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영화 '어쩔수가없다'에 출연한 배우 손예진이 작지만 확실한 존재감으로 관객들을 사로잡는다. 첫 박찬욱 감독작 도전과 더불어 부산영화제 개막작, 아카데미 후보 진출작이라는 성과도 함께 이뤘다.
손예진은 23일 '어쩔수가없다' 인터뷰에서 박찬욱 감독과 인연을 맺은 계기와 당초 분량이 적었던 극중 캐릭터에 관해 논의했던 과정, 그럼에도 참여를 결심했던 이유 등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줬다.
"감독님이 대본을 주시겠다는 얘길 민정 씨를 통해서 들었고 사무실에서 대본을 받았어요. 처음엔 분량도, 존재감도 없는 캐릭터였죠. 원작에서 그렇대요. 영화 자체의 서사와 막 이야기가 책을 딱 덮고 너무 강렬했어요. 감독님의 스타일이 기대도 되고 막 그려지기도 하는데 미리를 내가 꼭 해야 할까 생각했죠. 영화에는 아주 많이 발전된 거예요. 감독님이 많이 써주셨고 분량도 늘려주셨고 서사도 만들어주셨죠. 감독님께 박찬욱 감독 작품이어서 한 거냐, 이런 얘기만 안듣게 해달라고 말씀드렸어요."
![]() |
박찬욱 감독의 영화 '어쩔수가없다'에 출연한 배우 손예진. [사진=CJ ENM] |
손예진은 박찬욱 감독과 만남을 고대해왔던 것과 더불어, 극중 존재감이 없었던 미리에게 조금이라도 보태고 싶은 마음이 들었음을 얘기했다. 분량이 적어도 존재감이 없어선 안된다는 박찬욱 감독의 구상이 손예진의 연기를 통해 구현된 셈이다.
"모든 것에 자기 역할이 있고 자기 작품이 있는 것 같아요. 저도 결국 끌렸기 때문에 하게 됐고요. 물론 연기자 입장에서는 만수 같은 캐릭터가 너무 매력 있죠. 레이어가 1부터 10까지 있고 다양한 변주를 보여줄 수 있잖아요. 이 캐릭터가 여자면 나 너무 하고 싶다 이런 생각을 했거든요. 그래서 이야기가 더 매력있게 다가왔어요. 미리는 그에 비해서 더 어려울 수도 있었어요. 한정적인 공간, 집에서만 만수와 거의 만나고 극적인 감정을 표현하거나 카메라가 가까이서 조명하지 않죠. 배우로서 부담이 좀 있었어요."
손예진은 박찬욱 감독만의 특징이나 디렉션 스타일을 얘기하며 자연스레 첫 촬영 장면을 떠올렸다. 바로 미리가 극 초반 장어를 선물받은 만수(이병헌)에게 던지는 대사다. 손예진은 "짧은 대사인데 장어에 자꾸 이제 힘을 주지 말라고 하셨다"면서 웃었다. 촬영을 시작하기 전엔 조금 더 극적인 대사톤을 예상했던 것과 달리, 박 감독은 손예진에게 지극히 현실적인 연기톤을 주문했단 얘기도 함께했다.
"배우는 작품의 색깔과 감독님의 의도에 따라서 그 색이 입혀지잖아요. 아무리 내가 어떻게 연기를 해도 거기에 음악이 나 연출이 어떻게 들어가냐에 따라 달라지죠. 감독님은 미리라는 캐릭터는 되게 현실적이었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하신 것 같아요. 대본을 보면서는 미리가 훨씬 더 뭔가 좀 표현도 많이 하고 말투도 되게 통통 튀는 사람이 아닐까 했었어요. 라고 생각을 했어요. 근데 전혀 아니더라고요. 그냥 일상이 묻어나오는 연기를 바라셨더라고요. 부부 싸움할 때 정도나 극적인 톤이 좀 나오는데 그게 영화의 색깔과 너무 동떨어져도 안 됐어요. 감독님이 그럴 땐 디테일한 디렉팅을 주셨고 현실감을 주는 걸 놓지 말아야지 고민을 했었죠."
![]() |
박찬욱 감독의 영화 '어쩔수가없다'에 출연한 배우 손예진. [사진=CJ ENM] |
처음으로 함께 작업해본 박찬욱 감독에 대해 손예진은 꽤나 "고요하신 스타일"이었다고 돌아봤다. 감독의 예전 인터뷰를 찾아보고 '염세주의자'라고 놀리거나 한 에피소드 등을 꼽으며 워낙 평온한 평소 스타일 상 진짜 잘했는지를 체감하기도 쉽지 않았음을 웃으며 털어놓기도 했다.
