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AI·스마트안전 표준화 요구
비용 절감 위한 세제혜택 필요성도 제기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정부가 정책적 목표로 건설현장 중대재해 예방을 설정한 가운데, 업게에선 AI(인공지능)과 스마트 기술 도입 확대에도 현장 적용 한계가 있다고 호소했다. 정부 차원의 AI 기술 활용 표준화 없이는 상용화가 어렵다는 주장에 힘이 모이고 있다.
![]() |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지난 29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비례대표) 주최로 'AI 기술과 시스템을 활용한 중대재해예방 세미나'가 열렸다. 2025.09.29 chulsoofriend@newspim.com |
30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비례대표)은 전일 'AI 기술과 시스템을 활용한 중대재해예방 세미나'를 주최했다. '사후 처벌'에 초점이 맞춰진 산업현장 사고를 AI와 시스템을 기반으로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이날 행사에는 10대 건설사 네 곳의 안전 관련 부서 실무자가 출석해 업계의 애로사항과 정부 정책 개선점을 공유했다.
이근형 포스코이앤씨 디지털혁신반 상무는 "로봇 자동화 등 하드웨어 기술은 개별 기업이 연간 100억원 이상 투자해야 하는 부담이 크기에 국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현장 도입이 가능하다"며" 기초안전보건교육 시간을 확대하거나 외국인 비자 갱신 조건으로 교육을 강화하면 장기적으로 현장 안전문화 정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이앤씨는 CCTV 영상정보를 AI로 분석해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세이프티 플랫폼' 등을 활용해 안전 관리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부터 AI 번역기 '자이보이스'를 현장에 도입한 GS건설 또한 정부 지원책 확충 필요성을 강조했다. GS건설 안전보건팀 관계자는 "대기업이 개발한 번역기도 완벽하지 않아 종종 오류가 발생하는 등 어려운 상황"이라며 "중소기업은 더 열악한 상황이라 정책자금과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말했다.
신하경 현대엔지니어링 안전보건기획팀장은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AI 기술의 건설현장 도입을 법제화하는 등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며 "AI를 활용한 자동차 안전장치가 사고를 줄였듯 명확한 기준이 설정되면 중대재해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올 초 발생한 대형 인명사고 이후 국내외 전 현장에 대한 안전점검과 안전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안전 관련 비용 부담을 경감해달라는 요구도 이어지고 있다. DL이앤씨 관계자는 "AI를 활용한 안전관리 시스템의 경우 비용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며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을 통해 안전시설·스마트 안전 관련 비용에 대한 세액공제가 확대된다면 기술 도입을 더 빠르게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