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평화에너지·기후테크 클러스터·공여지 개발 3대 전략 구상
9·9 선언은 경제와 평화 선언...경기도 마중물 역할
문재인 전 대통령도 참석, 한반도 평화의 열쇠 강조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는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9일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식'에서 "경기도가 평화경제의 마중물이 되겠다"며 3대 평화경제 전략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9일 파주 캠프그리브스에서 열린 '9.19 평양공동선언 7주년 기념식'에서 "경기도가 평화경제의 마중물이 되겠다"며 3대 평화경제 전략을 제시했다. [사진=경기도] |
김 지사는 기념사에서 "김대중 정부가 계획을 세우고, 노무현 정부가 터를 닦은 이곳에서 이재명 국민주권 정부로 평화의 바통이 이어졌다"며 "경기도가 한반도 평화 번영의 길을 가장 굳건히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 3대 평화경제 전략…"9·19 선언은 경제·평화 선언"
첫째 전략은 '평화에너지 프로젝트'다. DMZ와 접경지에 대규모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반도체·AI 등 첨단산업 전력 공급은 물론, 경기북부 주민들과 이익을 공유하겠다는 구상이다. 김 지사는 "문재인 정부의 'DMZ 솔라파크'와 최근 제안된 'DMZ 평화에너지벨트'의 연장선"이라고 설명했다.
둘째 경기북부 평화경제특구 내 기후테크 클러스터 조성이다. 그는 "기후테크 스타트업과 유망기업을 육성해 경기북부를 대한민국 기후경제의 선도지역으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셋째 미군 반환공여구역 개발이다. 김 지사는 "경기도엔 캠프그리브스를 포함해 22곳의 개발 가능 공여지가 있다"며 "교통 인프라 확충과 규제 완화에 도 재정을 투입해 '주도성·전향성·지역 중심' 원칙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9.19 선언은 남북 교류협력을 촉진하는 '경제 선언'이자 군사 충돌을 방지하는 '평화 선언'"이라며 "'긴장의 땅'을 '성장의 땅'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 시절 경기도는 망명정부로 불렸다. 이제 국민주권정부에서 경기도가 마중물 역할을 더 확실히 하겠다"고 다짐했다.
◆ 文 전 대통령도 평화 메시지…캠프그리브스의 상징성
기념식에는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 우원식 국회의장, 정청래 민주당 대표, 역대 통일부 장관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문 전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결단은 여전히 한반도 평화의 열쇠"라며 "남·북·미 정상의 역사적 결단을 다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정세현·이재정·김연철 전 통일부 장관 등이 참여한 특별토론에서는 '평화경제'의 구체적 실행 방안이 논의됐다.
행사가 열린 캠프그리브스는 1953년 정전협정 이후 2007년까지 주한미군 2사단 506연대가 주둔했던 곳이다. 2022년 경기도로 소유권이 넘어오면서 평화·생태 공간으로 변모했다.
김 지사는 "이 상징적인 공간에서 정부와 지방이 함께 기념행사를 연 것 자체가 정권교체를 실감케 한다"고 말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