"모든 배우가 다 다르듯 감독님들도 다 달라요. 감독님은 정말 고요하시다. 큰소리 한 번 치지 않고 어떤 감정이 업 앤 다운이 없이 고요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세요. 항상 차분하게 디렉팅을 해 주시고 어떤 성격 급하신 감독님들과 다르게 항상 그 톤을 유지하시죠. 제가 느끼기에는 좀 차가운 관찰자 시점인 느낌이었어요. 조금 뜨겁게 그 캐릭터가 돼서 바라보기보다 이때는 미리가 이렇게 했으면 좋겠어, 하시는 게 감독님 옛날 인터뷰에서 본인은 염세주의자라고 했던 게 떠오르기도 하고요. 우리끼린 놀린다고 옛날 인터뷰 같은 동영상도 보내고 그러거든요. 그 냉소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감독님 작품 매력 같기도 해요. 이게 좋은 것인가 나쁜 것인가라는 부분에 있어서 항상 평온하시기 때문에 그래서 막 이거 이거 진짜 잘했어라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없는 것 같아요."
영화 내내 이어지는 만수의 '어쩔수가없는' 행동들에 대해 결말에서 미리가 보이는 반응을 두고도 다양한 해석과 의견이 나왔다. 만수가 미리의 아픈 손가락인 아들을 감싸주면서 미리의 '어쩔 수 없는' 심정이 공감대를 형성하는 면도 있다. 손예진은 "어쩌면 미리도 만수를 그 지경까지 몰아간 것 중 하나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했다"면서 작품 속 캐릭터의 관계성을 설명했다.
"미리 입장에서는 너무나 여러 감정이 교차하지 않았을까 생각이 들어요. 미리의 어떤 것들이 만수를 이 지경까지 몰아간 것이 아닌가. 미리 캐릭터는 미리로서의 죄책감이 있더라고요. 어쨌든 싱글맘을 사랑해서 결혼한 이 남자는 우직함과 순수함을 가지고 있고, 그 바탕에 사랑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겠죠. 너무 열심히 살아왔고요. 첫 장면에서처럼 너무 행복한 가족을 지키면서 살아가는 사람들이었는데, 그래서 '어떻게 이렇게까지 열심히 살았어'라고 하는 대사가 모든 걸 설명해주는 것 같아요. 미리 입장에선 그렇게 열심히 살지 말지, 안타깝죠."
![]() |
박찬욱 감독의 영화 '어쩔수가없다'에 출연한 배우 손예진. [사진=CJ ENM] |
따로 상의하지 않아도 귀신같이 맞았던 이병헌과 호흡도 언급했다. 예고편에도 나오는 "다 죽여버려"라는 대사의 장면에서 공교롭게도 미리와 만수의 표정이 동기화된 듯 잠시 닮아보인다. 잠시 스릴러 같기도 하고 다양한 함의를 담은 듯한 표정에 대해 손예진은 전혀 의도하지 않았다며 신기해했다.
"제가 그런 줄 몰랐어요. 그냥 웃은 건데 되게 묘하게 스릴러처럼 나왔더라고요. 왜 저랬지 저도 모르게 미래를 알고 있어서 그랬는지, 의도하지는 않았어요. 개구진데 좀 짓궂게 웃는 느낌이었고 따로 디렉션도 없었죠. 절묘하게 그런 것들이 되게 많았어요. 이병헌 선배와 크게 뭘 이렇게 맞추지 않았는데 그 아들 일로 원노한테 담판을 지을 때도 사실 리허설도 별로 거의 안 했는데 둘이서 약간 부부 사기 도박단처럼 정말 잘 맞은 거예요. 호흡이 너무 척척 잘 맞았어요. 감독님도, 저희도 정말 신기하다고 생각했어요."
손예진은 극중 만수의 공감받지 못할 행동에 대해 '어쩔 수 없이' 동조하는 엄마의 마음을 얘기했다. 이번 영화의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 스케줄을 마치고, 24일 개봉 일정을 소화하면 당분간은 영화가 아닌 드라마로 대중과 만날 예정이다.
"만수의 행동이 극단적이지만 원노를 상대하는 미리를 보면서 여러 생각을 했어요. 자식의 허물을 감싸기 위해서 엄마는 이보다 더한 일도 하는 게 엄마구나. 미리도 더 그럴 수 있겠구나 싶었죠. 이제 가을이 오는데 제 연기 인생에 있어서도, 결혼을 해서 아이를 낳으면서 또 다른 봄, 여름이 가고 변화의 시기를 맞은 것 같아요. 작품을 활발하게 해야 되는 상황이 되니까 이제 열심히 달려야죠."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