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케이지에이는 세종대학교 금속유기화합물 첨단소재응용 핵심연구지원센터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를 통해 양 기관은 각자가 보유한 우수한 기술 자원을 기반으로 공동 연구와 과제를 수행하며 차세대 소재 및 장비 개발 영역에서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다.
케이지에이와 협약을 체결한 세종대 핵심연구지원센터는 금속유기화합물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다. 금속유기화합물은 첨단 반도체 분야에선 이미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소재였으나, 최근에는 전고체 등 차세대 이차전지 개발을 위해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핵심연구지원센터는 금속유기화합물의 적용범위를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이차전지, 촉매 등 전자·에너지 산업 전반으로 확대하기 위해 연구를 이어가고 있으며, 센터장인 김선재 교수는 국내 첨단 소재 연구개발 분야에서 오랜 기간 핵심적 역할을 해온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 |
김선재 세종대학교 금속유기화합물 첨단소재응용 핵심연구지원센터 센터장(왼쪽)과 김옥태 케이지에이 대표이사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케이지에이] |
케이지에이는 이번 협약을 통해 한층 고도화된 연구개발 체계 구축과 개발 속도를 더욱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중이다. 케이지에이는 국내 최다 이차전지 제조사 고객 레퍼런스를 바탕으로 차세대 이차전지 장비 개발 분야를 선도하고 있으며, 전방 톱티어 기업들과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현재도 케이지에이는 전고체 등 차세대 이차전지 장비 개발을 비롯해 신규 소재 양산 장비, 에어로겔 등 첨단 소재 장비 개발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음극재 플레이크 소재와 양극재 수계 공정화 특수 소재 등 고부가가치 차세대 소재 개발과 이에 특화된 장비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케이지에이 관계자는 "국내 대표 소재 연구기관인 세종대 핵심연구지원센터와 파트너십을 맺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이번 협력을 통해 신소재·신기술 개발 속도를 높이고 다양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케이지에이는 이차전지 분야에서 한 발 앞선 행보를 이어가며 시장을 선도하는 장비 및 기술 개발에 전념하는 동시에, 축적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휴머노이드와 우주·항공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갈 것"이라며 "이를 통해 기업의 성장과 가치를 지속적으로 높여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