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1만여대 멈출 가능성...경기도 비상수송대책 마련
도 "협상 결렬시 도민 불편·안전 우려...정상운행 위해 노력"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 버스 노사가 30일 오후 4시부터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막판 조정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합의에 실패하면 노조는 내일(10월 1일) 첫차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한다.
![]() |
경기도 버스 차고지. [사진=뉴스핌 DB] |
경기지역버스노조협의회에는 50개 업체, 버스 1만여대, 기사 1만9000여명이 소속돼 있어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경기도 전체 버스의 80∼90%가 멈출 것으로 전망된다.
노조는 ▲시내버스 21.92%, 시외버스 최대 36.6% 임금 인상 ▲민영제와 준공영제 간 임금 격차 해소 ▲탄력근로제 폐지 ▲1일 2교대제 및 주 5일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사용자 측인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은 경영난을 이유로 노조의 요구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노사 입장차가 큰 만큼 합의 가능성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한편, 경기도는 전세·관용버스 381대 투입, 마을버스 운행 연장, 공무원 2000여명 투입 등 24시간 비상근무 체제를 가동하며 대비하고 있다.
도는 또한 이날 오후 8시 30분 안전 안내 문자를 통해 "협상 결렬 시, 10월 1일 첫 차부터 버스파업 예정으로 도민 불편과 안전이 우려된다"며 "다른 교통수단 이용을 부탁드리며 정상운행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