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데이터센터 냉각솔루션 확대 교두보
30년 파트너십 토대, 중동 AI 산업 공략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가 26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칼리드 알팔리 투자부 장관을 만나 네옴시티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공급 방안 등 협력을 논의했다. 이번 논의는 LG전자가 중동 AI 후방 산업에서 입지를 넓히는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LG전자는 지난 1995년 사우디 셰이커 그룹과 에어컨 사업 파트너십을 맺은 뒤 2006년 합작법인을 세워 현지에서 생산을 이어왔다. 오랜 협력 관계를 기반으로 에어컨과 가전 사업에 이어 AI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공급까지 협력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 |
LG전자 조주완 CEO(왼쪽)가 26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칼리드 알팔리(H.E. Khalid AlFalih) 투자부 장관과 만나 AI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공급 등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사진=LG전자] |
LG전자는 네옴시티 옥사곤 단지에 건설 중인 AI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공급 건에 대해 사우디 정부의 지원을 요청했다. 또 셰이커 그룹, 데이터 인프라 기업 데이터볼트 등 현지 기업과 진행 중인 냉난방 사업에 대한 관심도 당부했다.
알팔리 장관은 "LG와 지속적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에 감사하다"며 "사우디는 수출 주도 국가로 전환하는 과정에 있으며, 함께 추진하는 사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LG전자는 이달 사우디 리야드에서 셰이커 그룹 회장, 데이터볼트 CEO와 만나 차세대 데이터센터 열관리 솔루션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데이터볼트는 중동과 아시아 등지에서 초대형 데이터센터를 개발·운영하는 기업으로, 네옴시티 내 중동 최대 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있다.
조 CEO는 최근 링크드인에서 "중동과 아프리카는 정부 주도의 개발 프로젝트로 잠재력이 크다"며 "잠재력이 높은 글로벌사우스 시장에서 장기적 기회를 확보하는 것이 LG의 성장 전략"이라고 밝혔다. 또 유럽 가전전시회 IFA 2025에서는 "데이터볼트 데이터센터에 냉각솔루션이 들어가면 조 단위 매출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LG전자는 데이터센터 냉각솔루션을 앞세워 AI 생태계의 후방 산업을 공략하고 있다. 올해 중동, 미국, 인도네시아에서 대규모 수주를 확보하며 기술력과 신뢰성을 입증했다. 축적된 경험과 성과는 글로벌 냉각솔루션 시장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는 기반이 될 전망이다.
LG전자 관계자는 "사우디는 AI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라며 "옥사곤 프로젝트 수주는 향후 중동 사업 확대의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