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리치·금융전문가 결탁해 시세조종
부당이득 400억원…실현 차익만 230억원
[서울=뉴스핌] 송기욱 기자 = 금융당국이 대규모 자금을 동원한 장기 주가조작 세력을 적발해 압수수색과 재산 동결 조치에 나섰다. 종합병원·대형학원 운영자 등 이른바 '슈퍼리치'와 금융 전문가들이 결탁해 1년 9개월간 불공정 거래를 이어온 사건으로, 합동대응단 출범 이후 첫 성과다.
금융위원회·금감원·거래소 합동대응단은 23일 "2024년 초부터 특정 종목을 대상으로 조직적·지능적 시세조종을 벌여 400억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챙긴 세력을 적발했다"며 "증선위가 관련 계좌에 대해 지급정지 조치를 최초로 발동했고, 합동대응단은 혐의자 자택·사무실 등 10여곳을 전방위 압수수색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 |
[사진 = 금융감독원] |
이들은 유통량이 적은 종목을 선정해 법인자금과 금융회사 대출금 등 1000억원대 자금을 조달, 전체 거래량의 3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시장을 장악했다. 이후 고가매수, 허수주문, 시·종가 관여 등 다양한 수법을 통해 주가를 지속적으로 끌어올리고, 수 만회에 달하는 가장·통정매매로 거래가 활발한 것처럼 위장했다. 그 결과 해당 종목 주가는 조작 전보다 약 2배 상승했다.
당국은 금융당국 감시망을 피하려고 주문 IP를 조작하고, 경영권 분쟁 상황을 악용한 정황도 포착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들이 취득한 차익은 230억원에 달하며, 여전히 1000억원 상당의 주식을 보유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합동대응단은 금감원이 시장감시 과정에서 단서를 포착한 뒤 기관 간 공조를 통해 이번 사건을 추적했다. 특히 불법 이익 환수를 위해 지난 4월 개정 자본시장법에 도입된 지급정지 조치를 처음으로 적용, 혐의자의 금융계좌를 즉시 동결했다.
금융당국은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증거를 토대로 신속히 조사를 마무리하고 엄정 조치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부당이득의 최대 2배에 달하는 과징금 부과, 금융투자상품 거래 및 임원선임 제한 등 신규 행정제재를 적극 활용해 불공정 거래 세력을 시장에서 퇴출한다는 계획이다.
합동대응단 관계자는 "이번 사건은 명망있는 사업가와 의료인, 금융 전문가 등 소위 '엘리트 그룹'이 공모한 치밀하고 지능적인 대형 주가조작 범죄를 합동대응단의 공조로 진행 단계에서 중단시킴으로써 범죄수익과 피해규모가 더 확산되기 전에 차단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증거 등을 기반으로 신속히 추가 조사를 마무리하고 엄정조치할 예정"이라며 "신규 행정제재를 적극 적용해 '원 스트라이크 아웃'의 본보기가 될 수 있도록 후속 조치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onewa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