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중국산 라이다에 대한 글로벌 규제가 심화되는 가운데, 라이다(LiDAR) 선도기업 에스오에스랩이 해외 전시회 참가 및 글로벌 바이어·파트너사와의 미팅 확대 등 영업·네트워킹 활동을 강화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최근 국방수권법(NDAA·국방부의 예산 지출과 정책을 승인하는 법)이 압도적 표결로 미국 의회를 통과하며 미국의 국방정책이 본격적으로 중국 견제로 전환됐음을 시사했다. 법안에 따르면 미국은 대만 방위 지원을 위해 10억달러(약 1조 3939억원)를 제공하는 방안과 함께 중국의 핵심 기술·광학 부품·희토류 의존도를 줄일 것을 지시했다.
특히, 해당 법안은 중국산 태양광 패널·컴퓨터·프린터 등과 더불어 라이다 시스템까지 구매를 금지하는 조항을 포함했으며 중국 기업의 미군 기지 내 사업 운영을 전면 금지하는 등 강력한 규제가 담겼다.
![]() |
에스오에스랩 로고. [사진=에스오에스랩] |
현재 글로벌 라이다 시장은 중국 기업들이 내수 보호무역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NDAA 강화가 본격 시행되면 중국산 제품의 채택률은 크게 줄어들어 에스오에스랩과 같은 비(非)중국 기업들에게 큰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에스오에스랩은 독보적 기술경쟁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국내외 완성차 기업과 로보틱스, 주요 피지컬 AI 기업들을 파트너사로 두고 있으며, 인공지능(AI) 발전과 함께 라이다 적용 영역을 자율주행뿐 아니라 휴머노이드·로봇, 스마트팩토리, 디지털트윈 등으로 빠르게 확대해 가고 있다.
에스오에스랩은 하드웨어뿐 아니라 통합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글로벌 시장에서 소수 기업이 독점하던 SPAD(Single Photon Avalanche Diode) 시장 진출도 선언하며 기술 자립과 밸류체인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에스오에스랩 관계자는 "보안 이슈 확산으로 중국산 제품에 대한 규제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며 "이는 당사와 같은 기업들에겐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빠르게 확대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당사는 주요 완성차·휴머노이드·로봇 기업은 물론 엔비디아·뷰런 등 전체적인 시스템을 총괄하는 플레이어들과도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전후방 주요 밸류체인 파너트들과 긴밀히 협력하며 당사 라이다 생태계 확장에 전념하며 영향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