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연한 넘긴 배터리 화재 여파
연말 1조원 ESS 2차 입찰도 긴장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의 배경에 노후화된 리튬이온 배터리가 지목되면서 배터리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전기차 수요 둔화, 미국 IRA 보조금 종료, 중국 기업 추격 등 악재가 겹친 상황에서 이번 사건이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신뢰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노후 리튬배터리, 화재 원인 지목
29일 업계에 따르면 국정자원 화재는 지난 26일 무정전전원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불이 난 배터리는 LG에너지솔루션 셀 기반 제품으로, 2014년 납품된 뒤 10년 사용연한을 넘긴 상태였다. LG CNS가 지난해 교체를 권고했지만 최근 점검에서 별다른 이상이 없어 그대로 사용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 |
[인천=뉴스핌] 김학선 기자 = 지난 27일 오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멈추며 주요 공공서비스가 중단되고 있다. 이날 우체국 예금·보험 등 주요 서비스가 전면 중단 됐다. 우체국 ATM 기기 사용불가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5.09.27 yooksa@newspim.com |
◆ ESS 시장 신뢰 흔들리나
문제는 이번 사건이 ESS 시장으로까지 파급될 가능성이다. 업계는 전기차 판매가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국면에 들어서며 둔화하는 상황에서 ESS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아왔다. 그러나 노후 배터리 화재가 대중적 불안으로 이어질 경우, 정부가 추진 중인 ESS 대형 프로젝트에 대한 신뢰도에도 금이 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2038년까지 23GW 규모 장주기 ESS를 보급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2029년까지 2.22GW를 구축한다는 계획도 세운 상태다. 이미 올해 상반기 1조 원 규모의 제1차 중앙계약시장 입찰이 마무리됐으며, 연말에는 2차 입찰이 예정돼 있다.
ESS는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달라지는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할 핵심 인프라로 꼽히는 만큼, 이번 화재가 정책 추진 동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kji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