공급·물산업 거점 육성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는 기장해수담수화시설을 단독 소유하는 시설로 정리하는 마지막 절차인 건축물대장 등재와 소유권 보존 등기를 완료했다고 2일 밝혔다.
이로써 2014년 조성 이후 준공 지연과 소유권 미정 문제로 가동되지 못했던 담수화시설이 11년 만에 법적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본격적인 활용 기반을 마련했다.
![]() |
부산시가 기장해수담수화시설을 부산시가 단독 소유하는 시설로 정리하기 위한 마지막 법적 절차인 건축물대장 등재와 소유권 보존 등기를 지난달 10일 완료했다. 사진은 부산시청 전경 [사진=뉴스핌DB] 2023.07.13 |
기장해수담수화시설은 부산시,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이 공동으로 조성했으나, 지역 주민의 반대와 소유권 조정 지연으로 준공 이후 방치돼 왔다. 시는 환경부와 협업해 소유권 단독 정리에 합의했고,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광주과학기술원으로부터 서면 동의를 확보하면서 무상 귀속 절차를 마무리했다.
이 과정에서 시는 한국수자원공사(K-water), 환경부 등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시설 활용 방안을 논의해왔으며, 지난 4월 자체 용역 결과를 토대로 1·2계열 사업 구상을 제시했다. 이후 환경부의 현장 방문과 국비 지원 약속을 이끌어내며 협력 체계를 강화했다.
앞으로 1계열은 해수담수화 실증시설 조성 사업으로 추진하며, 2026년도 실시설계비 국비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다. 2계열은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통해 동부산 산업단지에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시설로, 민간 투자 유치와 기업 수요 발굴을 병행한다. 시는 이를 통해 지역 산업계의 안정적인 용수 확보와 담수화 분야 물산업 거점 육성을 목표로 한다.
박형준 시장은 "환경부와 공동 사업자들의 적극 협조로 마침내 시설 소유권 문제를 해결했다"며 "기장해수담수화시설을 활용해 동부산 산업단지에 저렴하고 안정적인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미래 물산업을 선도하는 거점 시설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