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미국 대통령으로서는 역사상 처음으로 영국을 두 번째 국빈 방문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영광을 만끽하고 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 |
[런던 로이터=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 시간) 찰스 3세 영국 국왕이 영국 버크셔주(州) 윈저성에서 주최한 국빈 만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그의 옆에는 찰스 3세 국왕과 캐서린 왕세자빈이 앉아 있다. 2025.09.17. ihjang67@newspim.com |
전날 밤 멜라니아 여사와 함께 런던 스탠스테드 공항에 도착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영국 왕실이 마련한 '초특급 의전'을 받았고, 저녁에는 찰스 3세 국왕이 주최한 만찬에 참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만찬에서 이번 국빈 방문에 대해 "진정으로 내 인생 최고의 영예"라고 말했다. 그는 두 번의 국빈 방문은 자신이 마지막이길 바란다고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중인 지난 2019년 6월 고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초청으로 영국을 국빈 방문했다. 당시 만찬은 런던 버킹엄궁에서 열렸다.
영국 BBC는 이날 저녁 찰스 3세 국왕이 마련한 만찬에 대해 "화려함과 매력이 가득했다"고 말했다.
◆ 국왕 내외 영접, 왕실 마차, 41발 예포, 근위대 호위 …
이날 의전의 시작은 트럼프 대통령 내외가 윈저에 도착하는 순간 시작됐다.
미국 대사관저 윈필드 하우스에서 밤을 보낸 트럼프 대통령 내외가 미국에서 공수해온 대통령 전용헬기 마린원으로 윈저에 도착하자 윌리엄 왕세자와 케이트 미들턴 왕세자빈이 착륙 장소까지 마중을 나왔다.
이어 찰스 3세 국왕과 커밀라 왕비가 이들을 반갑게 맞았다. 윈저성과 런던탑에서는 동시에 41발의 예포가 발사됐다.
이들은 왕실 마차를 타고 왕실 근위대의 호위를 받으며 윈저성까지 행진했다.
찰스 3세와 트럼프 대통령은 영국 왕실 상징물로 장식된 화려한 금도금 마차 '아일랜드 국가 마차'에 올랐다. 국왕이 의회 개원식에 참석할 때 타고 가는 마차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결혼식에도 사용됐다.
이어 커밀라 왕비와 멜라니아 여사가 탄 '스코틀랜드 국가 마차'와 윌리엄 왕세자와 미국 대사 부부 등이 탄 준국가형 란다우 마차가 뒤를 따랐다.
![]() |
[런던 로이터=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카밀라 왕비와 찰스 3세 영국 국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왼쪽부터)가 17일(현지시간) 영국 버크셔 윈저성에서 열린 전통 군사 의식 '비팅 리트리트'에 참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역사상 처음으로 영국을 두 차례 국빈방문했다. 2025.09.17. ihjang67@newspim.com |
공식 환영식에는 군악대·의장대 1200여 명과 말 120여 필이 동원됐다. 영국 국방부는 "역대 최대 규모"라고 했다. 영국 공군 곡예비행단 '레드 애로우즈'가 굉음을 내며 빨간색, 흰색, 파란색 연막을 하늘에 뿌렸다.
찰스 3세와 트럼프 대통령은 의장대를 사열했다. 의장대 사열 중 트럼프 대통령이 찰스 3세보다 앞서 걸었는데 찰스 3세가 그렇게 하도록 트럼프 대통령을 배려했다.
트럼프 내외는 공식 행사 이후 윈저성을 둘러봤다. 찰스 국왕 내외가 트럼프 대통령 내외를 왕실 수집품과 예술 작품 등이 전시돼 있는 '드로잉 룸'으로 안내했다.
![]() |
[런던 로이터=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멜라니아 트럼프(앞줄 오른쪽) 미국 대통령 부인과 커밀라 영국 왕비가 17일(현지 시간) 영국 버크셔주(州) 윈저성에서 열리는 국빈 만찬장으로 함께 걸어가고 있다. 그 뒤로 윌리엄 영국 왕세자와 폴라 레이놀즈 영국 내셔널 그리드 이사회 의장, 캐서린 왕세자빈이 따라가고 있다. 2025.09.17. ihjang67@newspim.com |
전시 품목 중에는 1624년에 출판된 존 스미스의 '버지니아, 뉴잉글랜드 및 서머 아일랜드의 일반 역사'가 있었는데 BBC는 "이 책은 초판이며 북미 영국 식민지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미국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것을 기념하는 유물도 있었다. 1782년 필라델피아에서 출판된 지도 '요크타운에서의 영국군 항복'도 있었다. 미국 독립에 관한 자료들을 본 트럼프 대통령이 "와우"하며 감탄사를 쏟아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 내외는 세인트 조지 예배당을 찾아 고 엘리자베스 2세의 묘에 헌화했다.
찰스 3세와 커밀라 왕비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국 독립 선언 250주년 기념 수제 가죽 책과 2025년 1월 즉위식 당일 버킹엄궁에 걸렸던 영국 국기, 영국 디자이너 아냐 하인드마치 핸드백 등을 선물했다.
◆ 47.3m 테이블, 1912년 헤네시 코냑, 귀빈·참석자 160명
찰스 3세 국왕이 윈저성 '세인트 조지 홀'에서 개최한 국빈 만찬은 화려함과 웅장함, 품격의 극치였다.
![]() |
[런던 로이터=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17일 저녁(현지 시간) 영국 버크셔주(州) 윈저성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내외를 위한 국빈만찬이 열리고 있다. 2025.09.17. ihjang67@newspim.com |
47.3m 길이의 대형 테이블에는 139개의 촛불과 꽃장식이 놓였다. 이날 만찬에 식기류 1452점이 동원됐다. 직원 100여 명이 손님 160명을 접대했다.
저녁 메뉴로는 햄프셔 지방 물냉이로 만든 판나코타와 노퍽 지방 닭고기 요리, 영국 빅토리아 자두를 곁들인 아이스크림과 샤베트 등이 올랐다. 주류는 트럼프 대통령의 스코틀랜드 출신 어머니가 탄생한 해인 1912년 헤네시 코냑 그랑드 샹파뉴와 1945년 워 빈티지 포트 와인 등이 나왔다. 트럼프가 첫 임기 때 45대 미국 대통령이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고 영국 언론들은 보도했다.
찰스 3세는 환영사에서 "오늘은 영국과 미국의 유대감을 새롭게 하는 날"이라며 "이 특별하고 중요한 일(국빈 방문)은 우리 두 위대한 나라간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보여준다"고 했다. 그러면서 영국과 미국이 "역사상 가장 긴밀한 방위와 안보, 정보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고 했다.
![]() |
[런던 로이터=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17일(현지시간) 영국 버크셔주(州) 윈저성에서 열린 국빈 만찬에서 찰스 3세 영국 국왕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환영하는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09.17. ihjang67@newspim.com |
그는 트럼프를 향해 "세계에서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갈등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개인적으로 헌신하고 있다"고 찬사를 보냈다.
찰스 3세는 간간이 농담을 섞으며 분위기를 화기애애하게 만들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스코틀랜드에 골프장을 여러 곳 소유한 점을 들어 "영국 땅이 골프장을 만들기에 좋은 곳"이라고 했다.
또 자신이 미혼의 왕세자 시절 미국을 방문했을 때 리처드 닉슨 당시 대통령의 딸과 자신을 연관 지으려던 대중 매체 추측 보도를 언급하며 "만약 1970년대에 언론이 그들만의 특별한 관계를 더욱 돈독하게 하려는 시도에 성공했다면 나는 닉슨 가문과 결혼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 트럼프 "내 인생 최고 영예… 내가 마지막이길"
트럼프 대통령도 절제되고 찬사가 담긴 연설로 화답했다.
![]() |
[런던 로이터=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찰스 3세(오른쪽) 영국 국왕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 시간) 영국 버크셔주(州) 윈저성에서 열린 국빈 만찬에서 나란히 앉아 얘기를 나누고 있다. 2025.09.17. ihjang67@newspim.com |
그는 "두 나라는 역사와 언어, 문화, 전통, 조상, 운명의 초월적 유대를 포함한 여러 가지 요소로 연결되어 있다"며 "양국 관계는 대체 불가능하고 깨지지 않는 관계"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두 나라의 관계는 단지 '특별한 관계'라는 말로는 표현할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우리는 하나의 화음 속 두 음과 같이 자체로도 아름답지만 함께 연주돼야 한다"며 "양국간 관계와 정체성의 유대는 소중하며 영원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빈 방문이 "진정으로 내 인생 최고의 영예"라며 "두 번의 국빈 방문은 내가 마지막이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때 좌중의 웃음이 터졌다.
그는 찰스 3세를 향해 "아주, 아주 특별한 사람"이라고 했고 지난해 암 치료를 받았던 케이트 왕세자빈에게는 "빛나고 건강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보게 돼 기쁘다"고 했다.
![]() |
[런던 로이터=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17일(현지 시간) 영국 버크셔주(州) 윈저성에서 열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위한 국빈 만찬에 참석하기 위해 걸어가고 있다. 2025.09.17. ihjang67@newspim.com |
이날 만찬에는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등 양국 정부 주요 인사와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샘 올트먼 오픈AI CEO, 미디어 재벌 루퍼트 머독, 스티븐 슈워츠먼 블랙스톤 CEO 등 기업인들도 참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딸 티파니 트럼프도 함께했다.
만찬 후 트럼프 대통령은 스타머 총리의 별장인 체커스로 이동했고, 멜라니아 여사는 윈저성에서 하룻밤을 보냈다.